[1200억 증발된 부산저축銀의 신안 개발사업]
경제성 없는 개발사업 - 전남의 J프로젝트 부진하자
부산저축이 대타로 나선 듯… 금감원 "경제적 투자 아니다"
증발한 돈 어디로 - 대출금 일부 뇌물로 제공, 정관계로 흘러갔는지 수사중
부산저축은행이 추진한 신안군 개발사업 과정에서 대출금 3300억원 중 1200억원의 행방이 묘연해지면서 이 돈이 어디로 흘러갔는지 의문이 증폭되고 있다. 캄보디아 캄코시티와 영각사 납골당 사업 등 부산저축은행이 대출한 사업마다 거액이 증발하고 있다는 점에서 부산저축은행 대주주들이 이 돈을 빼돌려 개인 비자금을 조성했거나 로비에 사용했을 것이란 의혹이 적잖다.◆부산저축은행 대주주가 SPC 운영권 장악
부산저축은행에서 돈을 대출받은 8개 특수목적법인(SPC)의 이사와 임원진 상당수는 부산저축은행 대주주·임원 등이 추천한 친인척·친구·지인이었다. 따라서 부산저축은행 박연호 회장과 김양 부회장, 2대 주주인 박형선 해동건설 회장, SPC 회계·자금관리 업체인 산경M&A의 김성진 대표 등이 SPC 업체들의 운영권을 장악하고 대출금의 용처까지 관리했을 가능성이 크다.
실제로 신안월드 대표이사 김모씨는 박형선 회장이 추천했고 이사·감사 3명은 강성우 부산저축은행 감사 등이 추천한 인물이었다. '상운'의 이사 2명과 SJ&파트너스 이사 1명은 김양 부회장의 처남과 지인·친척이었다. '대광'의 대표이사와 이사·감사 2명, 비엠랜드의 주주 3명, 지도개발공사의 대표이사는 김성진 대표의 친구·친척·지인·친구부인 등이었다.
검찰은 SPC의 대출금 일부가 수협 관계자 등에게 뇌물로 제공된 사실을 확인했고, 또 신안군이나 전남도 등에 대한 로비용으로 쓰였는지에 대해서도 수사 중이다. 부산저축은행이 금융감독원이나 금융위원회, 감사원 등의 고위간부에게 건넨 돈의 일부도 신안군 개발사업에서 마련된 비자금에서 흘러나왔을 수 있다.
◆신안군 개발사업은 '정치적 의도' 있는 사업
금감원이 신안군 개발사업을 '경제적 투자가 아니라 정치적 의도가 있다'고 판단한 것도 주목할 대목이다. 대중적 접근성이 떨어지는 전남 신안의 김대중 전 대통령 생가 주변 500여개 섬을 하나의 국제레저휴양단지로 만들겠다는 사업구상부터가 정치적인 의도에서 시작됐다고 볼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더구나 신안군 개발 사업은 경제성이 거의 없는데도 부산저축은행이 대출시 모든 위험과 부담을 떠안는 비정상적인 방식으로 이뤄졌다. 통상적인 대출 관행으론 이해하기 힘든 일이다.
신안군 개발사업이 전라남도가 2004년부터 추진한 'J프로젝트'(해남·영암 등 서남해안 관광레저도시 개발사업)와 관련이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J프로젝트가 자금 및 사업성 때문에 지지부진해지자 부산저축은행이 정치권의 후원하에 2005년 이후 대타로 나선 것 아니냐는 시각이다. 따라서 정치권이 부산저축은행의 대출과 SPC의 사업추진 과정에 관여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얘기가 나온다.
◆증발 액수 2000억원에 달할 수도
8개 SPC가 신안군 개발 과정에서 부동산 매입 등에 쓴 돈은 명부상 1300억원이지만 실제론 이보다 적었을 것이란 주장도 제기된다. 계약만 했다가 인허가 불발로 실제 땅을 매입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커 장부상 부동산 매입비가 과다계상됐을 수 있다는 것이다. 또 대부분 사업이 인허가를 받지 못해 실제 건설비용은 거의 들지 않았다.
또 원리금 상환액이 800억원보다 적었을 수도 있다. 검찰이 한나라당 신지호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원리금을 갚은 SPC는 두 곳으로 상환액은 350억여원에 그쳤다. 신 의원은 "증발한 돈은 최대 2000억원에 이를 수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