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문글

민주통합당이 가야할 길

화이트보스 2012. 1. 16. 11:06

 

 

 민주통합당이 가야할 길

 

입력 : 2012.01.15 23:32 | 수정 : 2012.01.16 00:34

민주통합당은 15일 전당대회에서 한명숙 후보를 당대표로 뽑고, 그다음 득표 순으로 문성근 박영선 박지원 이인영 김부겸 후보를 최고위원에 선출했다. 이학영 이강래 박용진 후보는 탈락했다. 모바일 투표자 59만8124명을 포함한 76만명 선거인단 중 52만4000여명이 참여한 투표에서 한 대표는 24.05%, 문 최고위원은 16.68%를 얻었다.

민주통합당 지도부 6명 중 한 대표와 차점자인 문 최고위원은 대표적인 친노(親盧) 인사다. 김부겸 최고위원도 노무현 전 대통령을 따랐던 정치인이다. 호남 출신은 박지원 최고위원 한 사람뿐이다.

노 전 대통령은 10년 전 노사모 바람을 바탕으로 김대중 세력 중심의 민주당에서 대통령 후보에 오르고 본선에서도 이겼다. 그때 가장 큰 정치 명분이 지역정치구도 타파였다. 앞으로 민주통합당을 이끌 친노 주류도 10년 전과 비슷한 바람에 올라타 있다. 한나라당이 텃밭으로 여기는 대구와 부산에 출마하겠다고 밝힌 이들이 경선을 통과해 지도부에 합류했다.

10년 전 노무현 바람을 실어 나른 것이 인터넷이었다면 이번엔 SNS가 그 역할을 맡았다. 이번 전당대회 선거인단의 78.1%가 모바일 투표자였고 이들은 투표율에서도 대의원보다 20%포인트 높았다. 젊은 세대 참여 열기는 이 세대 여론이 '과잉' 반영됐다는 지적이 나올 정도다.

민주통합당 새 지도부는 "상위 1%만을 위하는 한나라당 정권을 무너뜨리고 99%를 위한 정치를 이루겠다"고 밝혔다. 친노 바람에 99% 점령 시위 바람을 얹어 정권 교체를 이루겠다는 계획이다.

한국 사회는 대학을 나와도 갈 만한 일자리가 드물고 직장을 구하더라도 비정규직이 대부분이다. 중산층을 되살리고 깊어가는 양극화의 골을 메우지 않고선 국민 통합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런 사회 불균형은 이명박 정부가 해온 방식으론 해결할 수 없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그러나 오늘의 모습은 이전 정부들로부터 점차 누적돼온 것이기도 하다. 노무현 정부 5년 동안의 정책이 99%를 위한 것이었다면 4년 전 대선에서 500만표 차로 대패하는 일은 결코 벌어지지 않았을 것이다.

국민들은 더 이상 이명박 방식으론 안 된다고 보지만 노무현 방식으로 되돌아간다고 곧바로 답이 나오지 않는다는 것도 모르지 않는다. 99%를 잘살게 해주겠다는 구호는 달콤하다. 그 구호를 들으며 국민이 정말 궁금한 건 어떻게 하면 그와 가까운 세상이라도 만들 수 있는가이다. 야당 새 지도부는 재벌 개혁과 부자에 대한 증세(增稅)를 들고 나왔지만 종합부동산세 등 부자 증세 방안은 노 대통령 시절에 조세 저항에 부닥치며 그다지 효과를 보지 못했다.

야권이 가야할 길은 이명박 정권의 비판과 극복이다. 그러나 민주통합당 지도부는 지금 이명박 정권을 탄생시킨 제 1공로자가 바로 자신들이고 국민을 실망시킨 노무현 정부의 정치와 정책이었다는 사실을 한시도 잊지 말아야 한다. 국민은 앞으로 민주통합당 지도부가 과거 노무현 정부 방식 이상의 지혜와 방략을 갖고 있는가를 주의 깊게 지켜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