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2.04.14 03:07
서로의 黨에 간 표 예상 이하… 야권연대 효과 있는지 의문
결국 勢 불린 통합진보만 '득'
이번 총선에서 통합진보당의 정당득표율은 10.3%였지만, 지역구 득표율은 5.9%였다. 지역구에서 서로 상대 당에 표를 몰아주기 하는 '야권연대의 공식'에 따르면 통합진보당의 정당득표율과 지역구득표율 격차인 4.4%포인트가 민주당으로 옮겨갔어야 한다. 그러나 이번 총선에서 민주당의 지역구득표율은 정당득표율보다 불과 1.3%포인트 높아지는 데 그쳤다.
특히 이번 총선에서 범야권 표의 민주당 쏠림 현상은 야권연대를 하지 않았던 17대·18대 총선보다 오히려 못했다. 17대 총선 때는 민주통합당의 전신인 열린우리당의 지역구득표율은 정당득표율보다 3.9%포인트 높았고, 18대 총선에서도 민주당은 지역구에서 정당득표율보다 3.7%포인트 더 받았다.
여론조사기관 관계자는 "과거 야권연대를 안 할 때도 범야권 지지자들은 지역구선 사표(死票) 방지를 위해 민주당에 투표하는 경향이 있었다"며 "야권연대까지 했는데, 민주당으로의 표 쏠림이 지난 총선보다 덜한 것은 미스터리"라고 했다. 명지대 신율 교수(정치학)는 "'민주당 김용민 후보 막말 파문', '진보당 이정희 대표의 여론조작 파문' 등을 거치면서 야권 지지표에 오히려 균열이 생겼을 수 있다"고 했다.
그렇다고 통합진보당에 민주당의 표가 쏠린 것도 아니다. YTN·한국리서치의 지난 12일 총선 투표자 조사에 따르면 민주당 지지자가 지역구에서 통합진보당을 지지하는 비율은 3.4%에 불과해 오히려 새누리당 후보를 찍는 경우(8.3%)보다 낮았다. 한미 FTA(자유무역협정) 폐기 등 통합진보당의 급진적인 주장에 민주당 지지자들조차 지역구에서 통합진보당 후보를 찍기를 꺼렸다는 뜻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실제로 부산 영도구의 경우 야권연대의 정당득표율은 42.6%였지만, 야권단일 후보인 통합진보당 민병렬 후보의 득표율은 37.6%였다. 수도권에서도 통합진보당 후보의 득표율은 야권연대의 정당득표율을 대부분 밑돌았고 새누리당 후보와 1% 안팎의 접전을 벌이는 경우가 많았다.
민주당 관계자는 "수도권 지역에선 진보당 후보가 아닌 민주당 후보였다면 당선됐을 사람들이 있었다"며 "야권연대 때문에 민주당 의석 수를 손해 봤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 박근혜 "김형태·문대성 의혹, 확인 후 조치" 권대열 기자
- 투표참여자선 박근혜 앞서고, 불참자선 안철수 앞서 홍영림 기자
- 문성근 대행 놓고, 親盧·非盧 당권싸움 시작 황대진 기자
- 문재인이 넘어야 할 산은 '노무현의 그림자' 배성규 기자
- 중도층의 문재인 지지율, 안철수의 절반에 불과 배성규 기자
- '김용민 막말'이 야권연대 효과 상쇄시켰다 홍영림 기자
- 선진당 일부 의원, 새누리로 이적? 소문 돌아 배성규 기자
- 강창희 "박근혜 대세론은 꺼내서도 안 될 말" 최재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