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장의 미아리고개
기사입력 2013-07-29 03:00:00 기사수정 2013-07-29 03:00:00
▷애끊는 아픔도 있다. ‘단장(斷腸)의 미아리고개’(1956년 발표)다. 미아리고개는 6·25전쟁 당시 서울 북쪽의 유일한 외곽도로였다. 인민군 탱크가 이 고개를 지나 서울로 침투했고 인민군이 패퇴할 때는 수많은 애국지사와 저명인사가 이 고개를 넘어 납북됐다. 임의 마지막 모습은 너무 처절하다. “화약 연기 앞을 가려 눈 못 뜨고 헤매일 때/당신은 철사줄로 두 손 꽁꽁 묶인 채로/뒤돌아보고 또 돌아보고/맨발로 절며절며 끌려가신 이 고개여.”
▷하지만 마냥 울고만 있을 순 없었다. 모진 세월 어떻게든 살아만 내면 다시 만날 수 있으리라. “금순아 굳세어다오/남북통일 그날이 오면/손을 잡고 웃어나 보자/얼싸안고 춤도 춰보자.”(‘굳세어라 금순아’) 아빠를 그리다가 잠이 든 어린 것을 보며 엄마도 다시 일어섰다. “십 년이 가도 백 년이 가도 살아만 돌아오소.”(‘단장의 미아리고개’) 애써 피눈물을 닦아 내고, 애끊는 가슴을 움켜쥐고 일어서서 이뤄 낸 나라가 대한민국이다.
▷슬픔과 한의 상징인 미아리고개가 평화와 희망의 상징으로 다시 태어난다. 최근 서울 성북구는 이 고개를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하기 위해 전담반을 꾸리겠다고 밝혔다. 25일 저녁엔 치유와 평화를 주제로 한 해금 연주와 전쟁 희생자의 떠도는 영혼을 달래주기 위해 넋풀이 공연도 열었다. 하지만 평화는 거저 주어지지 않는다는 말은 지금도 유효하다. 정전 60주년. 미아리고개의 화약 연기는 사라졌는지 모르지만 민족의 애를 끊게 만들었던 비극까지 모두 치유된 것은 아니다.
김재영 사회부 기자 redfoot@donga.com
'경제,사회문화 > 사회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무도 나를 신고하지 않았다’… 남파공작원 김동식 (0) | 2013.07.29 |
---|---|
백담사 방 비워두시죠 (0) | 2013.07.29 |
檢 ‘이지원 盧-金 회의록, 실무진이 삭제’ 정황 파악 (0) | 2013.07.29 |
“남한 사회 부적응자 북으로 보내주는 것도 한 방법” (0) | 2013.07.28 |
묵언수행 막말 시대 침묵 찾아 山寺로 간 사람들… "입은 몸을 치는 도끼이자 몸을 찌르는 칼" (0) | 2013.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