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봉길 의사 “따뜻한 악수와 키스로 다시 만나자”
기사입력 2014-02-24 03:00:00 기사수정 2014-02-24 15:42:40
“강산과 부모를 버리고라도 이 길을…”
中칭다오 망명 생활 중 드러난 윤봉길 의사의 인간적 면모들
아들은 조국산천 어머니의 근심에 온몸이 덜덜 떨렸다. 허나 “장구한 시일을 두고 과거사도 묵상했고 미래사도 암료(暗料·깊이 헤아리다)한” 결심을 어찌 바꾸겠는가. 이역만리 객지에서 피눈물을 쏟으면서도 스스로 택한 애국의 길을 의연히 걸어갔다.
1932년 4월 29일 일제 원흉들에게 폭탄을 던져 한민족 기개를 만방에 떨친 의사 매헌 윤봉길. 그에게 1931년 상하이로 가기 전 칭다오에서 1년은 그냥 흘려보낸 세월이 아니었다. 자신의 의지를 다시금 다지고, 거리낌 없이 독립운동에 나서려는 인고의 시간이었다.
이번에 처음 정확한 이름이 밝혀진 일본인 나카하라 겐지로(中原兼次郞)가 운영하는 세탁소에 매헌이 취직한 것은 여러 가지 의미를 지녔다. 1930년 3월 처음 집을 나섰을 땐 곧장 만주로 가 독립단에 뛰어들려 했으나, 망명길에 만난 김태식(金泰植)의 설득으로 이곳에서 일단 정보를 모으기로 했다. 한시준 교수는 “일단 중국은 물론이고 국외 체류 자체가 생경한 윤 의사가 생전 처음 직장에 취직해 현지 분위기를 익히려는 의도가 강했다”고 설명했다.
돈을 모아야 할 이유도 있었다. 마음을 무겁게 했던 빚을 탕감해야 했다. 훗날 백범 김구 선생(1876∼1949)에게 전한 자필 이력서를 보면, 세탁소 월급을 모아 ‘월진회(月進會)’ 자금 50원을 갚았다는 대목이 나온다. 윤 의사는 고향인 충남 예산에서 농촌 계몽 운동 조직인 월진회 활동을 벌였는데, 망명 당시 이 회비를 무단으로 가져왔던 것. 독립운동이란 피치 못할 사정이 있었음에도 어떻게든 매조지 하는 의사의 맑은 성정을 엿볼 수 있다.
당시 칭다오에서 윤 의사는 가족에게 편지 2통을 보냈다. 1930년 어머니에게 편지를 쓴 뒤 이듬해 상하이로 떠나기 직전 맏아들 종(淙)에게 서신을 부쳤다. 의사는 “종아! 너는 아비가 없음이 아니다. 너의 아비가 이상의 열매를 따기 위해 잠시적 역행이지 하년(何年) 세월로 영구적 전전이 아니다”며 “후일에 따뜻한 악수와 따뜻한 키스로 만나자”고 다독였다.
김상기 충남대 국사학과 교수가 쓴 ‘자유의 불꽃을 목숨으로 피운 윤봉길’(역사공간)엔 의사의 인정어린 면모도 드러난다. 칭다오에서 알고 지낸 한일진(韓一眞)이란 친구가 미국행을 결심하자 수중에 있던 돈을 털어 여비로 건넸다. 넉넉지 못한 형편이었으나 전혀 머뭇거리지 않았다. 뒷날 한일진은 미국에서 의거 소식을 듣고 “평생의 은혜를 조금이나마 갚고 싶다”며 의사의 고향집에 돈을 보냈다고 한다.
김광만 PD는 그간 연구가 미진했던 윤 의사의 칭다오 흔적을 찾으려 중국과 일본을 수차례 오갔다. 오랜 추적 끝에 지난해 일본 국립국회도서관에서 윤 의사가 이력서에서 언급한 나카하라 세탁소를 칭다오 업체명이 실린 1931년 ‘중국상공지도집성’에서 마침내 찾았다. 이를 기반으로 역시 처음 발굴한, 같은 해 찍은 일본 지도 ‘대일본직업별명세도’에서 위치를 확인했다. 김 PD는 “칭다오 현지에 갔더니 이미 다른 건축물이 들어섰지만 당시 도로가 그대로 남아 정확한 지점 확인이 가능했다”며 “우리 역사의 잔향이 밴 장소인 만큼 중국 정부와 협의해 표지석을 세우는 사업을 추진하면 좋겠다”고 말했다.
정양환 기자 ray@donga.com
中칭다오 망명 생활 중 드러난 윤봉길 의사의 인간적 면모들
1931년 윤봉길 의사가 중국 칭다오에서 맏아들 종에게 쓴 편지. 네 살밖에 되지 않은 아들에 대한 사랑이 구구절절 가득하면서도 나폴레옹 에디슨을 언급하며 아버지가 없더라도 올바른 삶을 살 것을 당부하고 있다. 충남 예산군 충의사 소장. 보물 제568-12호. 문화재청 제공
“어머니의 하서(下書)를 봉독하오니 훈계하신 말씀, 전신에 소름이 끼치고 뼈끝까지 아르르해지며 이놈의 눈에도 때 아닌 낙숫물이 뚝뚝 (흐릅니다.) … 저는 우로(雨露)와 강산과 부모를 버리고라도 이 길을 떠나간다는 결심이었습니다. 어머니, 어머니. 말씀대로 지금 귀성한다면 이 불초 봉길이 할 일이 무엇이겠습니까.”(1930년 10월 중국 칭다오에서 보낸 편지에서)아들은 조국산천 어머니의 근심에 온몸이 덜덜 떨렸다. 허나 “장구한 시일을 두고 과거사도 묵상했고 미래사도 암료(暗料·깊이 헤아리다)한” 결심을 어찌 바꾸겠는가. 이역만리 객지에서 피눈물을 쏟으면서도 스스로 택한 애국의 길을 의연히 걸어갔다.
1932년 4월 29일 일제 원흉들에게 폭탄을 던져 한민족 기개를 만방에 떨친 의사 매헌 윤봉길. 그에게 1931년 상하이로 가기 전 칭다오에서 1년은 그냥 흘려보낸 세월이 아니었다. 자신의 의지를 다시금 다지고, 거리낌 없이 독립운동에 나서려는 인고의 시간이었다.
이번에 처음 정확한 이름이 밝혀진 일본인 나카하라 겐지로(中原兼次郞)가 운영하는 세탁소에 매헌이 취직한 것은 여러 가지 의미를 지녔다. 1930년 3월 처음 집을 나섰을 땐 곧장 만주로 가 독립단에 뛰어들려 했으나, 망명길에 만난 김태식(金泰植)의 설득으로 이곳에서 일단 정보를 모으기로 했다. 한시준 교수는 “일단 중국은 물론이고 국외 체류 자체가 생경한 윤 의사가 생전 처음 직장에 취직해 현지 분위기를 익히려는 의도가 강했다”고 설명했다.
돈을 모아야 할 이유도 있었다. 마음을 무겁게 했던 빚을 탕감해야 했다. 훗날 백범 김구 선생(1876∼1949)에게 전한 자필 이력서를 보면, 세탁소 월급을 모아 ‘월진회(月進會)’ 자금 50원을 갚았다는 대목이 나온다. 윤 의사는 고향인 충남 예산에서 농촌 계몽 운동 조직인 월진회 활동을 벌였는데, 망명 당시 이 회비를 무단으로 가져왔던 것. 독립운동이란 피치 못할 사정이 있었음에도 어떻게든 매조지 하는 의사의 맑은 성정을 엿볼 수 있다.
당시 칭다오에서 윤 의사는 가족에게 편지 2통을 보냈다. 1930년 어머니에게 편지를 쓴 뒤 이듬해 상하이로 떠나기 직전 맏아들 종(淙)에게 서신을 부쳤다. 의사는 “종아! 너는 아비가 없음이 아니다. 너의 아비가 이상의 열매를 따기 위해 잠시적 역행이지 하년(何年) 세월로 영구적 전전이 아니다”며 “후일에 따뜻한 악수와 따뜻한 키스로 만나자”고 다독였다.
김상기 충남대 국사학과 교수가 쓴 ‘자유의 불꽃을 목숨으로 피운 윤봉길’(역사공간)엔 의사의 인정어린 면모도 드러난다. 칭다오에서 알고 지낸 한일진(韓一眞)이란 친구가 미국행을 결심하자 수중에 있던 돈을 털어 여비로 건넸다. 넉넉지 못한 형편이었으나 전혀 머뭇거리지 않았다. 뒷날 한일진은 미국에서 의거 소식을 듣고 “평생의 은혜를 조금이나마 갚고 싶다”며 의사의 고향집에 돈을 보냈다고 한다.
일본 국립국회도서관에서 새로 찾아낸 1931년 판 ‘중국상공지도집성’. 맨 아래 세탁업 옆(동그라미 안)에 나카하라 세탁소 업소명이 보인다. 김광만 PD 제공
뭣보다 나카하라 세탁소의 실존이 확인되며 그간 미스터리였던 ‘어떻게 일제의 삼엄한 경비를 뚫고 훙커우 공원에 들어갔는가’의 해답을 찾는 일도 큰 진전을 이뤘다. 그간 윤 의사의 행사장 입장을 놓고 △중국 경비 회유 △비밀출구 잠입 △일본인 위장 △강행 돌파 등 여러 설이 분분했다. 하지만 이규창 선생은 회고록 ‘운명의 여진’에서 “(의사는) 세탁소 노부부를 부축하고 일본 국기를 들고 입장해 축하대 앞자리에 앉았다”며 “일본인 세탁소에서 일을 했기 때문에 거사하기가 쉬웠던 것”이라고 전했다. 김광만 PD는 그간 연구가 미진했던 윤 의사의 칭다오 흔적을 찾으려 중국과 일본을 수차례 오갔다. 오랜 추적 끝에 지난해 일본 국립국회도서관에서 윤 의사가 이력서에서 언급한 나카하라 세탁소를 칭다오 업체명이 실린 1931년 ‘중국상공지도집성’에서 마침내 찾았다. 이를 기반으로 역시 처음 발굴한, 같은 해 찍은 일본 지도 ‘대일본직업별명세도’에서 위치를 확인했다. 김 PD는 “칭다오 현지에 갔더니 이미 다른 건축물이 들어섰지만 당시 도로가 그대로 남아 정확한 지점 확인이 가능했다”며 “우리 역사의 잔향이 밴 장소인 만큼 중국 정부와 협의해 표지석을 세우는 사업을 추진하면 좋겠다”고 말했다.
정양환 기자 ray@donga.com
'민족사의 재발견 > 민족사의 재발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도전의 <조선경국전>을 통해 오늘의 한국을 읽다 (0) | 2014.03.03 |
---|---|
훈제국은 서양사를 바꾸고 대한민국은 현대경제사의 기적을 쓰다 (0) | 2014.02.27 |
'다케시마의 날' 日우익, 軍위안부에 더 뜨거웠다 (0) | 2014.02.23 |
여왕실록④ <하> 진성여왕이 (0) | 2014.02.14 |
진성여왕이 '음란'했다고?? 마지막 모습만은 아름다웠다 (0) | 2014.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