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뒷거래식 접촉에 거부감… 남북, 사전교감 없이 대화카드 내놔
윤완준기자
입력 2015-01-06 03:00:00 수정 2015-01-06 03:00:00
정부 안팎 “공개대화만으론 한계”신년 초부터 남북 대화의 물꼬를 트기 위해선 남북 간에 다각적인 물밑 접촉이 절실하다는 목소리가 정부 안팎에서 나오고 있다. 남북 대화를 통해 남북 관계를 개선해야 하는 ‘골든타임’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이유에서다. 북측이 민감해하는 한미 연합군사연습 ‘키리졸브’ 가 예정된 2월 말이나 3월 초까지는 두 달도 남지 않았다.
냉각기를 지속했던 남북 관계 개선의 물꼬를 트기 위해선 사전 교감에 따른 물밑 접촉이 필요하기도 하다. 공개적 회담에만 의존하면 자칫 선전전으로 흘러 원하는 목표를 얻기 어려울 수도 있기 때문이다. 여권 내부에서 제기된 이 같은 지적은 박근혜 대통령에게도 전달됐다는 후문이다. 하지만 박 대통령은 비밀 접촉 방식의 대화에 부정적인 반응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관계자들은 5일 “(박 대통령이) 비밀이나 비선 접촉에는 워낙 거부감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 12월 29일 대통령 직속 통일준비위원회를 내세워 전격적인 남북 당국 간 회담을 제의할 때도 남북 간에 사전 교감은 없었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남북 관계 개선에 대한 의지를 선제적으로 보인 점은 좋았지만 북한이 부정적으로 보는 통준위를 내세웠다는 점에서는 북한과 사전 교감이 필요했는데 그러지 않았다”며 “북한이 대화 제의의 배경이 뭔지 헷갈려 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는 “(사전 교감이 없었기 때문에)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가 1일 남북 대화 ‘취지’에는 화답했지만 대화를 담는 ‘그릇’에는 박 대통령의 제안에 밀릴 수 없다는 취지에서 ‘최고위급 회담’ 카드를 들고 나왔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명박 정부에서 남북 물밑 대화에 관여한 한 인사는 “사전 교감이 없는 전격적인 대화 제의는 국내 정치용이라는 의심을 받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정부 일각에선 박 대통령이 비공개 접촉 가능성까지 모두 배제한 것은 아니라는 관측도 나온다.
북핵 문제에 진전이 없는 한 북한과 관계를 정상화할 생각이 없는 미국 정부도 자국민 구출 등을 위해선 비공개 물밑 접촉을 해 왔다. 실제로 미국 백악관과 국무부 관계자가 수차례 군용기로 극비 방북해 석방 협상을 벌였다. 한 전문가는 “미국과 쿠바 간 국교 정상화도 오랜 기간 물밑 접촉을 벌인 결과다. 공개 대화만으로는 결코 이뤄 내기 어려운 성과”라고 말했다.
윤완준 기자 zeitung@donga.com

'경제,사회문화 > 사회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2의 그리스 나올 가능성 커… EU, 긴축정책 쓰레기통에 버려야" (0) | 2015.01.06 |
---|---|
低유가 시대… 세계는 資源전쟁, 한국만 멈췄다 (0) | 2015.01.06 |
밥먹으며 스마트폰… ‘고개숙인 가족’ (0) | 2015.01.06 |
강만수 前 기재부장관, 재임기간 비망록 출간 (0) | 2015.01.05 |
한국, 통화전쟁 대처 실패땐 제2 외환위기 겪을수도” (0) | 2015.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