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사회문화/사회 , 경제

현대車, 光州공장 확장 못하는 속사정

화이트보스 2015. 3. 20. 15:00

현대車, 光州공장 확장 못하는 속사정

  • 최종석 기자

    이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입력 : 2015.03.20 03:00

    광주市 "임금 半만 받을테니 청년들 고용해달라" 제안
    현대車 "노조에 유리하게 단협 바뀌면 속수무책" 난색

    "해외보다 경쟁력 떨어지는 국내 공장 늘릴 여유 없어"

    작년 11월 광주광역시는 연산 62만대 수준인 자동차 생산량을 향후 연 100만대로 늘려 청년 실업률을 낮추겠다는 '광주시 자동차산업밸리' 청사진을 발표했다. 당시 윤장현 광주시장은 "(광주 지역 청년들이 일자리를 찾을 수 있도록) 노·사·민·정 합의를 통해 근로자 임금을 현재 기아차 광주 공장 근로자들이 받는 임금의 절반 수준인 3000만~4000만원으로 삭감하겠다"는 파격적인 제안을 했다.

    광주시의 청년 고용률은 작년 말 현재 37%로 16개 시·도 중 14위다. 광주시보다 청년 고용률이 더 낮은 곳은 강원도와 울산광역시다. 이에 광주시는 얼어붙은 청년 일자리 현실을 타개할 수 있도록 임금 삭감을 통해 현대·기아차의 부담을 덜어줄 테니 해외에 공장을 짓지 말고 광주 공장을 지금보다 더 키워달라고 요청했다. 기아차 광주 공장 노조 측도 "자녀들이 고향을 떠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거들었다.

    그러나 현대·기아차는 이 같은 제안에 대해 5개월째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겉으로 드러내지는 않지만 부정적인 기류가 내부적으로 팽배하기 때문이다. 현대·기아차의 한 관계자는 "임금을 깎겠다는 제안은 긍정적이지만 임금 수준보다 더 큰 문제가 단체 협약"이라며 "노사 간 체결한 단체 협약은 별도 법인을 세워 운영하지 않는 한 기아차의 국내 공장 근로자 전체에게 공통 적용되기 때문에 광주에 짓는 새 공장의 근로자들도 현행 단협 규정을 적용받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노조와 단체협약을 개정하는 과정에서 수당 등 각종 임금체계와 근로조건 등이 노조에 유리하게 바뀌면 광주 공장에도 그대로 적용되기 때문에 이 같은 부담이 큰 걸림돌이라는 것이다.

    현대·기아차의 또 다른 관계자는 "(윤장현) 광주시장과 지금 정부가 바뀌고 나면 그때는 (노조 등이) 또 어떤 요구를 들고나올지 알 수 없는 것 아니냐"면서 "결국 해외보다 경쟁력이 떨어지는 국내에는 공장을 늘릴 여유가 없다"고 말했다. 실제로 현대차노조는 1987년 노조가 생긴 이후 네 차례를 제외하고는 매년 파업을 통해 임금을 올리고, 노조 측에 유리하게 단체 협약을 바꿔 왔다.

    배규식 한국노동연구원 노사·사회정책연구본부장은 "2013년 현대차가 주간 연속 2교대제를 도입하는 등 근로시간을 단축하자 국내 자동차업계는 물론 금속 산업 전반에 근로시간 단축 바람이 확산됐다"며 "청년 고용 문제나 노동시장 구조 개선에서 현대차 노사가 주도적인 역할을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