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5월 18일, 大同은 없었다주인공 없는 5·18 35주년 기념식…두쪽으로 갈려
-->
"정부가 직접 '님 행진곡' 논란 해법 제시해야"
5·18 민주화운동 35주년 기념식에 대동(大同)은 없었다.
정부와 5·18단체는 '님을 위한 행진곡'을 둘러싼 갈등을 끝내 해결하지 못하고 결국 주인없이 따로 기념식을 가졌다.
국가보훈처는 18일 오전 10시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5·18 민주화운동 35주년 기념식을 열었다. 5월 단체와 시민사회단체 등이 구성한 35주년 기념행사위원회는 같은 시각 5·18 묘지에서 10㎞ 이상 떨어진 광주 동구 금남로 옛 전남도청 앞에서 기념식을 열었다.
두 기념식은 국민의례, 헌화·분향, 경과보고, 기념사, 기념공연 등 '같은 식순의 다른 행사'였다. 주최자가 국가보훈처와 행사위 등 민·관으로 갈렸고, 유가족과 유공자 등 5·18 당사자의 참석 여부도 달랐다.
유가족 등은 2010년부터 정부 주관 공식 기념식 불참을 이어갔다. 6년째 주인공 없는 정부 기념식이 이어진 셈이다. 정부 기념식은 초라했다. 역대 최대 규모의 민간 기념식이 열린 날 정부 기념식은 대통령 불참, 총리 부재로 부총리가 기념사를 하고 지방보훈청장이 하던 경과보고도 5·18 묘지 관리소장이 했다. 정부 기념식의 위상은 내용과 형식 면에서 모두 추락한 모습을 보여줬다.
'일그러진' 5·18에 대해 지역민들은 정치권에 분노를 쏟아냈다. 지난 17일 열린 전야제에 참석하려던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는 물세례를 받고 도중에 자리를 떴으며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도 참석 전 시민 항의를 받았다. 물세례 등은 돌출행동으로 여길 수도 있지만 여야 구분 없는 정치권에 대한 불신과 민주주의의 후퇴에 대한 불만의 표출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그러나 불미스러운 일이 생길 수록 5·18 정신에 대한 폭넓은 인식을 제한할 수 있다는 우려를 광주지역 사회가 간과해서 안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일부 과격한 언행은 5·18을 잘 알지 못하는 젊은 층, 다른 지역민이 5·18을 정치적 사안으로 해석하도록 하는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매년 5·18 기념식을 앞두고 되풀이되고 있는 '님을 위한 행진곡' 논란에 정부가 해결 방안을 제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그 중심에는 박근혜 대통령이 열쇠를 쥐고 있다. 정부는 국회 결의와 광주 지역 사회의 열망에도 '님을 위한 행진곡'을 5·18 기념곡 지정은 물론 제창조차 받아들이지 않았다. 박 대통령의 의중이 아니라면, 단일부처가 국민 통합을 저해할 수 있는 논란을 이어갈 수 없다는데 이같은 주장은 설득력을 얻고 있다.
김정길 35주년 기념행사위원회 상임위원장은 "정부가 주관하는 기념식에 불참하고 5월 영령이 잠든 망월묘역을 뒤로한 것은 정부 당국에 의해 5월 정신이 찢기고 시민의 염원이 외면당하는 현실을 더는 방관할 수 없어서였다"며 "5월 영령과 애국시민의 노력을 받들어 민주·인권·평화의 대동세상을 실현하기 위해 5·18을 기억하고, 기념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영민 기자 kym@namdonews.com <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