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5.07.20 01:40 | 수정 : 2015.07.20 09:09
[전임 사장들은 靑·정치권에 줄대기… 노조는 사장 선임 개입하기도]
-올해 초 물러난 고재호 前사장
연임 위해 정·관·언론계 로비
정부 관계자 "대우조선 임원들 문제 많다는 것 알게 됐다"
-후임사장 선임에 개입한 노조
현직 임원서 뽑으라고 주장
'주인없는 회사'로 남으려 한화의 인수 시도 반발하기도
-대주주 産銀 책임도 커
대우조선 제대로 관리 못해
일부에선 "조선업 경영을 떠안긴 것 자체가 무리"
대우조선해양이 2조원대의 손실을 숨겨온 것으로 밝혀지면서 최대 주주인 산업은행이 부실을 방치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하지만 한편으로 금융권과 조선업계에서는 전(前) 경영진의 정치권 줄대기, 청와대와 금융 당국의 인사 개입 등 대우조선해양 안팎의 비정상적인 상황에 더 큰 문제가 있었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대우조선해양은 지난 2000년 대우그룹 워크아웃 과정에서 산업은행이 자회사로 떠안게 됐다. 하지만 "산업은행은 '핫바지'나 다름없었다"는 말까지 나온다. 사장은 물론이고 임원 인사 때도 청와대와 금융 당국, 정치권을 상대로 극심한 인사 로비가 벌어지기 일쑤였기 때문이다. 겉으로는 산업은행의 자회사이지만, 대우조선해양은 사실상 주인 없는 회사처럼 운영돼 왔다는 것이다. 산업은행 안팎에서는 지난 2006년 남상태 전 사장 취임 이후 이런 상황이 더 악화됐다고 한다. 지난 9년간 이 회사에서 무슨 일이 벌어졌던 걸까?
대우조선해양은 지난 2000년 대우그룹 워크아웃 과정에서 산업은행이 자회사로 떠안게 됐다. 하지만 "산업은행은 '핫바지'나 다름없었다"는 말까지 나온다. 사장은 물론이고 임원 인사 때도 청와대와 금융 당국, 정치권을 상대로 극심한 인사 로비가 벌어지기 일쑤였기 때문이다. 겉으로는 산업은행의 자회사이지만, 대우조선해양은 사실상 주인 없는 회사처럼 운영돼 왔다는 것이다. 산업은행 안팎에서는 지난 2006년 남상태 전 사장 취임 이후 이런 상황이 더 악화됐다고 한다. 지난 9년간 이 회사에서 무슨 일이 벌어졌던 걸까?

◇산은 출신 CFO 왕따 취급
산업은행은 지난 2000년 대우조선해양을 자회사로 편입한 후 지난해까지 14년간 대출 1조1273억원 등 총 2조4000억원 규모의 지원을 했다. 하지만 산업은행 직원들은 "산업은행 주차장에 대우조선이라는 차량이 주차돼 있지만, 산업은행은 차 열쇠가 없었다"고 표현할 정도다. "대우조선해양 사장을 산업은행이 정한 적이 한 번이라도 있느냐. 청와대가 정하는 자리 아니냐"고 한다. 대우조선해양의 과거 경영진이 사장 선임과 연임을 위해 청와대와 정치권에 인사 청탁을 하면서 이런 상황이 갈수록 악화됐다.
이 같은 왜곡된 관계를 보여주는 사례로 산업은행에서는 지난 2008년 벌어졌던 대우조선해양 감사실장 해고 사건을 꼽는다. 산은이 감사 기능 강화를 위해 감사위원회와 감사실을 신설하면서 산은 리스크관리본부장을 지낸 신모씨를 감사실장으로 보냈는데, 대우조선해양 경영진이 감사위원회나 이사회 의결 없이 대표이사 전결로 감사실을 폐지하고 신씨를 징계위원회에 회부해 해고했다. 당시 신씨는 회사 기밀 누설, 무단 결근 등으로 검찰에 고발까지 됐지만 모두 무죄 판결을 받았다.
감사실장이 해고된 사건을 계기로, 산업은행은 경영 감독 방식을 바꿨다. 2009년부터 부행장 출신을 대우조선해양에 부사장급 최고재무책임자(CFO)로 파견해왔다. 그렇다고 상황이 개선된 건 아니었다고 산업은행 측은 주장한다. 실제로 산업은행은 2조원대의 부실이 대우조선해양에 누적돼 있다는 것도 까맣게 모르다가 지난 3월로 임기가 만료된 고재호 사장의 후임을 선정하는 과정에서 사장 후보들 간에 투서전이 벌어지면서 뒤늦게 눈치챈 것으로 알려졌다. 산업은행 관계자는 "우리가 보낸 CFO들이 수박 겉핥기식 보고만 받았다. 순혈주의로 뭉친 대우조선해양 임직원들한테 사실상 왕따를 당해 손발이 묶였다"고 말했다.
산업은행은 지난 2000년 대우조선해양을 자회사로 편입한 후 지난해까지 14년간 대출 1조1273억원 등 총 2조4000억원 규모의 지원을 했다. 하지만 산업은행 직원들은 "산업은행 주차장에 대우조선이라는 차량이 주차돼 있지만, 산업은행은 차 열쇠가 없었다"고 표현할 정도다. "대우조선해양 사장을 산업은행이 정한 적이 한 번이라도 있느냐. 청와대가 정하는 자리 아니냐"고 한다. 대우조선해양의 과거 경영진이 사장 선임과 연임을 위해 청와대와 정치권에 인사 청탁을 하면서 이런 상황이 갈수록 악화됐다.
이 같은 왜곡된 관계를 보여주는 사례로 산업은행에서는 지난 2008년 벌어졌던 대우조선해양 감사실장 해고 사건을 꼽는다. 산은이 감사 기능 강화를 위해 감사위원회와 감사실을 신설하면서 산은 리스크관리본부장을 지낸 신모씨를 감사실장으로 보냈는데, 대우조선해양 경영진이 감사위원회나 이사회 의결 없이 대표이사 전결로 감사실을 폐지하고 신씨를 징계위원회에 회부해 해고했다. 당시 신씨는 회사 기밀 누설, 무단 결근 등으로 검찰에 고발까지 됐지만 모두 무죄 판결을 받았다.
감사실장이 해고된 사건을 계기로, 산업은행은 경영 감독 방식을 바꿨다. 2009년부터 부행장 출신을 대우조선해양에 부사장급 최고재무책임자(CFO)로 파견해왔다. 그렇다고 상황이 개선된 건 아니었다고 산업은행 측은 주장한다. 실제로 산업은행은 2조원대의 부실이 대우조선해양에 누적돼 있다는 것도 까맣게 모르다가 지난 3월로 임기가 만료된 고재호 사장의 후임을 선정하는 과정에서 사장 후보들 간에 투서전이 벌어지면서 뒤늦게 눈치챈 것으로 알려졌다. 산업은행 관계자는 "우리가 보낸 CFO들이 수박 겉핥기식 보고만 받았다. 순혈주의로 뭉친 대우조선해양 임직원들한테 사실상 왕따를 당해 손발이 묶였다"고 말했다.

정부 관계자는 "대우조선해양 일부 임원들에게 문제가 많다는 것을 알게 됐다"고 말했다.
◇14년간 미뤄지고 있는 민영화
대우조선해양은 전체 직원이 1만4000명가량 되며, 상무 이상 임원 48명 가운데 산업은행 출신이라고는 CFO 1명뿐이다. 이처럼 산업은행의 견제 장치가 무력한 상황에서 남상태 전 사장과 고재호 전 사장은 고부가가치 사업이지만 그만큼 리스크도 큰 해양(海洋) 플랜트 수주를 급격하게 늘렸다. 결과적으로 이 결정이 막대한 손실로 돌아왔다.
대우조선해양 민영화도 쉽지 않은 상태다. 정부의 민영화 리스트에 올라 있지만, 조선 경기 불황 등으로 대우증권 등에 비해 우선순위가 뒤진다. 지난 2008년 한화그룹이 대우조선해양 인수를 추진했지만, 글로벌 금융 위기로 무산됐다. 일부에서는 경영진과 노조 모두 민영화를 바라지 않는다는 말도 나온다. 노조는 지난 2008년 한화그룹이 인수를 시도했을 때도 반발했다. 국민주 방식 등을 주장하며 계속 주인 없는 회사로 남으려고 했다. 산업은행이라는 보호막 안에서 주인 없는 회사의 장점을 누리고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러다 보니 대우조선해양을 비롯해 구조조정 기업들을 떠안은 국책은행인 산업은행의 경영만 악화되고 있다. 은행의 건전성을 평가하는 잣대인 BIS 비율(국제결제은행 기준 자기자본비율)이 2010년 17.6%에서 지난해에는 13.7%로 하락, 시중은행 평균(약 15%)보다 낮아졌다. 국책은행장을 지낸 한 인사는 "대우조선해양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한 대주주 산업은행의 책임도 크지만, 애당초 대우증권이나 금호생명 같은 금융권 자회사와 달리 산업은행에 조선업체 경영을 떠안긴 것 자체가 무리였다"고 말했다.
◇14년간 미뤄지고 있는 민영화
대우조선해양은 전체 직원이 1만4000명가량 되며, 상무 이상 임원 48명 가운데 산업은행 출신이라고는 CFO 1명뿐이다. 이처럼 산업은행의 견제 장치가 무력한 상황에서 남상태 전 사장과 고재호 전 사장은 고부가가치 사업이지만 그만큼 리스크도 큰 해양(海洋) 플랜트 수주를 급격하게 늘렸다. 결과적으로 이 결정이 막대한 손실로 돌아왔다.
대우조선해양 민영화도 쉽지 않은 상태다. 정부의 민영화 리스트에 올라 있지만, 조선 경기 불황 등으로 대우증권 등에 비해 우선순위가 뒤진다. 지난 2008년 한화그룹이 대우조선해양 인수를 추진했지만, 글로벌 금융 위기로 무산됐다. 일부에서는 경영진과 노조 모두 민영화를 바라지 않는다는 말도 나온다. 노조는 지난 2008년 한화그룹이 인수를 시도했을 때도 반발했다. 국민주 방식 등을 주장하며 계속 주인 없는 회사로 남으려고 했다. 산업은행이라는 보호막 안에서 주인 없는 회사의 장점을 누리고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러다 보니 대우조선해양을 비롯해 구조조정 기업들을 떠안은 국책은행인 산업은행의 경영만 악화되고 있다. 은행의 건전성을 평가하는 잣대인 BIS 비율(국제결제은행 기준 자기자본비율)이 2010년 17.6%에서 지난해에는 13.7%로 하락, 시중은행 평균(약 15%)보다 낮아졌다. 국책은행장을 지낸 한 인사는 "대우조선해양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한 대주주 산업은행의 책임도 크지만, 애당초 대우증권이나 금호생명 같은 금융권 자회사와 달리 산업은행에 조선업체 경영을 떠안긴 것 자체가 무리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