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자
박수련 기자

마윈 알리바바그룹 회장은 “데이터기술은 앞으로 대다수 기업에 가장 중요한 자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사진 알리바바]
글로벌 혁신 기업인 미래 50년을 말하다
그동안 시장경제가 이긴 건 ‘보이지 않는 손’믿었기 때문
이제 데이터로 시장 훤히 봐 … 계획적 생산·분배 가능해져
중국 경제 걱정할 것 없어 반부패 정책이 기초 다질 것
마윈은 대담하고 치열했다. 그는 “2030년 세계는 시장경제(market economy)와 계획경제(planned economy)를 놓고 대논쟁을 다시 벌이게 될 것”이라며 “꼬박 100년 전(1930년대)엔 미국이 주장한 시장경제가 이기고 러시아가 졌지만 이젠 상황이 달라졌다”고 단언했다. 그는 “2030년엔 계획경제가 더 우월한 시스템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데이터, 즉 정보를 이유로 들었다. 마 회장은 “1930년대엔 사람들이 ‘보이지 않는 손’이 시장에 있다고 믿었기 때문에, 그래서 시장경제가 이긴 것”이라며 “하지만 손에 데이터를 쥐고 있는 지금의 우리는 예전엔 보이지 않던 그 손을 볼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그는 실시간으로 생기는 엄청난 빅데이터를 수집·분석할 수 있는 데이터기술(DT·Data Technology)에 주목하며 새로운 개념의 계획경제를 들고나온 셈이다. 시장을 훤히 들여다볼 수 있어 자원을 계획적으로 생산·분배할 수 있다는 것이다. 마 회장이 “정보기술(IT) 시대가 저물고 DT 시대가 올 것”이라고 주장하는 이유다. 그는 데이터 패권 시대를 내다보고 있었다.
마 회장이 보는 미래 50년의 또 다른 키워드는 중국이다. 그는 “이제까지의 중국 경제는 여기저기 마구 자라는 잡초처럼 거칠었다”며 “앞으로는 중국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 우리가 중국을 바꾸는 이노베이터(혁신기업)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중국 경제는 걱정할 것 없다”며 "반부패 정책이 경제 기초를 다질 것이다”라고 말했다. 그의 집무실 탁자 위엔 노란색 쌍안경이 있다. 30만㎡ 규모의 본사 곳곳을 들여다보는 눈이다. 그의 눈이 머무는 곳을 좇았다. 그곳엔 과거의 실패, 현재의 부(富), 미래에 대한 두려움 같은 것은 없다. “현재가 아닌 미래의 글로벌 스탠더드가 되겠다”는 ‘양쯔강의 악어’가 있을 뿐이다.
항저우=박수련 기자 park.suryon@joongang.co.kr
관련기사
마윈 "빅데이터 시대, 계획경제 우월해질 것”
인터넷·첨단기업, 앞으로 유럽·일본보다 중국서 더 나온다
주주 아닌 동업자시대 온다, 10년 뒤 '와우'하고 알게 될 것
천룡팔부·의천도룡기 … "내 우상은 무협지 안에 있다”
전체댓글1
게시판 관리기준
댓글을 작성할 수 있는 새로운 오픈 댓글 서비스입니다.
작성하신 댓글은 로그인을 선택한 계정에 해당하는
서비스로도 동시에 제목과 링크가 포함되어 전송 됩니다.
글이 이유없이 등록 안되는 경우가 많아졌네! 개편하면 항상 빵구가 많은 것은 어느 사이트나 매일반이구만...
답글달기삭제되었습니다
답글달기삭제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