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dimg.donga.com/wps/NEWS/IMAGE/2015/09/30/73906560.1.jpg)
박 대통령은 28일(현지 시간) 제70차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북한이 과감하게 핵을 포기하고 개방과 협력의 길로 나온다면 대한민국은 국제사회와 힘을 모아 북한이 경제를 개발하고 주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이 평소 사용하던 ‘도발 시 철저한 응징’이나 구체적인 제재 방안 등은 언급하지 않았다. 박 대통령은 현 시점을 남북이 신뢰와 협력으로 가는 분기점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새로운 선순환의 동력은 남북 합의를 잘 이행해 나가는 데 있다”면서 “특히 이산가족 상봉을 비롯한 인도주의 문제가 정치·군사적 이유로 더이상 외면되어서는 안 될 것”이라고 말했다.
조속한 평화통일을 위한 세계 각국의 협력과 지지도 호소했다. 박 대통령은 “유엔이 1948년 대한민국의 탄생을 축복해 주었던 것처럼, 통일된 한반도를 전 세계가 축하해 주는 날이 하루속히 오기를 간절히 꿈꾸고 있다”면서 “지구상에 남은 마지막 냉전의 잔재인 한반도 분단 70년의 역사를 끝내는 것은 곧 세계 평화에 기여하는 일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박 대통령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혹독한 여성폭력을 경험한 피해자들이 이제 몇 분 남아있지 않다”면서 “이분들이 살아계실 때 마음의 상처를 치유할 수 있는 해결책이 조속히 마련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30일 오전 성남공항을 통해 귀국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