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 얘기부터 해보자. 막걸리를 손수 빚자면 쌀과 누룩이 필요하다. 누룩을 디디자면 밀농사를 지어야 한다. 우리나라 밀은 늦가을에 씨를 뿌리면 겨울을 나고 이듬해 하지 무렵 거두게 된다. 이 밀을 거칠게 빻아 누룩을 디딘다. 이 누룩이 제구실을 하자면 누룩곰팡이가 달라붙게 여러 날 발효 과정을 거쳐야 한다. 앞뒤가 이러니 손수 농사지어 술을 빚는 데까지만 해도 꼬박 2년 가까운 세월이 필요하다. 물론 지에밥과 누룩, 그리고 물이 만나 발효가 일어나고, 그 술이 익어 마시기까지는 또 다른 기다림이 필요하다.
돈 주고 사서 마시면 간단하다. 이 모든 걸 한순간에 해치울 수 있다. 이런 세상인데, 왜 슬로푸드를 만드나. 나는 그냥 ‘팔자’라 여긴다. 웬 팔자? 느리고 돈 안 되는 시골살이를 선택한다는 건 아무나 하는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단, 이 팔자는 그냥 팔자가 아니라 나 스스로 선택했다는 점에서 그 나름대로 괜찮은 팔자가 아닐까 싶다.
먹는 게 몸이자 정신
사실 우리 사회에서 슬로푸드를 예찬하기 시작한 건 그리 오래되지 않는다. 내가 시골로 내려온 1996년만 해도 그런 단어는 알려지지조차 않았다. 근데 어느 순간 돌아보니 우리 식구가 바로 슬로푸드를 먹고 있었다.
지난 세월을 돌아보면 우리네 삶이 많이도 달라졌다. 도시에서 살 때는 ‘음식을 먹는다’보다 ‘끼니를 때운다’는 생각이 강했다. 바쁘고 팍팍하게 돌아가는 세태에서 음식을 천천히 준비하고 또 음미하면서 먹기란 쉽지 않다. 그런데 지금은 먹을거리를 마련하고, 갈무리하며, 먹고 치우는 데 많은 시간을 쓴다. 농사란 자연의 흐름을 따르는 것이니, 사람이 종종거린다고 되는 것도 아니다. 무리하게 욕심내 ‘더 빨리, 더 많이, 더 싸게’ 생산하려고 하다 보면 작물은 약해지고 병해충도 부른다.
슬로푸드는 무엇보다 식재료 자체가 신선하고 좋아야 한다. 농약이나 화학비료로 범벅하거나 비닐집에서 불을 때 가며 기른 게 아니라, 제철에 자연스럽게 자란 재료여야 한다. 이런 식재료는 딱히 복잡하게 지지고 볶고 할 필요가 없다. 간단하게 차려낸 소박한 음식이지만 그 맛은 깊고, 영양은 풍부하다. 한여름 텃밭에서 자란 풋고추를 따서 쌈장에 찍어 먹으면 그것보다 더 맛난 ‘요리’가 어디 있으랴.
음식과 삶은 결코 뗄 수 없는 관계다. 슬로푸드는 곧 슬로라이프다. 더 나아가 먹을거리는 건강, 교육, 문화, 예술과도 서로 맞물린다. 나는 도시에서 살 때 늘 골골했다. 감기에 자주 걸렸고 아픈 곳이 많았다. 그런데 시골살이를 하면서 달라졌다. 최근 10년 넘게 감기에 걸렸던 기억이 아득하다. 아마도 적당히 몸을 움직이고, 제철음식을 먹어서가 아닐까 싶다.
농사란 좀 다르게 표현하자면, 생명을 가꾸고 돌보는 일이다. 그러다 보니 어느 순간부터 나 자신의 생명을 가꾸고 돌보는 일도 소중히 여기게 됐다. 농사꾼이 건강해야 농산물도 건강하고, 건강한 농산물이 다시 그 농사꾼과 가족, 나아가 이 농산물을 함께 먹는 사람의 건강에도 보탬이 되리라는 믿음이 자연스레 생겨났다.
|
1 필자가 만든 된장주먹밥. 소박한 음식도 기본 양념만 충실 하면 맛도 깊고 영양도 풍부하다. 2 필자가 키우는 닭과 병아리. 3 필자의 집 처마에 매단 매주.
이렇게 몸과 마음이 거듭나면서 글을 쓰거나 사진을 찍게 됐다. 글쓰기나 사진 찍기도 생명을 돌보고 가꾸는 일의 연장이다. 억지로 쓰는 글이 아니라, 안에서 뭔가가 차올라 토하듯이 글을 쓸 때는 글쓰기가 먹을거리만큼 소중한 생명이 된다. 사진도 마찬가지다. ‘순간이 영원’이라는 말이 있듯이 영양가 높은 사진은 눈길이 오래 머물고, 잘 잊히지 않는다.
요즘 나는 틈틈이 농작물 꽃을 즐겨보고 사진으로 찍곤 한다. 시장에 나오는 개량 오이는 수꽃이 거의 눈에 띄지 않고 암꽃만 마디마디에 촘촘히 핀다. 하나라도 더 달리고 더 빨리 자라라고 개량한 것이다. 그런데 토종 오이는 다른 세계를 보여준다. 이 녀석은 처음 한동안은 수꽃만 핀다. 수꽃들로 웬만큼 자리가 잡혔다 싶을 때 암꽃이 하나 둘 고개를 내민다. 이 암꽃을 수정시키려는 수꽃의 노력이 눈물겹다. 수꽃 하나가 핀 마디에서 다시 여러 개 수꽃이 시간 차이를 두고 피어나는 것이다. 어떤 암꽃이든 씨앗을 품은 열매를 맺을 수 있게 한다. 농작물 처지에서 꽃을 피운다는 건 대단한 생명활동이다.
이 토종 오이는 생긴 건 ‘짜리몽땅’하다. 한 뼘 정도 자라면 통통하게 옆으로 퍼지듯이 큰다. 그 속에 이듬해 자랄 씨앗을 차곡차곡 품고 있고, 그 씨앗은 부모 세대가 해온 것처럼 생명활동을 마음껏 펼친다. 여름 제철에 햇빛을 충분히 받고, 비바람을 온전히 맞으며 천천히 자란 오이라면 뚝 따서 그냥 먹어도 맛나다. 아마도 햇빛, 땅, 바람 맛을 찬찬히, 충분히 맛봤기에 그 맛을 낼 수 있다고 믿는다.
반면, 돈벌이로만 보자면 이렇게 많이 피는 수꽃들은 그냥 에너지 낭비일 뿐이다. 마치 대규모 양계장에서는 수탉이 쓸모없듯이 말이다. 암탉이 수탉과 교미해서 낳은, 병아리가 될 수 있는 달걀을 유정란(有精卵)이라고 따로 구분하듯이 앞으로는 오이나 고추 같은 작물도 구분이 필요하리라. 유정 오이, 유정 고추…. 자신의 생명을 대물림해줄 수 있는 식재료이니 그 생명력 역시 남다르지 않겠나.
로컬푸드가 슬로푸드
슬로푸드와 패스트푸드의 경계는 뭘까. 무 자르듯 단칼에 자를 수는 없다. 시간은 공간과 맞물려 있어 슬로푸드는 로컬푸드와 떼어놓을 수 없다. 배나 비행기로 수만km를 옮겨왔다면 슬로푸드가 되기는 어려울 것이다. 그런데 이런 식으로 깊이 들어가다 보면 사실 끝도 없으리라. 다만 모두가 조금이라도 그 경계를 자각하고, 할 수만 있다면 그 경계를 허물면서 삶 속으로 자연스레 녹아들려는 노력이 필요하지 않을까. 10년, 아니 100년조차도 자연의 흐름으로 보자면 그야말로 순간이다. 자라고 또 왕성하게 사회활동을 할 때는 제철음식으로 잘 먹다가, 늙어가면서는 먹는 걸 줄이고, 그러다 어느 순간 먹는 걸 멈춘 뒤 죽음을 춤추듯이 맞이할 수 있는 삶이라면 얼마나 좋겠는가. 죽는 순간 바로 자연으로 돌아가, 또 다른 생명으로 거듭날 테니까. 슬로 슬로 퀵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