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자
정용수 기자

한민구
국방위에 이례적 소명 공문 보내
야당 일부 “소명서로 보기 어렵다”
한·일은 내주 국방장관 회담 추진
북핵·미사일 정보 공유 논의

한민구 국방부 장관이 보안 때문에 ‘작계 5015’를 설명할 수 없다고 12일 국회 국방위에 보낸 소명서.
한 장관의 이 같은 소명서로 ‘작계 5015’의 국회 보고를 둘러싼 국방위와 합동참모본부 간 논란이 마무리 수순에 접어들었다. 국회 국방위는 지난달 11일 합참 국감에서 ‘작계 5015’에 대한 설명을 요구했고 합참이 이를 거부해 국감이 한 차례 중단되는 파행을 겪었다. 지난 2일과 5일 열린 국방위 국감에서도 논란은 계속됐다. 이렇게 되자 정두언(새누리당) 국회 국방위원장은 지난 8일 “보고를 하지 못하겠으면 법률을 활용해 소명하라”고 요청했다.
문제는 야당의 반응이다. 국회 국방위 야당 간사인 윤후덕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소명으로 인정할 만한 내용이 없다는 이유로 소명서로 보기 어렵다는 부정적인 견해도 있다”며 “의견을 더 모아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국방위는 전체회의를 열어 이 문제를 놓고 공식 토의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일본 방위상 내주 방한=20일 개막하는 ‘2015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전시회(ADEX)’ 기간 중 한·일 국방장관 회담을 여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고 국방부 당국자가 밝혔다.
한 장관과 나카타니 겐(中谷元) 일본 방위상은 회담이 성사되면 북한 핵과 미사일 관련 정보를 공유하는 것 등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이 당국자는 설명했다. 특히 한 장관은 일본의 안보법제 개정으로 자위대의 해외 파병이 가능해졌지만 한반도에 진출할 땐 한국의 동의가 필수적이라는 점을 강조할 것이라고 한다. 정부 당국자는 “과거사 등 국민 여론이 부정적이면 국방장관회담을 할 수 없다고 해온 국방부의 입장이 바뀐 건 한·일 정상회담을 위한 징검다리 차원”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