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생하는 폐기물과 해양쓰레기 등을 순간 온도 5천 500℃에서 녹여 여기에서 발생된 가스로 전기와 열을 생산·공급하는 최첨단 사업입니다.
전라남도는 5월 13일 동부권 6개 시군 관계자, 남덕진 한국에너지(주) 대표 등이 참석한 가운데 친환경 플라즈마 가스에너지화사업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습니다.
한국에너지(주)는 율촌산업단지에 2021년까지 5천500억 원을 들여 1일 1천200t을 처리할 수 있는 폐기물처리시설을 설치·운영하고 발생되는 가스를 활용해 68㎿ 규모의 신재생에너지를 생산할 계획입니다.
사업 완료 시 폐기물 매립 부지 확보 문제, 침출수 등으로 인한 토양오염과 환경오염 문제, 악취로 인한 환경민원 문제 등이 해소될 전망입니다.
또한 연간 11만 가구가 사용할 수 있는 신재생에너지를 생산함으로써 22만t의 CO2 절감이 예상됩니다.
만약 이러한 플라즈마 가스에너지화사업이 한국에 맞는 신재생에너지 사업이라면 이 사업이 전국적으로 확산 돼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한국에 적합한 신재생에너지 사업이 활성화된다면 미래 성장동력이 하나 더 생기는 셈이네요.
산업인과 소통하는 산업전문미디어 ‘산소통’
[산업일보]
[카드뉴스] 에너지로 변하는 폐기물
우리가 흔히 쓸모 없다 생각하는 폐기물들이 이제는 우리에게 필요한 에너지로 변한다고 합니다.
전라남도가 폐기물과 해양쓰레기 등을 활용해 전기와 열을 생산하는 ‘친환경 플라즈마 가스에너지화사업’에 나선다고 밝혔기 때문입니다.
플라즈마 가스에너지화는 에너지 전문기업인 미국 웨스팅하우스의 플라즈마 기술을 도입해 가정, 산업시설 등에서 발생하는 폐기물과 해양쓰레기 등을 순간 온도 5천 500℃에서 녹여 여기에서 발생된 가스로 전기와 열을 생산·공급하는 최첨단 사업입니다.
전라남도는 5월 13일 동부권 6개 시군 관계자, 남덕진 한국에너지(주) 대표 등이 참석한 가운데 친환경 플라즈마 가스에너지화사업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습니다.
한국에너지(주)는 율촌산업단지에 2021년까지 5천500억 원을 들여 1일 1천200t을 처리할 수 있는 폐기물처리시설을 설치·운영하고 발생되는 가스를 활용해 68㎿ 규모의 신재생에너지를 생산할 계획입니다.
사업 완료 시 폐기물 매립 부지 확보 문제, 침출수 등으로 인한 토양오염과 환경오염 문제, 악취로 인한 환경민원 문제 등이 해소될 전망입니다.
또한 연간 11만 가구가 사용할 수 있는 신재생에너지를 생산함으로써 22만t의 CO2 절감이 예상됩니다.
만약 이러한 플라즈마 가스에너지화사업이 한국에 맞는 신재생에너지 사업이라면 이 사업이 전국적으로 확산 돼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한국에 적합한 신재생에너지 사업이 활성화된다면 미래 성장동력이 하나 더 생기는 셈이네요.
산업인과 소통하는 산업전문미디어 ‘산소통’
'산행기 > 열분해 소각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낙연 전남도지사,국내 최초“폐기물 활용 전기 생산”,‘친환경 플라즈마 가스에너지화사업’에 나선다 (0) | 2016.06.20 |
---|---|
전남도, 전국 첫 광역권 플라즈마 가스에너지화사업 시동 (0) | 2016.06.20 |
익산 '신재생자원센터' (0) | 2016.06.15 |
제주아일랜드에너지(주)중국 운남성 곤명시와 열병합발전소 건설 합의 (0) | 2016.06.10 |
디젤車 미세 먼지 없애는 기술 국내서 개발 (0) | 2016.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