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기/열분해 소각로

목포시‘쓰레기 에너지화’ 환경유해 무검증…시민건강은?

화이트보스 2016. 6. 20. 21:55

목포시‘쓰레기 에너지화’ 환경유해 무검증…시민건강은?

발암·유해물질 발생문제 뒷전 프라즈마 에너지단지 추진
市 “처리비용 年 10~20% 절감... 쓰레기 매립장 대안”
기술지원업체, 특허 유출 우려 안전성·환경평가 자료 미공개

2016. 06.15(수) 19:55

 

[목포=광주타임즈]박재범 기자=목포시가 쓰레기 등을 활용해 에너지를 생산하겠다며 역점 추진중인 ‘프라즈마가스 발전사업’이 다이옥신 같은 환경유해물질 발생을 어떻게 처리할 지 등에 관한 안전성 및 환경평가 조차 검증받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사정이 이런데도 목포시는 폐기물 처리업체와 업무협약서(MOU)에 이어 양해각서(MOA)를 준비하고 있어 시민의 건강을 담보로 부족한 쓰레기매립장 해결에 나섰다는 지적이다.

목포시는 지난 2014년 12월 말 (주)더블유티이목포와 ‘목포시 프라즈마 신재생에너지 단지 건립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의 주요 골자는 목포시에서 발생하는 생활·음식물쓰레기 등을 공급하면 업체는 1800억 원을 투자 유치해 가스화발전시설을 건립해 운영하겠다는 것이다.

목포시 담당자는 업무협약 취지에 대해 “관내 쓰레기매립장 포화로 대책을 강구하던 차에 업체의 제안이 들어왔다”며 “처리비용도 현재보다 10~20% 저렴해 추진을 결정했다”고 말했다.

이처럼 목포시는 포화상태인 쓰레기매립장 문제를 해결하고 업체는 이로 인한 신재생에너지를 발전해 이익을 얻는다는 목적이었다.

박홍률 목포시장도 올해 3월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올해 가장 역점사업으로 추구하는 환경정책에 대한 질문에 “2014년 11월 더블유티이목포에서 생활폐기물을 이용한 플라즈마 가스화발전시설 건립 제안서를 제출해 검토했다”며 “연간 폐기물 처리비용(연간 76억원)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처리가 가능하고 소각시설보다 친환경적이고 기술성 및 안전성 측면에서 우수해 폐기물처리시설 운영비용과 위생매립장 사용기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판단했다”고 밝힌바 있다.

하지만 ‘소각시설보다 친환경적이고 기술성 및 안전성 측면에서 우수하다’는 박 시장의 주장에 대한 과학적 검증은 아직까지 안 된 것으로 드러났다.

목포시의회가 지난 2015년 기술지원에 나선 A업체에 타당성용역을 맡겼지만 ‘특허기술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는 이유로 안전성, 환경평가 등에 관한 자료를 공개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목포시의회 여인두 의원은 “의회에서 프라즈마가스발전 시설에 대한 안전성 문제를 지속적으로 지적해 타당성용역을 A업체에 맡겼으나 환경평가 자료는 공개하지 않았다”며 “프라즈마발전이 현재 검증된 것이 없는데 목포시가 어떻게 시민들의 안전을 책임질 수 있는지 궁금하다”고 말했다.

현재까지 알려진 프라즈마가스발전소 방식은 기술지원을 맡은 A업체가 주요 설비인 가열공간과 이를 연결하는 ‘로’를 만든 뒤 타 업체에서 그 외 설비를 만들게 된다. A업체는 본인들이 설비한 부분에서는 발암 및 환경오염물질을 100% 잡겠다는 주장이지만 그 외 설비는 책임지지 않겠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여인두 의원은 “전세계에서 유일하게 100톤 규모의 플라즈마가스발전소를 건립한 영국은 설비문제로 인해 가동을 하지 못하고 있다”며 “시의 편리만 생각하지 말고 정확한 안전성 검증을 해 시민들에게 알려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업체는 단지 건립을 위해 지난해 12월 목포대양일반산업단지 내 33,511㎡(약 1만여평)를 89억여원에 매입계약하고 분양대금의 10%인 9억여원을 납부했다.

하지만 지난 2월과 4월에 각각 납부해야 할 중도금 9억여원과 45억여원은 아직까지 미납한 것으로 확인됐다.

대양산단 측은 매매계약 조항에 따라 연9%의 ‘지연손해금’을 지급하고 중도금 3개월 지연으로 6월 초 업체에 계약해지를 통보했다. 그러나 업체는 ‘정부의 허가가 지연되고 있어 이번 달 말까지 해지를 연장해주면 중도금과 지연연체금을 납부하겠다’는 답변을 해온 것으로 확인됐다.

기자이름 /박재범 기자
이메일 gjt2525@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