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사회문화/사회 , 경제

브렉시트 후폭풍] 탈퇴파 허위공약에 英국민 분노...재투표 청원 390만명 돌파

화이트보스 2016. 6. 28. 17:46


브렉시트 후폭풍] 탈퇴파 허위공약에 英국민 분노...재투표 청원 390만명 돌파

  • 김명지 기자


  • 입력 : 2016.06.28 14:35

    탈퇴파 웹사이트 전면 개편...기존 공약 삭제 논란
    “허위공약 숨기려는 계략” 트위터에 분노 쏟아내

    지난 23일 영국이 국민투표에서 유럽연합(EU) 탈퇴를 결정한 이후 영국 국민들이 혼란에 휩싸인 가운데, 브렉시트 선거운동을 주도한 탈퇴파들이 ‘거짓 공약’으로 유권자를 호도했다는 비난이 쇄도하고 있다고 인디펜던트 등 영국 현지 언론이 27일(현지시각) 보도했다. 관련기사 ☞[브렉시트 2016] "EU부담금 주당 5800억원?"...英유권자 호도하는 정보들

    보리스 존슨 전 뉴욕시장/연합뉴스
    보리스 존슨 전 뉴욕시장/연합뉴스
    인디펜던트는 “탈퇴파가 선거운동 웹사이트를 전면 개편하면서 잔류 쪽에 투표한 유권자들의 분노가 극에 달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인디펜던트에 따르면 전날까지 브렉시트 이후 누릴 혜택과 관련 링크로 가득 찼던 웹사이트는 27일 오전 ‘감사하다(Thank You)’라는 메모가 담긴 첫 페이지만 남기고 사라졌다.

    영국 인디펜던트는 “트위터에는 이번 웹사이트개편을 두고 탈퇴파들이 허위공약을 숨기기 위한 계략이라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인디펜던트는 “논란이 가열되자 탈퇴파가 슬그머니 메인페이지 상단에 공약을 담은 링크를 추가했다”며 “하지만 이는 과거와 달리 검색 기능이 사라져 찾아보기가 힘들다”고 설명했다.

    인디펜던트는 “더 큰 문제는 논란이 된 허위 공약이 버젓이 홈페이지에 들어가 있단 점”이라고 지적했다. 뉴욕타임스는 이에 대해 “영국 유권자들이 탈퇴파들이 선거운동에 내세운 허위 정보에 얼마나 분노하고 있는지 보여주는 사례”라고 평가했다.

    이번 사태는 국민투표 직후인 24일 ITV에 출연한 나이젤 패라지 독립당 대표가 허위라고 지적받는 브렉시트 관련 공약에 대해 “실수로 그런 말을 한 것 같다. 나는 그런 약속을 한 적이 없다”고 잡아 뗀 것이 발단이 됐다. 탈퇴파인 이언 덩컨 스미스 전 고용연금장관은 “분담금의 큰 몫을 의료서비스에 쓰자는 취지였을 뿐”이라고 말을 흐린 것은 기름을 부었다.

    탈퇴파의 허위 근거는 다음과 같다. 영국이 EU에 내는 공식 예산은 주당 3억5000만 파운드다. 이는 공공의료시스템(NHS) 병원을 매주 하나씩 지을 수 있을 정도의 돈이다. 영국이 내는 돈의 절반도 EU로부터 받고 있지 못하며, 되돌려 받는 돈 지출 통제권도 EU에 있지 영국 정부는 간여하지 못한다.

     브렉시트 찬성파의 주요 공약/브렉시트 찬성(voteleavetakecontrol) 유튜브
    브렉시트 찬성파의 주요 공약/브렉시트 찬성(voteleavetakecontrol) 유튜브
    가디언은 “이 같은 주장은 국민투표 이전부터 논란의 대상이었다”라고 분위기를 전했다. 실제 BBC와 스카이뉴스 등 영국 언론은 영국 정부가 EU에 내는 부담금은 매주 2억 7600만 파운드로, 탈퇴파가 주장한 것보다 현저히 적다고 짚었다. EU는 부담금 가운데 1억 1500만 파운드를 농민 보조금, 대학 자금, 지역 빈곤층 지원 등의 목적으로 되돌려 준다.

    인디펜던트는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리스 존슨 전 뉴욕시장을 비롯한 탈퇴파는 해당 슬로건을 투표 직전까지 선거캠페인 차량에 붙이고 사실인 것처럼 홍보했다”고 지적했다. 탈퇴파를 주도한 인물인 나이젤 패라지 대표는 BBC에 출연해 “EU에 보내는 돈은 3억5000만 파운드보다 훨씬 많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영국 정부 의회 국민투표 청원 사이트 캡쳐
    영국 정부 의회 국민투표 청원 사이트 캡쳐
    영국 국민투표 재투표를 요구하는 국민 청원 서명은 28일 오전 1시(한국시간 오전 9시) 현재 390만 명을 돌파했다. 이는 국민투표에서 잔류를 지지한 1600만명의 24%에 해당한다. 영국에서는 국민 청원 서명이 1만 명이 넘으면 정부가 이 안건을 검토하고, 10만 건이 넘으면 의회에서 논의할 수 있도록 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국민투표 재실시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본다. 뉴욕타임스는 “영국에서 국민투표 실시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의회의 권한”이라며 “스위스처럼 일정한 수의 청원이 모인다고 되는 일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이론적으로는 의회 의결로 재투표가 가능하지만 탈퇴를 주도한 보수당이 다수당인 상황인 가운데 데이비드 캐머론 총리 역시 “재투표는 없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는 상태다. 뉴욕타임스는 이어 “재투표를 하는 것은 이미 실시한 국민투표에서 과반이 넘은 탈퇴 유권자의 의견을 무시하는 것이기 때문에 정치적으로 타당하지도 않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