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차기 이지스함 3척에
탄도미사일 요격 체계 계약
500㎞ 요격 SM-3 탑재 가능
현 이지스함엔 탐지 기능만
“이지스는 동·서해 이동 가능
육지 사드보다 범위도 넓어”
▶추천 기사 성난 3형제 "고아로 살겠다"…6억 생긴뒤 찾아온 친모
해군 관계자는 “세종대왕함 등 이지스함은 SPY-1D 레이더를 통해 1000㎞ 밖의 미사일을 탐지하고 추적할 수 있지만 이를 요격하는 시스템은 빠져 있다”며 “차기 구축함은 요격 능력도 보유하게 됐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빈센트 브룩스 한미연합사령관도 지난 2일 “북한 미사일을 해상에서 요격할 필요성이 있다”고 말했다.
주한미군이 경북 성주에 배치할 예정인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사드) 체계가 육지에서 북한의 미사일을 방어하고, 해상에선 이지스함이 요격에 나서는 입체작전이 가능해진다.
신종우 한국국방안보포럼 사무국장은 “이지스함에는 사드 레이더보다 강력한 레이더가 장착돼 있어 요격 기능을 추가하면 곧바로 ‘바다의 사드’가 된다”며 “사드는 육지에 고정돼 있지만 이지스함은 동해와 서해를 옮겨 다니며 작전을 펼칠 수 있는 이점이 있다”고 말했다.
DA 300
베이스라인 9에는 요격미사일 SM-3 탑재가 가능하다. SM-3의 최대사거리와 요격고도는 각각 500㎞다. 사드의 요격고도(40~150㎞)와 사거리(200㎞)보다 넓다. 군 관계자는 “요격미사일로 SM-3를 도입하는 건 예산(한 발당 약 150억원) 때문에 확정하지 않았지만 베이스라인 9을 장착하는 만큼 들여올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SM-3 미사일은 괌으로 날아가는 미사일을 요격할 수도 있어 미국의 미사일방어(MD) 체계 편입 논란이 불거질 수도 있다.
▶관련 기사
① 미국, 사드로 내년 무수단급 요격 실험
② 한미연합사령관 "진화하는 북한 미사일 방어체계 갖출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