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8
- 0
- 더보기
입력 : 2016.09.29 03:00
[與 의총서 "丁의장 사과가 먼저"… 李대표 제안 뒤집혀]
- 李 "당은 복귀, 저는 단식 계속"
국감 보이콧 여론 안 좋고 黨 일부 이탈 조짐에 결심
- 鄭, 국감 파행 부담되지만…
의총서 다수가 강경론 펼치자 당론 존중해주는 역할 맡은 듯
새누리당이 국정감사 복귀 문제를 놓고 내부 혼란을 빚고 있다. 정세균 국회의장 사퇴를 요구하면서 단식을 하고 있는 이정현 대표가 28일 국감 복귀를 제안했지만, 소속 의원 다수가 반대해 국감 복귀가 무산됐다. 이날 이 대표와 정진석 원내대표 사이에 한때 호흡이 맞지 않는 듯한 장면도 연출됐다.
이 대표는 이날 오후 3시 국회 본관 앞에서 열린 '정세균 국회의장 사퇴 촉구 결의 대회'에서 "어떤 상황에서도 국가와 국민을 위해 성실하게 일해야 한다는 게 나와 새누리당의 소신"이라며 "내일(29일)부터 새누리당 의원들은 국정감사에 복귀해 달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저는 정 의장이 의장직에서 사퇴할 때까지 단식을 계속하겠다"고 했다. 이 대표는 발언을 마치고 옆에 있던 정 원내대표와 꼭 끌어안았다. 하지만 정 원내대표 표정에는 당황한 기색도 엿보였다.
이 대표는 이날 오후 3시 국회 본관 앞에서 열린 '정세균 국회의장 사퇴 촉구 결의 대회'에서 "어떤 상황에서도 국가와 국민을 위해 성실하게 일해야 한다는 게 나와 새누리당의 소신"이라며 "내일(29일)부터 새누리당 의원들은 국정감사에 복귀해 달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저는 정 의장이 의장직에서 사퇴할 때까지 단식을 계속하겠다"고 했다. 이 대표는 발언을 마치고 옆에 있던 정 원내대표와 꼭 끌어안았다. 하지만 정 원내대표 표정에는 당황한 기색도 엿보였다.

정 원내대표는 결의 대회를 마치자 곧바로 이 대표가 단식 중인 국회 본관 당대표실을 찾았다. 그는 대표실에서 불을 꺼놓고 누워 있는 이 대표에게 "내일 당장 국감에 복귀하기는 어렵지 않겠느냐"고 했고, 이 대표는 "의총에서 잘 논의해달라"고 했다. 정 원내대표는 이 대표를 만나고 나오는 길에 기자들에게 "이 대표의 국감 복귀 제안은 나라를 생각하는 충정 아니겠느냐"라고 했다.
하지만 곧바로 열린 긴급 의원총회 분위기는 이 대표 제안과는 반대로 흘렀다. "집권당이 국정을 내팽개쳐서는 안 된다"는 의견도 있었지만 의원 다수가 "해임 건의안 가결 사태에 대한 정 의장의 책임 있는 조치가 이뤄지지 않은 상황에서 국정감사에 복귀할 수는 없다"고 했다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정 원내대표는 국감 복귀를 주장하는 의원들에게 "(단일 대오에서) 이탈하는 데 대해선 좌시하지 않겠다. 당론을 따를 수 없다면 무소속 정치를 하는 게 옳다"며 강경한 태도를 보였고, 의총에선 국감에 복귀하지 않기로 결의했다. 이 대표도 의총 뒤 "하나로 단일대오를 이뤄준 의원들 뜻이 감사하다"고 했다. 자신의 뜻과 다른 결론이 났지만 별로 기분은 나쁘지 않은 듯했다.
이날 상황에 대해 당 관계자들은 "이 대표나 정 원내대표 모두 기본적으로는 국감 파행을 계속 끌고 가는 데 무리가 있다는 데 공감하고 있다"고 했다. 실제 이 대표는 단식에 들어간 지난 26일쯤부터 정 원내대표에게 "언제까지 국감을 파행으로 끌고 가야 할지 걱정"이란 뜻을 나타냈다고 한다. 원내 사령탑으로 국회를 이끌어가야 할 정 원내대표도 "싸우더라도 국회 정상화 가능성도 고민해야 한다"는 입장이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국회 파행에 따른 여론 부담에다 당내 일부가 국감 복귀를 주장하며 '단일 대오'에서 이탈할 조짐을 보이고 있는 것도 이 대표와 정 원내대표에겐 부담이다. 실제 이날 오전 최고위원·중진 연석회의에선 국감 복귀를 검토해야 한다는 의견이 적잖게 나왔다.
하지만 국감 복귀에 반대하는 당내 강경파 의원들은 "이 대표가 단식에 들어갈 때도 덜컥 저지르더니 국감 복귀도 느닷없이 발표해 상황이 어그러진 측면이 있다"며 "뭔가 원칙이 있어야 할 것 아니냐"고 했다. 이날 의총 진행 도중 친박(親朴)계 좌장인 서청원 의원이 기자들과 만나 "국감 복귀는 해야 한다. 그러나 오늘은 타이밍이 아니다"라고 한 것도 이런 맥락이다. 원내 협상을 담당하는 정 원내대표로선 다수 의원이 강경 입장을 보이는 상황에서 국감 복귀를 먼저 제안하기도 쉽지 않다. 이 대표와 정 원내대표는 이처럼 강경한 당내 분위기와 여론 사이에서 줄타기를 하고 있는 셈이다. 이정현·정진석 '투톱'의 이 같은 고민과 상황이 이날 입장이 다른 듯 보 이는 결과로 나타난 것이란 해석이다. 일각에선 "이 대표는 여론을 의식하는 모습을 보이고, 정 원내대표는 당론을 존중하는 행동을 보이는 쪽으로 역할 분담을 한 것 아니냐"는 관측도 있었다. 이 때문에 당내에선 "국감 보이콧이 며칠간 더 이어지겠지만 이 대표의 이번 제안을 계기로 주말쯤에는 국감 복귀 쪽으로 방향이 잡힐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곧바로 열린 긴급 의원총회 분위기는 이 대표 제안과는 반대로 흘렀다. "집권당이 국정을 내팽개쳐서는 안 된다"는 의견도 있었지만 의원 다수가 "해임 건의안 가결 사태에 대한 정 의장의 책임 있는 조치가 이뤄지지 않은 상황에서 국정감사에 복귀할 수는 없다"고 했다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정 원내대표는 국감 복귀를 주장하는 의원들에게 "(단일 대오에서) 이탈하는 데 대해선 좌시하지 않겠다. 당론을 따를 수 없다면 무소속 정치를 하는 게 옳다"며 강경한 태도를 보였고, 의총에선 국감에 복귀하지 않기로 결의했다. 이 대표도 의총 뒤 "하나로 단일대오를 이뤄준 의원들 뜻이 감사하다"고 했다. 자신의 뜻과 다른 결론이 났지만 별로 기분은 나쁘지 않은 듯했다.
이날 상황에 대해 당 관계자들은 "이 대표나 정 원내대표 모두 기본적으로는 국감 파행을 계속 끌고 가는 데 무리가 있다는 데 공감하고 있다"고 했다. 실제 이 대표는 단식에 들어간 지난 26일쯤부터 정 원내대표에게 "언제까지 국감을 파행으로 끌고 가야 할지 걱정"이란 뜻을 나타냈다고 한다. 원내 사령탑으로 국회를 이끌어가야 할 정 원내대표도 "싸우더라도 국회 정상화 가능성도 고민해야 한다"는 입장이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국회 파행에 따른 여론 부담에다 당내 일부가 국감 복귀를 주장하며 '단일 대오'에서 이탈할 조짐을 보이고 있는 것도 이 대표와 정 원내대표에겐 부담이다. 실제 이날 오전 최고위원·중진 연석회의에선 국감 복귀를 검토해야 한다는 의견이 적잖게 나왔다.
하지만 국감 복귀에 반대하는 당내 강경파 의원들은 "이 대표가 단식에 들어갈 때도 덜컥 저지르더니 국감 복귀도 느닷없이 발표해 상황이 어그러진 측면이 있다"며 "뭔가 원칙이 있어야 할 것 아니냐"고 했다. 이날 의총 진행 도중 친박(親朴)계 좌장인 서청원 의원이 기자들과 만나 "국감 복귀는 해야 한다. 그러나 오늘은 타이밍이 아니다"라고 한 것도 이런 맥락이다. 원내 협상을 담당하는 정 원내대표로선 다수 의원이 강경 입장을 보이는 상황에서 국감 복귀를 먼저 제안하기도 쉽지 않다. 이 대표와 정 원내대표는 이처럼 강경한 당내 분위기와 여론 사이에서 줄타기를 하고 있는 셈이다. 이정현·정진석 '투톱'의 이 같은 고민과 상황이 이날 입장이 다른 듯 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