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산 정령치에 설치된 생태 이동통로.[중앙포토]
산림청은 2025년까지 백두대간 훼손지의 20%를 다시 건강한 숲으로 복원할 계획이다. 지금까지도 백두대간 마루금 주변의 버려진 군사시설을 철거하고 복원하는 작업을 계속하고 있다. 강원도 고성군 간성읍의 마산봉, 인제군 구룡령 덕봉, 평창군 대관령, 경북 김천시 바람재 등에서 2006~2011년 복원사업을 진행해 모두 33㏊의 숲이 복원됐다.
환경부와 산림청, 지방자치단체에서는 도로로 끊어진 백두대간을 연결하기 위해 생태 이동통로를 설치하고 있다. 2012년에 이화령(충북 괴산), 2013년 육십령(전북 장수군)에 생태 이동 통로를 설치했다. 또, 지리산 정령치와 전북 장수군의 육십령, 경북 문경시의 벌재에도 생태 이동통로를 완공했고, 다른 지역에서도 공사가 진행 중이다. 하지만 등산객 편의 위주로 건설되고 있는 생태 이동통로를 생태계의 연결이나 야생동물 보호에 초점을 맞춰 진행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등산로 훼손에 대한 대책도 시급하다. 녹색연합 서재철 전문위원은 “해외에서도 핵심 생태계 보호구역에 등산객을 무방비로 출입시키는 경우는 별로 없다”며 “백두대간도 산행 예약제를 통해 이용객 숫자를 제한하거나, 가이드를 동행시키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일부 전문가들은 “백두대간뿐만 아니라 9개 정맥 마루금 주변도 핵심 보호구역이나 완충구역으로 지정해 보호할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마루금 양쪽 300m까지는 핵심구역으로, 마루금 양쪽 300~1000m까지는 완충구역으로 지정한다면, 핵심구역 15만㏊와 완충구역 26만㏊ 등 모두 41만㏊가 보호를 받을 수 있다는 주장이다.
하지만, 백두대간과는 달리 정맥 주변에서는 주민 재산권 차원에서 소규모 개발사업은 어느 정도 허용할 필요가 있다는 반론도 있다.
결국 보호구역 확대 지정 같은 정부의 직접적인 규제도 필요하지만, 무분별한 개발을 근본적으로 예방하려면 지역주민과 지방자치단체가 주도해서 보호 방안을 마련하는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전체댓글0
게시판 관리기준
- 조인스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
[알림] 소셜 로그인을 활용해 손쉽게 의견을 작성해보세요.댓글을 작성할 수 있는 새로운 오픈 댓글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