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같은 선진국과 스타벅스 등이 플라스틱 빨대 퇴출에 나서고 있지만 우리나라의 플라스틱 빨대 관리는 엉망이다. 폴리프로필렌(PP) 단일 재질인 빨대는 분리 선별만 하면 거의 대부분 재활용이 가능하다.
하지만 무게가 가벼운 빨대는 비용 대비 경제적 가치가 떨어져 선별 및 처리업체로부터 외면받고 있다. 애초에 분리 선별해 배출하는 커피전문점 빨대 등 극히 일부를 제외하고 시민들이 버린 대다수의 빨대는 재활용되지 못한 채 쓰레기로 소각되거나 매립된다.
정부도 이런 사실을 알지만 빨대 폐기물 양이 다른 플라스틱 폐기물과 비교해 적고 딱히 대체품이 없다는 이유로 특별한 대책을 내놓지 않고 있다. 그러는 사이 빨대 사용량은 어마어마하게 늘고 있다.
10일 오후 1시간 반 동안 서울의 한 프랜차이즈 식음료점 2곳에서 사용한 빨대를 세어보니 100개가 넘었다. 스타벅스코리아는 명동역점 한 곳에서만 하루 300∼350개의 빨대가 사용된다고 밝혔다. 1년이면 약 12만 개다. 자원순환사회연대는 서울 1만1000곳의 프랜차이즈 전문점에서 사용하는 빨대만 연간 3억5000만 개에 이를 것으로 추산한다.
플라스틱 빨대는 선별 안된채… 11일 경기 고양시 일산동구의 한 재활용품 선별업체에서 플라스틱 등 재활용품에 대한 선별작업이 한창이다. 곳곳에 빨대가 눈에 띄었지만 모두 폐기할 쓰레기로 분류했다. 빨대 대부분에 이물질이 묻어 있다는 이유에서다. 고양=김재명 기자 base@donga.com
그럼에도 정부는 5월 페트와 일회용 컵, 비닐 등을 포함해 대대적인 폐기물 감축 대책을 발표하면서 빨대와 관련한 내용은 포함시키지 않았다. ‘자원 절약과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에서 규정한 ‘사용억제·무상제공금지 대상 일회용품’에도 빨대는 없다. 이 법에서 일회용품으로 규정하면 정부가 각 업종에서 판매와 제공을 제한할 수 있다. 현재 빨대는 법적으로 사용을 규제하거나 재활용을 촉진할 아무런 근거가 없는 셈이다. 최근 정부가 커피전문점, 빵집 등과 맺고 있는 자발적 플라스틱 감축 협약에도 빨대 감축 내용은 없다. 파리바게뜨만이 자체적으로 감축을 약속한 상태다.
정부는 국제 동향에 발맞춰 플라스틱 쓰레기 감축의 상징이 된 빨대 대책을 내놓겠다고 밝혔다. 환경부 관계자는 “조만간 빨대 감축 대책을 마련할 예정”이라며 “커피전문점 등과의 자발적 협약을 맺을 때도 빨대 내용을 추가하겠다”고 말했다.
이미지 기자 image@donga.com
고양=한성희 인턴기자 한양대 경영학부 4학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