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8.10.14 12:00
- ▲ ITER 어셈블리 빌딩 입구에서 어셈블리 공간 방향으로 촬영한 파노라마 사진. /김민수 기자
양형렬 ITER 토카막조립부 어셈블리 서포트 팀장은 핵융합 실증로의 핵심 부품인 진공용기 섹터가 TF코일과 조립되는 ‘어셈블리 빌딩’에서 이같이 설명했다.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는 장치인 도넛 형태의 진공용기는 총 9개의 섹터로 구성된다. 이 중 1번과 6, 7, 8번 섹터 제작을 한국이 맡았고, 현대중공업이 현재 6번 섹터를 제작 중이다. 6번 섹터의 공정률은 약 84%로, 9개의 섹터 중 가장 빨리 제작되고 있다. 프랑스 카다라슈는 인류 역사상 최대 규모 프로젝트인 ‘인공 태양’ 구축 사업에서 가장 ‘말도 안되는’ 엔지니어링을 한국 과학자들과 기업이 세계에서 최초로 시도하려는 곳이었다.
◇ 공정률 57% ITER...7년 뒤 지구에서 인공 태양 뜬다
스스로 빛과 열을 내는 ‘항성’인 태양을 지구에서 ‘인공적으로’ 만들 수 있다면 화석연료로 인한 환경오염 고민도, 탈원전 논란도 필요없다. ‘인공태양’으로 물을 끓여 나오는 증기로 터빈을 돌리면 전기에너지를 무제한으로 생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인공태양은 태양이 열을 내는 원리인 핵융합 반응을 그대로 구현하면 된다.
수소 원자끼리 융합할 때 헬륨 원자핵으로 바뀌면서 잃게 되는 질량만큼 중성자가 튀어나오는 게 핵융합 반응이다. 이 때 튀어나오는 중성자는 엄청난 열에너지를 갖고 있는데 이 에너지를 이용하는 게 핵융합 에너지다. 핵융합 재료인 중수소와 삼중수소 1g만으로 이론상 석유 8톤을 이용해 만드는 에너지 분량을 생산한다.
태양은 핵융합 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 조건인 플라즈마(원자핵과 전자가 분리된 기체) 상태를 스스로 만들 수 있다. 중심부 약 1400만℃의 온도에서도 플라즈마 상태를 꾸준히 유지한다. 태양 자체의 큰 질량과 어마어마한 중력이 플라즈마를 촘촘한 밀도로 가두기 때문이다.
하지만 태양 질량의 0.0003%에 불과한 지구에서는 사정이 다르다. 핵융합 반응은 플라즈마의 밀도와 온도를 곱한 값이 일정 수준을 넘어설 때 지속될 수 있다. 태양만큼 큰 중력을 얻기 힘든 지구에서는 태양에서의 플라즈마 밀도를 만들기 어렵다. 때문에 지구에서 핵융합 반응을 지속하려면 태양보다 훨씬 높은 1억℃의 초고온 플라즈마를 만들어 태양보다 부족한 밀도를 상쇄해야 한다. 이처럼 초고온 플라즈마 상태로 핵융합 반응이 지속되는지 실증하기 위한 연구가 바로 ITER 프로젝트다.
- ▲ 프랑스 남부 카다라슈 ITER 현장 입구에 ITER 회원국의 국기가 걸려있다. /ITER 제공.
ITER는 초고온 플라즈마를 자기장을 이용해 가두는 자기 밀폐형 핵융합 장치인 ‘토카막’으로 구현된다. 토카막은 러시아에서 처음 개발됐다. 도넛 형태의 진공 용기에 수소를 넣은 뒤 1억℃가 넘는 초고온 플라즈마 상태로 만든다. 플라즈마가 진공 용기에서 새어나가지 않고 플라즈마 상태인 수소 원자핵이 서로 만나 융합반응이 원활이 일어나는 플라즈마 밀도를 유지하기 위해 강력한 자기장을 수직과 수평방향으로 걸어준다.
- ▲ 하늘에서 바라본 ITER 건설 현장. 왼쪽 둥근 모양의 구조물이 토카막 장치가 들어가는 토카막 콤플렉스다. /ITER 제공.
◇ 지구상에서 가장 큰 보온병·액체헬륨 생산시설 보유
토카막을 구성하는 도넛 형태의 진공용기를 9개로 나눈 섹터와 TF코일 조립은 높이 22m, 폭 20m, 무게 900톤에 달하는 2기의 SSAT(섹터부조립장비)가 맡는다. 현재 ‘어셈블리 빌딩’에는 SSAT 1기가 한국에서 만들어져 이미 설치됐다. 나머지 1기도 조만간 설치될 예정이다.
- ▲ 한국에서 만들어져 ITER 어셈블리 빌딩에 설치된 SSAT. /김민수 기자.
- ▲ 지상 1층에서 바라본 토카막 콤플렉스 내부. /김민수 기자
양형렬 팀장은 "크라이오스탯은 스테인리스 스틸 소재로 만들어지는데 가장 큰 기술적 난제는 용접"이라며 "스테인리스 스틸은 열에 쉽게 휘어지기 때문에 기계적·구조적 변형을 최소화하는 용접 기술이 핵심"이라고 말했다. 현재 크라이오스탯은 아랫부분에 해당되는 ‘베이스(base)’와 베이스 위에 얹히는 ‘로어(lower)’의 절반이 제작중이다. 베이스 무게는 1000톤, 로어 절반의 무게는 900톤에 달한다.
- ▲ 제작중인 크라이오스탯 ‘로어’의 절반 부분. 무게만 900톤에 달한다. /김민수 기자.
◇ 핵융합 발전 상용화 언제 이뤄질까
ITER의 쏠린 전세계의 시선은 언제쯤 핵융합 에너지를 상용화할 수 있을까다. ITER 회원국들은 2025년 수소와 헬륨을 이용한 최초 플라즈마 가동으로 ITER가 문제없이 작동하는지를 확인한 후 실제로 가장 강력한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는 중수소-삼중수소를 이용한 플라즈마 가동을 2035년에 진행한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
- ▲ 꿈의 에너지를 지구에 공급하는 ITER 건설현장을 지구에 담았다. /ITER 제공.
'산행기 > 열분해 소각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마사회 동물사체(폐마) 일괄투입식 소각로 설치현장 말이나 돼지등 (0) | 2019.01.06 |
---|---|
애견화장로 (0) | 2019.01.06 |
가축 이동식소각로 필요하다 (0) | 2018.10.14 |
구제역 창궐, 살처분 매몰지 오염 '빨간불' (0) | 2018.10.14 |
최신 설비로 교체, 다이옥신 낮춰라’고양시 (0) | 2018.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