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은 임대료 내고 스마트팜 도전… AI-로봇-나노기술과 농업 연계
유리온실 등 해외서도 투자 활발
농림축산식품부는 전국 시도를 대상으로 혁신밸리 대상지역을 공모해 평가를 거친 결과 상주시와 김제시를 대상지로 선정했다고 2일 밝혔다. 스마트팜 혁신밸리는 ICT를 활용한 스마트팜과 청년창업 보육센터, 실증단지 등 연구시설을 한데 모은 대규모 단지다. 농식품부는 2022년까지 전국에 4곳의 혁신밸리를 조성키로 한 계획에 따라 이번에 2개 지역을 선정한 것이다.
○ 4년 내 4곳에 혁신밸리
혁신밸리 조성이 확정된 상주시와 김제시에는 20ha(헥타르)의 스마트팜과 창업보육센터 등이 들어선다. 상대적으로 적은 임대료를 내고 스마트팜에 도전할 수 있는 임대형 스마트팜, 기업과 연구기관이 기술을 개발하고 시험하는 실증단지도 2021년까지 들어선다.
이들 혁신밸리에는 기반 조성비를 포함해 1곳당 약 2000억 원의 국비와 지방비가 투입된다. 파프리카와 토마토, 딸기 등 고부가가치 농산물을 생산하고 청년 농업인을 양성할 계획이다. 농기계 생산부터 농작물 가공, 유통 등 전후방산업을 함께 육성하는 프로젝트다.
상주시는 사벌면 일대에 혁신밸리를 조성하고 청년농 육성 프로젝트와 연계해 매년 스마트팜 전문인력을 80명씩 배출할 계획이다. 또 스타트업 캠퍼스를 만들어 멘토링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펀드도 조성할 계획이다. 김제시도 백구면 일대 노후화된 시설을 스마트팜으로 전환하고 지역 농업인 중심으로 생산·유통체계를 만들 계획이다.
농식품부는 지자체가 제출하는 기본계획을 검토해 올해 말까지 사업을 승인하기로 했다. 이후 내년 초부터는 창업보육센터와 임대농장 등 핵심시설 조성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김기환 농식품부 스마트팜 태스크포스(TF) 팀장은 “농업 기반이 없는 청년들에게도 기술교육과 스마트팜 창업기회를 제공할 뿐 아니라 기업이 가진 기술을 직접 적용할 수 있어 혁신생태계를 만들어낼 것”이라고 말했다.
○ 해외서는 스마트팜 투자 많아
해외에서 이런 스마트팜 시장은 경쟁이 치열하다. 중소기업청은 글로벌 스마트팜 시장이 매년 13% 이상씩 성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미국은 농업에 사물인터넷(IoT)은 물론 나노기술, 로봇기술 등을 접목하는 시도를 하고 있다. 구글은 토양, 수분, 작물에 대한 빅데이터를 수집해 종자관리와 비료·농약 살포에 도움을 주는 인공지능 의사결정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글로벌 스마트팜 투자도 활발하다. 해외에서는 농업 기술(Agriculture Technology)이라는 뜻으로 ‘어그테크’라고 부른다. 2015년 한 해 동안 어그테크에는 전 세계적으로 45억7300만 달러가 투자됐다. 이는 전년도의 23억6100만 달러보다 93.6% 늘어난 규모다. 농식품부는 “첨단시설에서 1년 내내 안정적으로 농산물이 생산되면 수출에도 큰 도움을 줄 수 있다”며 “유능한 청년을 농촌으로 끌어들이면서 전후방 산업에 대한 투자도 늘어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세종=최혜령 기자 herstory@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