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기/발전사업 해양쓰레기

광주 올 하반기 ‘쓰레기 대란’ 온다 나주열병합발전소 가동 중단에 광주 쓰레기 처리 한계 직면 처리 비용 5배 치솟아 민간 업체 ‘수거 거부 선언

화이트보스 2019. 6. 10. 10:30

광주 올 하반기 ‘쓰레기 대란’ 온다

나주열병합발전소 가동 중단에 광주 쓰레기 처리 한계 직면
처리 비용 5배 치솟아 민간 업체 ‘수거 거부 선언’ 가능성도
2019년 06월 03일(월) 04:50
2일 찾아간 장성군 서삼면 용흥리 복합물류 센터 야적장에 광주 SRF제조시설에서 만든 ‘폐기물 고형 연료’가 파란색 덮개가 씌워진 채 1년 6개월 이상 장기 보관 중이다. 이 곳에 보관 중인 6만 t의 폐기물 고형연료는 나주열병합발전소로 납품돼 연료로 쓰일 예정이었으나, 혁신도시 주민들이 대기오염물질 배출 의혹을 제기하면서 발전소가 멈춰 오갈데 없는 신세가 됐다. /장성=최현배 기자 choi@kwangju.co.kr
‘광주 쓰레기 대란’이 초읽기에 들어갔다. 광주지역 쓰레기로 만들어진 SRF(폐기물 고형 연료)를 연료로 사용하던 나주열병합발전소 가동이 중단된데 따른 것이다. <관련기사 3면> 광주SRF생산 시설을 통해 쓰레기를 처리하던 기존 시스템이 무너지면서, 민간시설에서 소각처리되는 쓰레기보다 가정에서 쏟아져나오는 양이 웃도는 것이 쓰레기 대란 가능성을 키우고 있다.

SRF시설로 저가에 넘겨지던 쓰레기가 민간 소각시설로 넘겨져 처리되다보니, 업체 비용 부담도 이전보다 5배 가량 치솟은 점도 상황을 악화시키고 있다. 쓰레기 처리업계 일각에서는 처리 비용 폭증으로 1년여간 경영난에 시달려온 업체들이 수거 거부라는 초유의 선언을 할 가능성마저 거론되고 있다. 

2일 광주시에 따르면 광주에서 배출되는 생활 쓰레기는 지난 2017년부터 광주 양과동 SRF제조시설로 보내졌다. 가연성 쓰레기는 이 곳에서 고형연료로 재탄생했고, 2018년 1월부터는 나주열병합발전소로 공급될 예정이었다.

공짜로 넘기는 게 아니라 쓰레기로 만든 고형연료 1t당 1만8000원에, 전량(일 300t) 판매하기로 돼 있었다. 광주SRF시설 사업자인 청정빛고을(주)과 나주열병합발전소 사업자인 한국지역난방공사가 맺은 계약에 따른 것이다. 

하지만 나주열병합발전소가 2017년 말 시험 가동 과정에서 주민 반발에 부딪혀 정상 가동이 무기한 연기됐고, 불똥은 곧 광주로 튀어 광주SRF시설도 가동이 중단됐다. 광주 SRF 시설에서 고형연료를 만들어내도 보낼 데가 없기 때문이다. 

나주열병합발전소를 운영하는 한국지역난방공사 역시 광주에서 생산된 1년치 고형연료 6만t을 인수하지 못하고 장성의 한 물류창고 야적장에 임시로 맡겨두고 있다. 

현재 1년 이상 방치된 고형연료는 광주·나주·장성 지자체와 사업자 등 다자간 갈등의 뇌관으로 언제든 비화될 태세다. 

더 큰 문제는 나주열병합발전소 무기한 가동 연기로 광주 쓰레기 대란을 몰고 올 것이란 점이다.

나주열병합발전소 가동 연기→광주SRF시설 가동중단(2018년 1월)→양과동 광역매립장 반입량 폭증(매립장 사용 연한 단축)→광역매립장 가연성 폐기물 반입 전면 중단(2019년 5월)→가연성 폐기물 처리량 폭증과 처리비용 급상승→폐기물 처치 곤란 사태로 연결되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가연성 폐기물 가운데 오염물이 잔뜩 묻어 재활용되지 못하는 폐비닐·플라스틱 등 ‘잔재물’이 특히 골치다. 

광주시와 업계에 따르면 가연성 재활용 잔재물은 광주SRF시설과 매립장 모두에서 반입 불가되면서 처리 비용이 이전보다 무려 5배(t당 3만8000원→20만원) 이상 치솟았다. 

광주시와 자치구, 업계는 올 하반기를 위기로 보고 있다. 처리 비용 폭증으로 경영난에 시달리는 수거업체들이 ‘수거 거부 선언’을 할 것이란 우려가 곳곳에서 제기되는데다, 쓰레기 발생량이 민간 소각시설로 넘겨져 처리되는 쓰레기 양을 웃돌면서 ‘올 하반기에는 처리 한계 상황에 맞닥뜨릴 것’이란 전망이 고개를 들면서다.

이달부터 일부 쓰레기 수거업체가 요금 인상을 개별 공동주택에 통보하면서 파열음이 터져나오는 것도 하반기 쓰레기 대란 요인 가운데 하나다. 자치단체와 업계 일각에서는 올 봄 광주 동구에서 발생한 재활용품 불법 매립 사건처럼 처리 비용 증가 부담을 이기지 못한 업체의 추가 일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김형호 기자 khh@kwangju.co.kr 

/장성=김용호 기자 yong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