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라카이 똥내, 폐쇄하라"..두테르테 분노, 제주는 부럽다천권필 입력 2019.07.12. 05:00 수정 2019.07.12. 06:43
관광객 '오버투어리즘' 막을 대책은
피피섬 해변 매일 4000명 찾으며
산호 사라지자 관광 금지 처방
제주 연 1500만 찾아 수용한계
1인당 하루 1500원 환경세 검토
CNN 등 외신에 따르면 최근 태국 국립공원관리국은 1년 예정이었던 폐쇄 기간을 연장해 2021년까지 문을 닫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 기간에 어린 산호를 깊은 바다로 옮겨 심는 등 망가진 생태계를 복원하는 데 총력을 기울일 계획이다. 송탐숙사왕 태국 국립공원관리국 소장은 “자연이 완전히 회복되기까지는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며 “우리 팀은 3개월마다 회복 상황을 평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두테르테 “보라카이는 시궁창”…6개월 폐쇄
하지만 열악한 환경 인프라로 인해 쓰레기가 산더미처럼 쌓이고 하수가 범람하는 등 몸살을 앓았다. 하루 평균 100t에 달하는 쓰레기가 배출되지만 처리할 수 있는 양은 30t밖에 되지 않았다. 이에 로드리고 두테르테 필리핀 대통령은 지난해 2월 “보라카이는 시궁창이다. 내가 가봤더니 해변에서 불과 20m 떨어진 곳에 쓰레기가 있고, 물속에서는 똥 냄새가 난다”며 보라카이의 환경오염 문제를 해결하라고 강력하게 주문했다.
인도네시아의 최대 휴양지인 발리 섬 역시 급증하는 쓰레기가 가장 큰 골칫거리다. 발리 환경청에 따르면 매일 3800t의 쓰레기가 나오는데, 이 중 60%만 쓰레기 매립지에서 처리되고 나머지는 해변에 쌓인다. 이에 발리 당국은 외국인 관광객에게 10달러(1만1700원)의 관광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이 돈은 플라스틱 쓰레기 처리 등 환경을 개선하는 데 활용할 계획이다.
10년 새 관광객 급증…환경 문제 불러와
제주도의 경우 2009년 저가항공이 활성화된 이후 지난 10년 동안 관광객 숫자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 오버투어리즘 문제가 불거지기 시작했다. 제주 관광객 수는 2008년 582만 명에서 지난해 1480만 명으로 3배 가까이 늘었다. 해마다 100만 명씩 관광객이 증가한 셈이다. 자동차 등록 대수는 2007년 23만 대에서 지난해 55만 대, 생활 쓰레기 발생량은 2007년 595t에서 2017년 1312t으로 늘었다. 결국 제주도가 수용 가능한 수준을 넘어서면서 쓰레기·생활하수·대기오염 등 각종 환경 문제가 터져 나오기 시작했다.
강성일 제주대 산학협력단 연구원은 “제주도에서 예측한 것 이상으로 빠르게 관광객 수가 늘어나다 보니 쓰레기와 상하수도 문제 등 오버투어리즘의 전조 현상들이 나타나고 있다”며 “그런데도 제주도가 가진 ‘청정 이미지’를 어떻게 관리할지 환경 정책의 청사진은 아직 보이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환경세 도입 검토…“지속가능한 관광 전환해야”
하지만 환경세를 걷더라도 지나치게 큰 액수를 부과할 수도 없어 실제 관광객 수를 억제하는 데는 큰 효과가 없을 것이라는 반론도 적지 않다. 고철주 제주도 환경정책과장은 “환경보전 기여금 제도 도입의 필요성에는 공감대가 형성돼 있지만, 관광업계의 반발이 커 현재 여론 수렴을 확대하는 중”이라고 말했다.
양적으로 팽창해 온 제주 관광 정책을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홍영철 제주참여환경연대 공동대표는 “관광객들은 환경 자원을 보고 제주도에 오지만 지금의 제주 환경은 ‘청정 제주’라고 보기엔 어려운 게 현실”이라며 “수용력을 넘어선 관광객에게 대응할 수 있는 환경적인 대책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천권필·김정연 기자 feeling@joongang.co.kr
'산행기 > 발전사업 해양쓰레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폐기물 재활용,바이오가스 현황과 실태 (0) | 2019.07.13 |
---|---|
익산쓰레기 압축포장에만 6년간 160억원 (0) | 2019.07.13 |
장충남 군수, 현장 소통행정 전개 재활용 현장 방문 (0) | 2019.07.11 |
폐기물을 자원으로 세외수입 쑥쑥 2013년 12월 01일(일) 14:00 [남해신문] ⓒ 남해신문 남해군, 2013년도 (0) | 2019.07.08 |
폐기물에서 금맥 찾다 (0) | 2019.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