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몸신이다 어패류와 생수에 미세 플라스틱 오염
미세 플라스틱.미세플라스틱섭취.정수기 미세 플라스틱. 나는 몸신이다 미세 플라스틱.미세플라스틱 배출. 생수 미세 플라스틱.어패류 미세 플라스틱.바다오염 바다 미세플라스틱 바다 위의 쓰레기 섬 대한민국 면적의 16배 매년 1.200만톤의 쓰레기가 바다로 전체 바다로 약 51조 개의 미세 프라스틱 우리의 바다는 안전할까 대한민국 바다는 프라스틱 쓰레기로 오염되어 있다. 세계 최고의 바다 쓰레기 왕국 대한민국 지금도 버려지는 플라스틱 쓰레기 그 쓰레기의 종착역은? 18만톤의 미세플라스틱의 역습 바다 속 어패류에서 우리 식탁으로 올라온 미세 플라스틱 쓰레기가 우리 몸속으로 들어온다. 미세 플라스틱이 얼마나 심각한 상황인지? 전세계저으로 가장 심각한 환경문제 플라스틱 우리나라는 예외일 거라 생각하시겠지만 다른 나라들보다 플라스틱으로 인한 환경 문제가 심각한 상황에 놓여 있는 한국. 우리나라 한 해 플라스틱 사용량은 약 600만 톤 인구 한 명당 132kg 플라스틱을 제조하는 63개국 중 세계 3위로 미국.일본보다도 높은 수치로 우리나라 플라스틱 사용량은 세계 최고의 수준입니다. 우리나라 한 해변에서 1제곱미터 당 미세 플라스틱 약 2.776개 약 1만 4천 개 넘는 미세 플라스틱 발견 우리나라 해변 1제곱미터에 이렇게나 많은 양의 미세 플라스틱이 있다는 것입니다. 인근 국가 일본에 비해 약 15배나 높은 수치에 달합니다. 우리의 밥상이 위협받는 게 너무나 당연하고 위협적인 사실입니다. 일상 생활에서 미세 플라스틱이 얼마나 많이 침투해 있는지에 대한 실험결과가 공개됩니다. 미세 플라스틱으로부터 가족을 지켜라. 미세 플라스틱은 아주 작은 크기의 플라스틱 일반적으로 크기가 5mm 이하면 미세 플라스틱으로 분류됩니다. 미세 플라스틱 5mm 이하 1mm의 미세 플라스틱 실제로 둥근 모양이 아닌 미세 플라스틱 입니다. 실제 환경에서 발견되는 미세 플라스틱은 다양한 풍화 과정으로 아주 잘게 쪼개집니다. 실제로 삐죽삐죽한 다양한 형태의 모양으로 발견되는 미세 플라스틱은 상당히 날카롭게 보이는 형태를 가르키고 있습니다. 사진에 있는 미세 플라스틱은 우리나라 해변에서 발견된 것입니다. 플라스틱은 세상에 만들어져 나오는 순간부터 완전히 사라지지 않고 잘게 쪼개지기만 할 뿐입니다. 우리가 플라스틱을 생성해서 만들어서 사용한지가 100년이 채 안됩니다. 그런데 100년 전 사용한 플라스틱들이 아직도 존재하고 지구를 오염시키고 있다고 합니다. 중요한 것은 분해되지 않고 그 크기가 그대로가 아닌 잘게 부수어져서 우리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미세하게 우리 주위를 에워싸고 있다고 합니다. 버려진 플라스틱 제품이 하천이나 바다로 들어가면 오랜 시간 동안 자외선.바람.파도.해류에 잘게 쪼개져서 그렇게 만들어진 알갱이가 바로 미세 플라스틱입니다. 미세 플라스틱을 물고기는 물론 사람들도 모르고 먹을 수가 있다는 것입니다. 크기가 작기 때문에 미세 플라스틱은 플랑크톤이나 먹이사슬을 통해 작은 물고기부터 큰 물고기까지 차례로 섭취를 해서 우리 몸속까지 들어오게 된다고 합니다. 생선 내장에서 발견된 플라스틱은 생각보다 많은 양이 들어있어서 환경의 오염에 위험을 느끼게 됩니다. 미세 플라스틱 크기 약 63마이크로메타 먹이로 오인하는 플라스틱을 먹고 있는 물고기 실험입니다. 최근 연구에서는 사람의 대변에서 미세 플라스틱을 발견 했습니다. 오스트리아.핀란드.영국.이탈리아.일본.네덜란드. 폴란드 및 러시아의 건강한 남녀 8명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10g의 대변당 20개의 미세 플라스틱이 발견되었다. 미세 플라스틱이 사람의 인체로 유입되는 것이 명확하게 확인된 연구 결과 대변으로 빠져나온 미세 플라스틱 크기가 비교적 큰 것들입니다. 크기가 작으면 작을 수록 배출이 잘 되지 않는 것이 문제 입니다. 입자 크기가 150마이크로메타인 경우 몸 밖으로 90%이상 배변 활동을 통해서 배출이 됩니다. 하지만 미세 먼지가 150마이크로메타보다 작은 경우 우리 몸의 림프액이나 장기에도 흡수가 가능합니다. 실제로 제브라피시라는 물고기에게 50마이크로메타의 미세 플라스틱을 흡입하게 한 후 관찰해 본 연구 결과 소화기관뿐만 아니라 배아를 둘러싼 난막을 통과해 하루 뒤에는 망막.소뇌. 척추.근육 등 거의 몸 천체에서 관찰이 되었다. 미세 플라스틱은 작은 알갱이 자체로만으로도 위험합니다. 미세 플라스틱이 몸 밖으로 알갱이들은 이제 다 빠져나가는데 미세 플라스틱이 가지고 있던 플라스틱의 독성은 몸 안에 있는 동안에 흠수가 된다는 것입니다. 또한 주변의 오염 물질을 흡착하는 성질이 있는 플라스틱 미세 플라스틱은 바닷물 속의 오염 물질을 흡착하여 우리 몸에 들어와 알갱이만 몸 밖으로 빠져 나가고 흡착했던 독성은 몸 안에 남겨 몸에서 흡수하게 된다. 많은 독성 물질을 흡착하는 특징이 있는 미세 플라스틱 나 뿐만이 아니라 내 아이까지 미세 플라스틱의 역습 충격적인 미세 플라스틱의 실체는 우리가 자주 먹는 어패류에서 발견 되었다는 것입니다. 굴.담치.바지락.가리비 등 한국 사람이 가장 많이 먹는 조개류 1~4위 굴에서 발견된 미세 플라스틱은 스티로폼 같은 데 많이 쓰이는 폴리스티렌으로 가장 큰 것은 0.5미리 정도의 크기 입니다. 모양도 필름 같은 형태나 뾰족하고 길쭉한 형태의 미세 플라스틱 발견. 100g의 굴 속에 들어 있는 미세 플라스틱의 갯수는 7개. 굴국밥 한 그릇에 들어가는 굴의 양이 약 100g 정도 입니다. 100g = >담치에는 12개 100g => 바지락에는 34개 100g => 가리비에는 8개 우리 나라 성인의 평균 패류 섭취량을 볼 때 매년 약 212개의 미세 플라스틱은 함께 먹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아귀 한 마리 => 미세 플라스틱 2.17개 멸치 한 마리 => 1.04개 대구 한 마리당 => 2.4개 우리가 자주 접하는 미세 플라스틱이 존재 합니다 결국 우리의 식탁이 위협을 받고 있다는 것입니다. 21개 국가에서 생산된 39개 브랜드의 소금을 분석해 본 결과 그 중 90%이상에서 미세 플라스틱이 발견되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생산된 3개 브랜드의 천일염도 포함되었는데요 우리나라 천일염 중 미세 플라스틱이 가장 많이 검출된 제품은 1kg당 232개 천일염뿐만 아니라 실제 해외에서 구입한 시료 중 정제염에서도 미세 플라스틱이 검출 되었다고 합니다. 정제염은 바닷물을 여과하고 이온 투과시키는 과정에서 미세 플라스틱이 걸러질 수 있지만 입자가 투과막보다 작아 걸러지지 않거나 제조 과정에서도 미세 플라스틱이 들어갈 수 있다. 우리가 마시는 물에 미세 플라스틱이 있을지를 전문 기관에 분석을 의뢰 하였습니다. 실험을 위해서 다양한 물을 준비 했습니다. 검사할 물을 필터링 해서 거르고 필터링 후 이물질만 남아 있는 작업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수도물은 100마이크로메타.생수는 50마이크로메타를 본 현미경으로 확인한 미세 플라스틱의 크기를 확인했습니다. 가정집 수돗물2리터에서 미세 플라스틱 폴리프로필린 pp1 개 검출 사무실 수돗물 2리터에서 폴리에티필렌 PE 16개.폴리프로필린PP1개 검출 매일 마시는 수도물에도 섞여 나오는 미세 플라스틱 생수에서도 미세 플라스틱 2개가 검출 되었습니다. 수돗물일 경우 물 자체에서 나왔을 가능성도 있고 정수 처리 시설을 거친 후 파이프 수도 꼭지의 오염으로 미세 플라스틱이 섞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생수에서는 용기 즉 플라스틱 병에서 뚜껑에서 떨어진 미세 플라스틱이 섞였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
'산행기 > 발전사업 해양쓰레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다로 돌아가 생태계 교란…독이 된 플라스틱 물티슈 (0) | 2019.11.15 |
---|---|
한국분석과학연구소 관련 업무 소개 미세플라스틱 (0) | 2019.11.15 |
꿈쩍않는 '23미터' 쓰레기산..이대로 해 넘기나최훈 (0) | 2019.11.11 |
쓰레기로 몸살앓는 제주, 우리가 치료한다…세이브제주바다 (0) | 2019.11.11 |
나주 SRF 합의 또 실패…3년째 제자리 (0) | 2019.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