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임진왜란,누르하치,그리고 조선 Ⅲ [병자호란 다시 읽기] (6) 임진왜란,누르하치,그리고 조선 Ⅲ 서울신문 | 기사입력 2007.02.15 09:01 [서울신문] 1405년 퉁밍거티무르가 입조(入朝)해 건주위도지휘사에 임명된 이래 명의 여진족에 대한 포섭작업은 가속이 붙었다. 영락제(永樂帝)는 1409년 흑룡강, 우수리강 유역의 광활한 지역을 총괄적으로 .. 아픈역사에서 배운다/1636년 병자호란 2008.12.31
(4)임진왜란, 누르하치, 그리고 조선 Ι (4)임진왜란, 누르하치, 그리고 조선 Ι 서울신문 | 기사입력 2007.02.01 09:10 [서울신문] 1592년의 임진왜란은 병자호란보다 44년이나 먼저 일어났지만, 두 사건은 역사적으로 밀접한 관계가 있다. 1583년 군사를 일으켜 주변의 여진족 정복에 나섰던 누르하치에게 임진왜란이 일어났던 것은 하늘이 내려준 .. 아픈역사에서 배운다/1636년 병자호란 2008.12.31
(3) 여진족과 만주Ⅱ [병자호란 다시 읽기] (3) 여진족과 만주Ⅱ 서울신문 | 기사입력 2007.01.25 09:10 [서울신문] 청나라의 시조 누르하치가 장차 동북아시아 전체의 역사를 바꾸어 놓는 대격변의 첫걸음을 내디딘 해는 1583년이었다. 이 해부터 시작해 1626년 사망할 때까지 누르하치의 일생은 전쟁으로 점철되었다. 전쟁은 처음.. 아픈역사에서 배운다/1636년 병자호란 2008.12.31
(2) 여진족과 만주1 [병자호란 다시 읽기] (2) 여진족과 만주1 서울신문 | 기사입력 2007.01.18 09:00 [서울신문] 조선 사회에 엄청난 피해와 고통을 남긴 병자호란의 발발은 16세기 후반∼17세기 중반 중국 대륙에서 벌어진, 이른바 명청교체(明淸交替)의 여파가 조선으로 밀어닥친 결과였다. 명청교체의 주역은 여진족(女眞族).. 아픈역사에서 배운다/1636년 병자호란 2008.12.31
아픈 역사에서 배운다-병자호란 다시 읽기 10만 포로의 눈물 [아픈 역사에서 배운다-병자호란 다시 읽기] 10만 포로의 눈물 서울신문 | 기사입력 2007.01.11 09:01 [서울신문]조선은 왜 인조가 삼전도에서 청태종에게 항복하는 비참한 환란을 겪어야 했을까. 한마디로 17세기초 명·청 교체기의 격랑 속에 조선 지배층이 국제정세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했기 때문이다.200.. 아픈역사에서 배운다/1636년 병자호란 2008.12.31
몰래 서방질과 현대판 화냥년.. 몰래 서방질과 현대판 화냥년.. 729 일러스트·김영민 서방질하는 계집을 화냥년이라고 한다. 제 남편이 아닌 사내놈과 몸을 섞고 놀아나는 짓거리 말이다. 그러나 서방질과 화냥년은 엄연히 다르다. 화냥년은 이민족의 몽둥이로부터 자국 여인을 보호하지 못한 집권층의 무능과 무책임의 소산이며, .. 경제,사회문화/사회 , 경제 2008.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