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발전이 대안이다/신재생 에너지.

국내 최고효율 집광형 태양전지 개발 ,

화이트보스 2008. 11. 15. 17:00

국내 최고효율 집광형 태양전지 개발
나노소자특화팹센터 태양에너지 24%를 전기로

교육과학기술부와 경기도가 지원해 설립한 비영리 독립법인 나노소자특화팹센터(대표 고철기)는 7일 인듐ㆍ칼륨ㆍ인 화합물(InGaP)과 칼륨ㆍ비소 화합물(GaAs)을 이중 접합한 '고효율 Ⅲ-Ⅴ 화합물 반도체 태양전지'(집광형 고효율 태양전지)를 개발해 차세대 집광형 태양전지의 효율을 국내 최고 수준인 24.14%까지 달성했다고 밝혔다.

태양 빛을 100으로 보면 24.14를 전기로 바꿀 수 있다는 얘기다. 세계 최고 효율 태양전지는 미국 보잉 자회사인 스펙트로랩 제품으로 태양광선의 40.7%까지를 전기로 변환할 수 있다. 고철기 대표는 "태양광 발전 시장은 현재 실리콘을 주요 원료로 하는 1세대 결정형 태양전지가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나 실리콘 공급 부족과 석유 등 다른 에너지에 비해 발전 단가가 8배나 높아 태양전지 보급에 문제가 있다"면서 "센터가 연구 중인 3세대 집광형 고효율 태양전지는 가격이 저렴한 플라스틱 렌즈나 알루미늄 코팅 거울을 이용해 태양전지 모듈 제조 단가를 대폭 낮출 수 있다"고 말했다.

집광형 고효율 태양전지는 축구장 크기의 실리콘 태양전지가 낼 수 있는 에너지 효율을 1000분의 1 면적으로도 낼 수 있어 고가 반도체 태양전지를 대체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지홍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