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명환 외교부 장관은 20일 "(예멘에서 발생한 한국인 대상 폭탄테러의) 진상이 밝혀질 때까지 당분간 테러 위험지역 여행을 자제해줄 것을 당부한다"고 말했다. 앞서 정부 고위 당국자도 "국제 테러조직 알카에다의 공격 대상에 한국도 포함됐다"며 "이들은 한국을 동맹국인 미국과 비슷하게 본다"고 했다. 지난 14일 한국인 관광객 4명의 목숨을 앗아간 자살 폭탄테러에 이어 18일 현지를 방문한 정부 대응팀과 유가족을 겨냥해 2차 테러까지 발생하면서 한국인이 언제든 국제 테러 대상이 될 수 있다는 것이 눈앞의 현실로 닥쳐왔다.
따지고 보면 한국이 테러 공격을 받을 수 있다는 경고는 오래전에 나왔었다. 알카에다 2인자 아이만 알 자와히리는 2004년 "미국과 그 동맹의 민간인과 군인을 죽이는 것은 무슬림의 의무"라며 미국·영국과 더불어 한국을 공격대상으로 삼겠다고 했다. 실제로 2007년 아프가니스탄에서 샘물교회 봉사단 23명이 탈레반 무장세력에 납치돼 2명이 숨지고 42일에 걸친 협상 끝에 21명이 풀려났다.
그런데도 우리의 국제 테러 대응은 2001년 뉴욕 9·11테러 직후 테러 예방활동의 법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테러방지 관계법을 정부나 여당이 몇 차례 국회에 제출했는데도 법안이 통과되지 못한 데서 보듯 테러 직후에만 잠시 분주할 뿐 이내 잊고 마는 식이었다. 시민단체 등을 중심으로 '인권 침해' 논란이 제기되면 정치권이 제풀에 주저앉고 말았다. 지난해에도 '국가 대(對)테러활동 기본법'이 제출됐지만 여전히 국회에서 잠자고 있다. 여야는 테러방지법 등 관련 법체계 정비를 더이상 늦춰선 안 된다. 범정부 차원의 테러 대응체계 전반을 재점검하는 작업도 진행해야 한다.
대(對)중동 외교 기조(基調)도 고민해봐야 한다. 국제 평화나 테러 대처 등 큰 틀에서 동맹국인 미국과 협력하되 중동 국가와 그 국민이 한국을 미국의 일방적 추종자로 간주하는 상황은 바람직하지 않다. 원유(原油) 수입의 80%가량을 의존하는 중동국가들에 대한 우리 나름의 유연한 외교전략이 필요하다. 중동 지역과 이슬람 문화와의 다양한 교류와 더 깊은 연구도 함께 이뤄져야 한다.
지난해 외국을 방문한 우리 국민은 1200만명을 넘는다. 정부는 22개국을 여행 금지 내지 제한 국가로 지정했지만 지키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일부 중동 여행자들이 이슬람교를 폄하하는 듯한 언행으로 현지인과 마찰을 빚기도 했다. 이슬람 국가에서 집단적으로 기독교 선교에 나서는 무모한 일도 여러 차례 벌어졌다. 다른 문화를 존중하지 않거나 종교적 편협함을 드러내는 것은 한국에 대한 적대감만 키울 뿐이다. 테러 피해를 최소화하려면 정부의 국민을 향한 계도(啓導)와 함께 국민들의 절제 있는 행동과 협력이 필요하다.
대(對)중동 외교 기조(基調)도 고민해봐야 한다. 국제 평화나 테러 대처 등 큰 틀에서 동맹국인 미국과 협력하되 중동 국가와 그 국민이 한국을 미국의 일방적 추종자로 간주하는 상황은 바람직하지 않다. 원유(原油) 수입의 80%가량을 의존하는 중동국가들에 대한 우리 나름의 유연한 외교전략이 필요하다. 중동 지역과 이슬람 문화와의 다양한 교류와 더 깊은 연구도 함께 이뤄져야 한다.
지난해 외국을 방문한 우리 국민은 1200만명을 넘는다. 정부는 22개국을 여행 금지 내지 제한 국가로 지정했지만 지키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일부 중동 여행자들이 이슬람교를 폄하하는 듯한 언행으로 현지인과 마찰을 빚기도 했다. 이슬람 국가에서 집단적으로 기독교 선교에 나서는 무모한 일도 여러 차례 벌어졌다. 다른 문화를 존중하지 않거나 종교적 편협함을 드러내는 것은 한국에 대한 적대감만 키울 뿐이다. 테러 피해를 최소화하려면 정부의 국민을 향한 계도(啓導)와 함께 국민들의 절제 있는 행동과 협력이 필요하다.
'경제,사회문화 > 사회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바마의 분노는 자업자득이다 (0) | 2009.03.22 |
---|---|
[김대중 고문 특별기고] “○○○ 것 같아요” (0) | 2009.03.22 |
최저가 낙찰제·발주처 예산절감 방침에 건설업체 이중고 (0) | 2009.03.22 |
장성택의 눈’으로 본 북한 권력엘리트 파워게임 (0) | 2009.03.22 |
개성공단 오락가락, 체제냐 경제냐 갈등 때문" (0) | 2009.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