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창사 初心으로 돌아간 우리의 각오 |
입력시간 : 2009. 05.11. 00:00 |
남도일보가 오늘 열 두번 째 생일을 맞았다. 사람으로 치자면 12세는 자아 형성이 가장 왕성한 시기다. 남도일보 역시 열 두 해를 지나오면서 ‘호남의 정론지’로서, 또한 사리를 분별할 줄 아는 신문다운 신문으로 성장했음을 감히 자부해 본다.
‘참다운 지방신문’이라는 캐치프레이즈를 내걸고 항해를 시작한 남도일보가 온갖 풍파에도 굴하지 않고 여기까지 올 수 있었던 데에는 350만 시·도민들의 뜨거운 성원과 애독자 여러분의 한량없는 사랑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때문에 우리는 항상 고마움과 감사의 마음을 간직하고 ‘섬김의 자세’를 잃지 않으려 노력해 왔다.
솔직히 지난 12년이란 세월을 되돌아보면 그저 아득하기만 하다. 때로는 참을 수 없는 고통과 시련의 시간들이 엄습해 왔고, 때론 울분을 삼키며 가슴을 내리쳐야할 때도 있었다. 그러나 그때마다 우린 제작 현장에서 맡은 바 역할을 다하며 언론인의 자세를 꿋꿋이 지켰다.
그렇다고해서 지나온 12년의 시간들이 한결같이 암울했다는 것은 아니다. 지역사회의 음지에서 밤낮없이 벌어지고 있는 옳지 못한 것들에 대해선 집요한 추적을 통해 ‘악의 뿌리’를 뽑아냄으로써 지방신문의 존재가치를 확인시켰다. 이때의 희열은 그 무엇과도 견줄 수 없는 값진 것이었고, 남도일보의 존재 이유이기도 하다.
우리는 오늘 창사 12주년을 즈음해 초심으로 돌아가 ‘제2의 창간’을 다짐하고자 한다. 단지 이것은 창사 때마다 으레적으로 써먹는 요식적인 행위가 아닌 350만 시·도민, 그리고 독자 여러분과의 맹약(盟約)이다.
흔히 신문은 많이 있으되, 신문다운 신문은 없다고들 말한다. 그만큼 지방언론 환경이 피폐해졌다는 것을 방증해주는 대목이다. 이런 때 일수록 언론다운 언론의 절실함은 두말 할 나위 없다.
남도일보가 그 중심에 서서 꺼져가는 지방언론 환경의 불씨를 살려내고, 지방 언론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할 것을 다짐한다. 특히 강자에게는 더욱 강해지고 약자에겐 자애로운 사랑과 봉사를, 그리고 그늘진 곳엔 빛을 비춰 사회의 균형을 잡는 ‘양팔 저울’ 역할을 남도일보가 해 낼 것이다.
오늘 우리의 이같은 각오와 다짐이 헛되지 않도록 더욱 분발할 것을 약속하며, 아울러 독자여러분들의 변함없는 충고와 아낌없는 채찍질을 거듭 당부한다.
이 기사에 대한 독자 의견 (0 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