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기/사과나무 자료

영천지역의 사과 재배 현황과 문제점

화이트보스 2009. 7. 18. 21:15

영천지역의 사과 재배 현황과


문제점에 대한 조사 연구


目     次


Ⅰ. 서  론

������������������������������������������������������������������������������������������������������������������������������������������������������������������������������������������������������������������������������������������������������������������������������������������������������������������������������������������������������

1

 

 

 

Ⅱ. 조사대상 / 방법

������������������������������������������������������������������������������������������������������������������������������������������������������������������������������������������������������������������������������������������������������������������������������������

2

 

 

 

Ⅲ. 결과 및 고찰

������������������������������������������������������������������������������������������������������������������������������������������������������������������������������������������������������������������������������������������������������������������������������������������������������

3

  1. 영천지역의 사과재배

     농가의 현황

������������������������������������������������������������������������������������������������������������������������������������������������������������������������������������������������������������������������������������������������������������

3

  2. 왜성대목의 재배

������������������������������������������������������������������������������������������������������������������������������������������������������������������������������������������������������������������������������������������������������������������������������������

5

 

 

 

Ⅳ. 결  론

������������������������������������������������������������������������������������������������������������������������������������������������������������������������������������������������������������������������������������������������������������������������������������������������������������������������������������������������������������

17

 

 

 

Ⅴ. 참 고 문 헌

������������������������������������������������������������������������������������������������������������������������������������������������������������������������������������������������������������������������������������������������������������������������������������������������������������������������

18

 

 

 

Ⅰ. 서   론


 최근 농업여건의 급속한 변화로 1995년을 기점으로 한 wto 체제라는 세계무역기구가 탄생함으로써, 농업도 이제는 무한경쟁시대의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되었다. 새로운 경제질서 속에서 우리 농업은 취약한 생산기반으로 국제경쟁력이 낮기 때문에 국제화․개방화 시대를 맞이하여 품질의 고급화와 생산비 절감으로 경쟁력을 향상 시킬수 있는 종합적인 기술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러한 국제환경 변화에 대처하기 위하여 농촌진흥청에서는 '91년 3월 개방화 대응기술 방안의 일환으로 사과, 배 등 경쟁력 우위 13개 작목을 수출유망 작목으로 선정하여 우리 농산물의 국제경쟁력을 높이기 위하여 기술개발을 계속 추진하였고, '95년 69개작목을 전략작목, 기초작목, 기타작목으로 분류하여 농업과학기술의 세계화를 위한 작목별 기술대응방안 연구를 계속 수행중에 있으며 사과는 수출지향작목으로서의 전략작목으로 분류하고 있다.

품종 및 대목 이용, 시비, 정지 전정, 적과, 병해충 방제, 수확 등의 개개의 기술을 잘 다룸으로써, 사과 농사를 성공적으로 이끌 수 있다고 생각되지만, 이러한 개개의 기술들은 사과원이 어떻게 구성되었느냐에 따라 적용할 수 있는 한계가 있다. 즉, 전체로서의 사과원 구성개념이 정해지고 나면, 각자의 모든 사과원 관리작업을 어떻게 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가가 거의 결정되어 버린다. 따라서 사과원 관리를 각각으로 나누어 생각하는 분석적인 개념으로서가 아닌 종합적인 개념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

 근래 유럽, 미국 등지에서는 밀식재배의 발달과 더불어 과거에 일반적으로 사용하던 수형(tree form, tree shape) 대신, 과수원 시스템(orchard system) 혹은 재식 양식(planting system)이라는 용어를 즐겨 사용하고 있다. 과수원 시스템이란 과수원을 가장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모든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 한다는 개념이다. 좋은 밀식재배 과수원은 수형, 시비 등 분석적인 개개 기술을 개선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대목, 재식밀도, 재식배치, 묘목의 소질, 전정, 정지, 지주 등 모든 요소들을 종합적이고 합리적으로 짜 맞추어야 이룰 수 있다.

 소식 및 반밀식재배에 있어서는 한 나무 한 나무가 과수원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기 때문에 개개 나무의 수형을 잘 구성하는 것이 성공적인 과수원 관리로 연결될 수 있겠지만, 밀식재배의 경우에는 과수원내 모든 나무를 이상적인 수형으로 가꾸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설령 수형을 잘 구성한다고 하더라도 그 결과가 훌륭한 과수원이 된다는 보장이 없다.

 재식 양식은 과수원 전체의 생산성과 효율적인 관리에 관심을 두는 개념이다. 물론 재식 양식에도 수형이 중요하지만, 이경우의 수형은 과수원 시스템의 일 부분으로서 오히려 다른 나무와의 배열관계가 더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경영주의 기술, 토양 등 모든 여건을 고려하여 자연스럽게 관리할 때 최대 수익과 관리 편의성을 이룰 수 있는 재식밀도가 가장 바람직한 바, 나무의 왜화나 밀식 정도와 우수한 재식 시스템은 별개이다.

 우리가 왜화 밀식재배 시스템에 관심을 가지는 이유는, 나무가 작아지지 않으면 관리 노력을 어느 정도 이상으로 줄일 수 없으며, 밀식을 하여야 재식 초기 수량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왜화밀식재배 시스템을 구성할 때에는, 목적을 이상의 두 가지를 달성하는데 두되, 경영주의 모든 여건을 감안하여 어떻게(어느 정도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인가(조화로운가)를 결정하여야 할 것이다.

 이에 농업경영에 관한 경제적 여건 확보와 노령화로 인한 일손부족 및 수익률 증대에 관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영천시 지역의 사과 재배농가를 표본으로 그에 대한 조사를 하였다.


Ⅱ. 조사대상 및 방법


1. 조사대상

 영천시 지역의 사과 재배 농가를 표본으로 정하여 아래와 같은 항목을 조사하였다.

 ∙ 영천 지역의 사과 재배 면적과 생산량

 ∙ 현재 영천 지역 농가의 문제점

 ∙ 왜성대목 재배의 선행 연구자료


2. 조사방법

  영천시 농업기술센터의 자료집을 토대로 하여 선행연구 자료들을 비교∙분석하였다.



Ⅲ. 결 과   및   고 찰


1. 영천지역의 사과재배 농가의 현황

 ㄱ. 사과 생산 동향

표 1. 사과재배 면적 및 생산량

구 분

면 적

농가수

단 수

생산량

비 고

사 과

1068 ha

2065 호

1750 Kg

18690 톤

전년대비 80% 감소

 265ha

                                                          (단위:ha)

표 2. 품종별 재배 현황

 

 

 

 

 

 

후 지

쓰가루

홍 옥

세계일

조나골드

홍 로

기 타

1068 ha

869

113

12

19

10

5

40


그림 1)  연도별 가격동향

ㄴ. 가격 및 수익성

사과가격은 생산량이 증가한 `92년산은 가격이 하락하였고 생산량이 감소한 '91년산은 가격이 상대적으로 증가하였는데 이는 가격이 생산량에 영향을 받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사과는 타과수에 비하여 격년결과현상이 심하여 연간 생산량 변동폭이 크기 때문에 연도간 가격도 변동폭이 크다고 하겠다.

 

그림 2)  연도별 10a당 수익성

10a당 수량은 자연조건에 따라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kg당 농가수취가격은 '90년이후 풍작에 따른 가격하락이 있은 '92년을 제외하고는 증가하였는 데 이는 국민소득 수준의 향상으로 소비구조가 과일, 육류 등으로 고급화되어 소비가 증가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ㄷ. 노동력 부족

 사과재배농가의 노동력투입 조사를 위하여 영천 뿐만아니라 특화계수가 높은 군위, 영풍, 청송 3지역에서 규모별 0.5ha이하 5농가, 0.5~1.0ha 10농가, 1.0~1.5㏊ 13농가, 1.5~2.0ha 4농가, 2ha 以上 4농가 등 총 36농가를 표본추출하여 조사 농가를 선정하였고, 조사방법은 '93년부터 '94년까지 2개년에 걸쳐 조사표에 의한 농가방문 청취조사를 실시한 선행 연구자료에서 얻어진 자료를 기초로 지역별 노동력투하시간을 비교분석하였다.

 조사지역 재배농가의 농가현황은 경영주 평균연령 44.6세로 비교적 젊은 층이었으며, 호당 가족수는 4.6명이고, 영농종사자수는 남자가 1.2명, 여자가 1.2명, 총 2.4명으로 부부중심의 영농을 하고 있었다. 호당평균 식부면적은 1.31ha로써 특히 연령이 젊고 영농 종사자수가 많은 군위의 경우 식부면적이 1.47ha로 가장많았다. 호당 재식주수는 489주, 10a당 평균 재식주수는 41.8주로 나타났는데 영풍이 51.8주로 가장높게 나타났다. 또한 총경지면적1.92ha 중에서 사과재배 면적 1.31ha가 차지하는 비중은 68.2%로 사과재배가 농가의 주작목이었는데, 특히 군위, 청송이 각각 73.4%, 73.0%로 사과경


영의 의존도가 높은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농촌진흥청 농업경영관실의 연구에 의하면 10a당 사과생산비중 47%가 노력비로 구성되어 있어 사과경영에 있어서 시간이 많이 투입되는 작업부터 단계적으로 생력화하여 생산비 절감이 이루어져야 하며, 특히 사과재배에 필요한 주요작업 단계중 적과, 병충해방제, 시비, 수확등의 생력기계화추진, 공동방제, 대농기계의 공동이용등으로 생산비 절감을 실현해야 한다고 보고하였다. 사과경영에 있어 10a당 총 노동투입시간은 190.2시간으로 그중에서 자가노동이 85.3%인 162.3시간, 고용노동이 14.7%인 27.9시간을 차지하였다. 성별로는 남 96.4시간, 여 93.8시간 투입으로 남녀 각각 50.7%, 49.3%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2. 왜성대목의 재배

 ㄱ. 왜성대목의 재배

 주요 사과생산국에서는 경영여건의 변화로 수익성이 하락할 때마다 재식밀도를 높이고 기후조건에 맞는 경영관리 방법을 개발하여 대응하고 있다. 실생대목을 이용하여 ㏊당 200~300주로 재식하던 세계 사과경영체계는 1960년대에 400~500주, 1970년대에 800~1,600주, 1970년대 후반부터 1,600~2,400주로 밀식하여 조기결실과 고품질 수량 증대를 추구하였다.

 1996년 경상북도에서부터 시작된 M9 대목을 이용한 키 낮은 사과재배체계는 인력의 절감은 물론 품질 좋은 사과를 일찍부터 많이 수확할 수 있다는 사실이 실증됨으로써 99년부터 농림부 사업으로 채택되어 전국적으로 보급이 확대되고 있다. 키 낮은(왜성,저수고초밀식) 사과원은 M9이나 M26이라는 왜성대목을  이용하여 ha당 1,500주 이상 식재하는 밀식재배이다.

 - 식재후 2년차부터 수확이 가능하며 4년후에 성과기에 도달

 - 내구수령은 16년 정도로 일반 재배형태보다 4~5년 짧으며 경제적인 개     식시기는 13년 정도.

표 3  왜성대목의 구분

구       분

반 밀 식

밀  식

초 밀 식

재 식 밀 도

500 - 1000

1000 - 1500

1500 이상

묘  목  비

2765 - 5531

5531 - 8297

8297 이상

육 성 기 간

4

4

2

성과기도달년수

6

6

4

내 구 수 령

21

19

16

개 식 시 기

20

17

13


ㄴ. 왜성대목의 종류

 우리 나라에서는 사과대목으로서 교목성(喬木性)인 삼엽해당, 환엽해당,  매주나무, 사과실생 (사과종자로 번식한 대목)등을 많이 사용하여 왔으나, 나무가 왜화되면 노력이 절감될 뿐 만 아니라 조기결실에 의해 투하자본의 회수가 빨라 경영의 합리화에 유리한 왜화재배가 인식됨에 따라 1970년 이래 왜성(矮性)대목의 이용이 많아졌다.

 M.계는 영국 이스트말링연구소에서 개발한 대목으로서 1917년부터 현재까지 27종이 발표되었다.

 ㅇ M.27

  - 수세는 실생의 15% 정도로서 잎은 왜성대목 중 가장 연한 녹색을 띰

  - 줄기는 마디 사이가 매우 짧고, 기부의 표피에는 회백색의 점선이 세로      로 많이 발생

  - 비옥지에 적합하며 내한성이 약하고 바람에 쓰러지기 쉬워 지주를 설치      하여야 하는 단점

  - 조기결실성 및 강한 발근력 등이 장점

 ㅇ M.9

  - 수세는 실생의 30% 정도이며, 잎은 가장자리가 둥글 둥글한 타원형인       것이 다른 대목과 구별됨.

  - 줄기의 눈은 툭 튀어 나와 돋아 있지만 마디 부분이 매끈하고 잎이 진      후의 줄기 빛깔이 활갈색임


  - 번식력이 불량하고 뿌리가 쉽게 부러지며, 토양적응력이 약하여 비옥지      에서만 적응하는 것이 단점

  - 조기결실성, 대과성 등이 장점

ㅇ M.26

  - 수세는 실생의 40% 정도이며 잎은 주요 왜성대목 중 가장 진한 녹색임

  - 줄기는 진한 밤색이고 마디 부분이 툭 튀어 나와 있으며, 새가지 기부와      꿑부분의 굵기 착이가 남

  - 뿌리가 약하여 바람에 쓰러지기 쉬운 단점

  - 강한 발근력 및 번식력, 조기결실성, 다수확성 등 장점

  - 세계적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음.

  - 우리나라와 일본에서도 현재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음.

 

그림 3)  사과 왜성대목의 종류와 크기


ㄷ. 밀식재배의 잇점

 밀식재배는 반밀식재배나 소식재배에 비하여, 나무의 크기를 작게 하면서 재식주수를 많게하는 재배법이다. 따라서 과수원 전체를 규격화하기 쉬우며, 초기수량도 많아진다. 그러나 나무가 보다 빨리 노쇄화 하게되어 과수원의 수명이 짧아지게 되므로 과수원을 조기에 갱신하여야 한다.

 나무의 키와 크기를 작게하고 과수원 전체를 규격화하면, 기계화가 용이하고, 관리 작업을 단순화하면서도 노동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다. 따라서 같은 작업 인원을 이용하더라도 경지 규모를 늘릴 수 있으며, 품종의 안배 여하에 따라서는 자가 노력만으로도 상당한 면적의 과수원 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재배 기술의 고도 평준화(품질 향상, 수량 증대)가 가능하다. 초기 수량이 많기 때문에 개원시 투입한 자본의 회수를 빨리할 수 있다. 조기에 과수원을 갱신하여야 하기 때문에 새로이 개원하는데 따른 경제적인 부담이 커지나, 경제성이 높은 품종으로의 갱신이 자유로운 장점이 있다.

 밀식재배의 경우 이상과 같은 1. 노동력 절감, 2. 조기 자본 회수, 3. 빠른 품종 갱신이라는 장점이 있는 바, 이 장점을 얼마나 잘 살리느냐가 밀식재배 성패의 관건이다. 과거 우리나라의 일부 인사들이 밀식만 강조한 나머지 지나치게 밀식을 하여 나무 세력 안정에 과다한 노력을 투입하는 경우가 있었는데, 이는 밀식재배 본연의 장점을 제대로 살리지 못한 예라고 할 수 있다.


ㄹ. 국내 사과 저수고밀식재배 추진 현황

∙국외 여건 변화

 유럽 등 선진 재배국에서는 80년대 중반까지는 품종, 대목, 시비, 정지전정, 병해충 방제, 생리장해 등 단편적인 기술개발에 주력해오다가, 80년대 말부터 기후, 토양, 경영규모 등 자국의 여건에 부합한 수형 및 밀식재배 시스템을 개발하기에 이르러, 사과의 경우, 독일의 guttingen system, 이태리의 joch system, palmette system, 미국의 hytec system들이 있으며, 복숭아는 오스트리아의 tatura system이 대표적인 재식 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

 또한 90년대 초반 이후에는 과수원 종합관리 체계 체계를 포함한 환경보전 측면의 저투입 지속농업에 의한 종합적 과실생산(i.f.p.) 체계를 달성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추진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의 여건 변화

 왜화도가 낮은 m.26 이중접목묘 이용방식의 반밀식재배로 10a당 노동력 투하시간이 258시간으로 지나치게 높고, 생산성이 2,300kg으로 낮아 국제 경쟁력 약화의 큰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어 획기적으로 생력화 할 수 있는 저수고 밀식재배의 도입이 절실한 실정이다.

노동시간(시간/10a) : 한국 258(100%), 이태리 60(23), 미국 42(16)

생 산 성(kg / 10a) : 한국 2,300(100%),이태리 4,800(209)

또한 사과 저수고 밀식재배 시스템은 묘목, 재식, 정지, 전정, 병해충방제 등을 망라한 종합기술로서, 기술개발보급에 장기간이 소요되는 등 관련기관 및 농업인 들이 함께 해결해 나가야 할 과제가 많은 실정이다.


∙국내 사과 저수고밀식재배 추진 현황

 `96 춘계 이태리에서 m.9 t-337 12,000주를 농가에서 구입하는 것을 시점으로 `97년이후 시군 농업기술센터(의성, 봉화, 청송, 장수 등) 및 묘목업자 중심으로 m.9 대목 및 묘목을 도입하기에 이르렀다. 특히 m.9 대목이용 묘목의 도입은 원예연구소에서 `96년 미국, 일본에서 회초리 묘목을 소량 도입하였으며 측지발생묘는 `97년 이태리에서 2,300주 도입하여 시험재배 중이다.

 국내 m.9 이용 저수고밀식재배는 신 경북형 표준 사과원 조성(경북도)을 시점으로 (96년 7, 97년 11, 98년 14 : 32호) 출발하였으나 대부분의 농가가 측지발생이 적은 이중접목묘 재배로 재식 3년차 결실이 가능('99)하였으며, 원예연구소의 도입 측지묘는 중부권(원예연구소, 충주), 영남권(대구사과연구소, 안동), 호남권(장수)에 권역별 저수고 밀식재배 시험포를 운영하여 재식 2년차인 '99에는 10a당 800~1,000㎏ 수확가능하며, 일반농가는 보급 시작단계에 있다.


∙추진상 문제점 및 대책

 재식전 토양개량 및 기반조성으로 객토가 필요한 과원에서는 일시에 많은 량의 객토를 하면 토양내의 수직배수가 불량하므로 30cm 내외로 객토를 하고 심경 실시하며, 전면 객토시 점질토는 배수 불량층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회피한다. 그리고 토양분석을 통하여 완숙퇴비 위주의 충분한 유기물(5~10톤/10a) 시용하고 1년 동안은 녹비작물(호맥, 수단그라스 등) 재배로 토양내 질소 성분을 줄이고 물리화학성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 하겠으며, 관정 및 용수시설을 확보하여 물관리를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수원을 확보하고 재식전 암거배수(지하 50~80cm)와 점적관수 시설, 그리고 지주시설을 재식전에(4, 6선식) 반드시 설치하여야 한다.

 묘목의 생산 및 소질에 있어서는 '98년산 묘목의 77%가 이중접목 자근묘 및 이중접목묘이므로 m.9 대목 부위에 자근 발생이 빈약하고 측지의 발생수가 대부분 3~5개에 불과하며 측지의 발생부위가 불균일하고, 세력이 지나치게 강하거나 약하여 결과지로 이용 곤란한 묘목상태가 많았으며, 다비재배로 도장된 묘목이 많아 재식 전후에 고사 위험 많아 결국, '98년 가을에 재식한 경북, 충남 일부농가에서 묘목의 고사되는 결과를 초래한 원인이기도 하였다.

 저수고 밀식재배를 위한 묘목생산 대책으로 먼저 우량 묘목이란, 완성수형의 50~70% 정도의 묘목으로 뿌리가 충분히 발생된 자근대목(自根台木)에 접목부 상단에 줄기직경이 13mm 이상, 묘목의 길이 160cm 이상이며 지면 60~70cm 높이에서 10개 이상의 측지가 발생(최소 5~6개 이상)되고 측지 길이는 30~60cm 정도이며 재식 2년차 수확이 약 500kg/10a가 가능한 묘목이라고 할수 있겠다.

 

그림 4) 측지가 잘 형성된 우량 묘목

 우량묘목의 생산 대책으로 먼저 대목 대량생산 체계 유도하여 전문 묘목양성 단체(업자)를 선정하여 관리하고, 우량 자근묘 생산체계 확립하여 묘목의 품질 인증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생각된다.


ㅁ. 수형과 재식양식

 - 수형(tree form, tree shape) : 개개 나무의 모양

 - 재식 양식(planting system) : 종합적인 과수원 관리 개념

 - 재식양식의 구성 요소

 - 대목, 재식밀도, 나무의 배열 상태, 묘목의 소질, 지주 시설, 정지전정 기     술


ㅂ. 5. 저수고 밀식재배를 위한 구성 요소의 조합

 왜화도가 낮은 대목으로서는 나무의 높이를 2.2~2.5m(결실 높이 1.8~2.2m)로 제한하기가 어렵다. 나무의 키가 이보다 높아지면 관리 작업 노력이 지나치게 많이 소요된다. 일반 대목이나 mm.106과 같은 준왜성대목을 이용한 수형에서도 나무의 키를 낮게 키울 수가 있으나, 수형 구성 단계에서 더욱 많은 기술과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보다 적극적인 방법으로서 m.26이나 m.9와 같은 대목을 이용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나무의 키를 낮게 유지하면서도 수량을 많게 하기 위해서는 재식거리를 좁게 하여야 한다. 재식 거리를 좁게 하는 경우에는 필수적으로 조기 수세 안정화 기술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필자의 견해로서는, 나무 사이의 거리가 1.5m 이내로 좁아지는 경우에는, m.26 대목으로서는 무척 어려워지기 때문에 이용 대목을 m.9 등으로 바꾸어야 한다.

 나무의 키를 2.2~2.5m 이하(결실 높이 1.8~2.2m 정도)로 적극적으로 낮추어 재배하려면 기존의 주간형 수형으로서는 어렵고, 방추형이나 수직축형(vertical axis), 2열 v자형 혹은 palmette 수형 등을 선택하여야 한다.

 이러한 수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지주를 시설하여야 한다. 왜성대목을 이용한 저수고재배(低樹高栽培)에서는, 지주를 설치하면 관리가 편리하고 없으면 불편한 것이 아니라, 지주가 없으면 관리가 불가능하다. 즉, 선택 사항이 아니라 필수 조건이다.

 과거에는 palmette 형이나 v자형(tatura trellis)과 같은 특수한 수형에서만 지주를 세우고 철선을 가설하였으나, 근래들어 나무가 작아지고 밀식하는 경향에 따라 자유 방추형(free spindle) 등 전통적으로 독립 지주를 이용하여 왔던 수형에서도 유인 등 관리의 편리성 때문에 철선을 가설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그림 5)  6선식 지주형태














 조기에 결실을 시켜야 과번무로 인한 밀식장해를 방지할 수 있다. 우량 묘목(측지가 많이 있는 묘목)을 이용하지 않으면, 조기 결실이 어렵다. 또한 묘목의 소질이 균일하지 않으면, 이후의 자람세가 균일하지 않기 때문에 일률적인 관리를 할 수 없다. 밀식재배에 있어서 묘목의 소질은 성패을 가름하는 매우 중요한 조건 중의 하나이다.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은 균일한 묘목을 재식하여, 왕성하고 균일하게 생장하도록 하여야, 조기 다수확이 가능하다. 최종 수관 용적에 빨리 도달하면서 조기에 결실되도록 하려면, 측지 발생이 많은 우량 묘를 사용하여야 한다. 유럽에서는 지상 25cm 높이의 줄기 직경이 13mm 이상이면서 55~80cm 높이에서 길이 20cm 이상인 측지가 10개 이상인 묘목을 심도록 권장하고 있다. 측지는 길이가 30~60cm로서 세력이 서로 비슷하며 원줄기에 고르게 배치되면서 분지 각도가 매우 넓어야 하는데, 측지의 수가 적어도 5개 이상이 아니면 초밀식재배는 무리이다.

 나무를 작게 키우면 나무의 뿌리도 그 만큼 얕고 좁게 분포한다. 작은 나무에서 계속적으로 많은 결실을 시키기 위해서는, 지력이 충분하게 뒷받침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나무를 배게 재식하는 경우, 재식 이후 땅을 깊이 갈아 퇴비와 석회, 인산 비료를 시용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재식 이전에 충분한 퇴비, 석회, 인산 비료를 시용하고 깊이 가는 등 토양 개량을 하여야 한다. 단 땅을 깊이 갈고 난 직후에 바로 나무를 심으면 토양이 불안정하기 때문에 심은 나무가 죽거나 생육이 불균일하게 된다. 따라서 깊이 갈고 난 후 최소 6개월 이상 초생재배를 하여 토양을 안정시킨 후 나무를 심어야 한다. 나무를 심기 전에 과수원 내 지력을 균일하게 해 놓지 않으면 이후 어린 나무를 균일하게 키울 수 있다.

 관리 측면에서는 나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기계화의 필요성이 더욱 높아진다. 이를 위하여, 과수원 전체가 완경사~평탄하여야 함은 물론, 재식 열 사이의 통로를 2m 이상으로 충분히 넓게 하여야 기계 작업이 가능하고, 수관 내부까지 햇빛이 잘 들 수 있다. 반면, 열간 통로를 넓게 하면 넓게 하는 만큼 개개 나무의 수량 확보가 부담으로 작용하게 된다.

 나무의 반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정은 가능한 줄이고, 유인을 철저히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한 지주 설치는 필수적이다. 지주의 규격, 모양은 묘목의 재식 배열과 관련하여, 재식 이후의 모든 과수원 관리 작업의 골격을 이룬다.

 뿌리가 좁은 면적에 분포하기 때문에, 나무가 토양의 건습(乾濕) 및 시비 변화에 극도로 민감하게 반응하게 된다. 나무를 작고 배게 심는 경우에는 나무의 세력을 여하히 안정시키느냐가 성패의 관건이 된다. 이를 위해서 여러 가지 방법이 동원될 수 있겠지만, 토양 중의 수분 함량을 유효적절하게 조절할 수 없다면 성공적인 수세 안정은 기대하기 어렵다. 따라서 개원과 더불어 완벽하게 관배수 시설을 하여야 한다. 시비의 경우에도 관행의 년간 1~2회 시비로서는 나무의 세력 조절이 어렵기 때문에 가능한 여러 차례 나누어 시비할 필요가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나무의 자람세를 잘 관찰하여 관수할 때마다 적당한 량을 시비하는 것이 좋은데, 이 경우 스프링쿨러로서는 불가능하고, 점적관수에 액비 혼입기를 부착하는 방법을 택하여야 한다.


 토양의 완충 능력을 증대시키고, 지속적으로 토양에 유기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부분 초생재배를 실시하여야 한다. 부분 초생재배는 청경재배에 비하여 과수원의 생태계를 다양하게 하여, 급격한 병해충의 대발생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나무를 촘촘하게 심고, 과수원의 생태계를 풍부하게 하기 위하여 부분초생재배를 하게 되면, 해충을 박멸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천적을 이용한 방제 체계를 적용하여야 한다. 즉,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저독성의 선택성 약제를 이용하되, 천적에 피해가 적은 약제를 선택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모든 요소들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야 성공을 기약할 수 있다. 만약 한 가지 요인이라도 불충분한 채로 결합된다면, 밀식재배는 당연하게 실패하게 된다.


ㅅ. 왜성대목 재배의 성공사례

∙미국

1) Mark

  M.9의 자연수정 종자에서 선발한 것으로 MAC 9를 1979년에 미시간 대학에서 Mark란 이름으로 보급하였다. Mark를 대목으로 한 나무의 크기는 입지조건과 접수품종에 따라 다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발에는 M.9보다 약하나 과습에 대한 내성은 M.9나 M.26에 비해 훨씬 강하다. 조기결실성이나 풍산성은 M.9와 비슷하며 과실크기는 M.9 보다 작다. 눈접했을 때 활착율이 떨어지고 3배체품종을 접했을 때 특히 심하여 일종의 접목불친화현상으로 추정된다.

2) MAC 39

  M.11의 실생에서 선발된 대목이다. M.9와 M.26 중간정도의 나무크기를 보이나 M.26에 가깝다. 기근속발생이 적고 흡지가 발생하지 않는다.

3) G.11

  M.26×Robusta 5를 교배하여 코넬대학 제네바연구소에서 육성하였다. 나무크기는 M.26과 비슷하거나 약간 크다. 조기결실성이고 생산성이 좋다. 증식포에서 쉽게 번식이 되고 기근속이 거의 없고 흡지 발생도 적은 편이다.


4) G.65

  M.27×Beauty Crab를 교배하여 코넬대학에서 육성하였다. M.9에 비해 나무가 작게 자라고 조기결실성이고 생산성도 좋다. 기근속과 흡지발생이 적다.

5) CG. 16

  Ottawa 3×Malus floribunda를 교배하여 코넬대학에서 육성하였다. 나무크기는 M.9와 비슷하다.

6) CG. 30

  Robusta 5×M.9를 교배하여 코넬대학에서 육성하였다. 나무크기는 M.7와 비슷하나 조기결실성이나 생산성이 우수하다.


∙캐나다

1) Ottawa 3(O.3)

  캐나다 오타와에서 M.9×Robin을 교배하여 육성하였다. 나무크기는 M.9와 M.26의 중간정도이고 조기결실성이고 수량성도 높다. 과실도 대과이다. 동해에 매우 강하다. 번식이 어려워 상업적 이용에 문제점이 있다.

2) V.1, V.3, V.2, V.7 V.4

  캐나다 온타리오주 Vineland에서 야생사과 Kerr(Dolgo×Maralson)에 M.9로 믿어지는 꽃가루에 의해 교배된 실생에서 선발된 대목이다. 나무크기는 M.9와 비슷하다. 조기결실성과 다수확성이다. 내동성과 내병성은 알려져 있지 않다.


∙폴란드

P계통은 M.9×내한성이 강한 Antonovka와 같은 대목을 교배하여 육성하였다. 내한성과 역병에는 강하나 사과면충에는 약하다. 번식력은 M.9보다 떨어진다.

1) P.2

  M.9에 비해 나무가 약 20% 정도 작게 자란다. 지지력이 약하여 지주를 세워야한다. 내동성은 P.22, O.3, B.9와 같이 M.9보다 강하다.


2) P.16

  극왜성대목으로 M.27보다 약간 크게 자라고 P.22 보다는 약하다. 번식력은 M.9와 비슷하다. 내동성은 M.9와 비슷하고 P.22 보다 약하다. 기근속은 없으나 흡지발생이 많다.

3) P.22

  M.27 비슷하거나 다소 크다. 조기결실성이고 수량성이 높다. 내동성도 M.9보다 우수하다.


∙러시아

Bud.(Budagovsky)계통은 M.8×Red Standard를 교배하여 육성하였다. 내한성이 강하고 왜화도가 M.9와 비슷하거나 약간 더 큰편으로 조기결실성이고 수량성이 높다. 역병에 저항성이고 내한성이 극히 강하나 사과면충에는 약하며, 번식은 M.9 보다 쉽다.

1) Bud. 9

  왜화도가 M.9와 비슷하거나 약간 더 큰편으로 조기결실성이고 수량성이 높다. 내한성이 극히 강하나 화상병과 면충에는 약하다. 내동성이 있는 기대할 만한 대목이다.

2) Bud. 146

  왜화도는 M.27과 M.9의 중간정도이다. 나머지는 Bud. 9와 비슷하다.

3) Bud. 491

  Bud. 146과 비슷하다.


∙일본

JM(Japan Morioka) 계통은 일본 과수시험장 사과지장에서 환엽해당×M.9를 교배하여 육성하였다. 삽목번식성이 우수한 것이 특징이다.

1) JM 5

 왜화도는 M.27 정도 또는 그 이상이다. 과실 생산성이 높고 과실크기는 M.9EMLA와 M.26 보다 다소 작다. 내습성이 비교적 강하고 뿌리목썩음병과 사과면충에 저항성이 있다. 삽목번식이 가능하고 흡지가 발생되기 쉽다.


2) JM 1

 왜화도는 M.9EMLA정도이고 과실 생산성은 M.9EMLA와 M.26 보다 다소 높다. 내습성이 비교적 강하고 뿌리목썩음병, 흑성병 및 사과면충에 저항성이 있다.

3) JM 7

 왜화도는 M.9EMLA정도이고 과실 생산성은 M.9EMLA와 M.26 보다 다소 높다. 삽목번식이 극히 잘되고 내습성은 환엽해당과 같은 정도이다. 뿌리목썩음병과 사과면충에 저항성이 있다.

4) JM 8

 왜화도는 M.9EMLA정도이고 과실 생산성은 M.9EMLA와 M.26 보다 다소 높다. 내습성은 다소 약하다. 뿌리목썩음병, 흑성병 및 사과면충에 저항성이 있다.

5) JM 2

 왜화도는 M.26EMLA보다 다소 커지는 왜화성을 나타내고 과실 생산성은 M.26EMLA보다 다소 떨어진다. 내수성은 환엽해당 정도로 강하고 뿌리목썩음병에 저항성이 있으나 사과면충에는 약하다.


Ⅵ. 결   론

 

 영천 지역의 사과 재배 농가를 표본으로 조사한 결과 구 재배 사과의 생산량 대비 소득의 경감은 기존의 과수 경영을 고수한 결과이고 또한 농업인구의 노령화로 인한 농촌 일손 부족의 결과라고 볼수 있다. 특히 영천 지역은 오랜 사과 재배로 타 지역에 비해 왜성 대목의 재배 면적이 적으므로 위에서 말한 왜성대목의 재배 경영을 도입하여 생산량과 수익률 증대에 크게 기여 할 것으로 판단 된다.

 지금까지 우리는 외국의 밀식재배를 그들만의 관심사로 치부하고, 실제로 밀식재배 시스템의 적용 가능성을 실증하여 보지는 않은채, 여름철에 비가 많은 우리나라에서는 나무가 웃자라기 때문에 밀식재배가 불가능하다고 아주 쉽게 포기하여 왔었다. 그러나 여기서 그냥 자포자기하여 그대로 주저앉을 수는 없다. 이제 우리는 그 동안 우리나라에서 밀식재배가 성공하지 못하였던 이유가, 원천적으로 밀식재배가 불가능한 때문이 아니고, 필요한 기본 기술을 개발하지 못하였던 때문이라고 사고방식을 전환하여야 한다.

 다행스러운 것은, 미국과 유럽에서도 왜성사과 밀식재배가 본격적으로 농가에 보급된 것은 근래 7~8년간으로서, 환경농업의 발달이 밀식재배의 발달과 더불어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우리가 서둘러 유럽 등 앞선 나라의 재배 방식을 도입한다면, 앞으로 4~5년이면 한국형 왜성사과 밀식재배 시스템을 정착시킬 수 있다고 생각된다.

 지금 이태리 남부티롤을 제외한 유럽이나 미국은 소규모 농가들이 기업농에 대하여 경쟁력을 상실하여 자꾸 도태되어 가고 있다. 우리가 대규모 기업농을 지향하지 않는다면, 하루 빨리 소규모 농가들이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과수원 시스템을 변혁하고, 제도, 기술 등의 지원 체제를 정비하여야 한다. 농업의 속성 상 경쟁력 기반이 일단 허물어지고 난 이후에는 다시 되돌리기가 거의 불가능하다.

 아쉽게도 우리의 현 여건은 이와 같은 밀식 왜화재배를 바로 적용하기에 여러 가지 무리가 있다. 즉, 기존의 과수원을 일시에 밀식 왜화재배원으로 바꾸는 것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국내에 이와 관련한 연구, 기술 축적이 거의 없는 상태이다. 그렇다고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묘목 생산, 수형 및 결실 관리, 토양(시비 및 수분) 관리, 병해충 방제 등 제반 기술을 개발한 연후에 이러한 시스템을 적용하기에는 시기적으로 너무나 촉박하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수고가 높은 기존 과수원은 수고를 더욱 낮추는 등 현 상태를 일부 개선하는 정도로 하되, 신규 개원(식)하는 사과원의 경우에는 과감하게 저수고 밀식재배 시스템을 적용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Ⅴ. 참 고 문 헌


∙ 과수원예학 총론, 김정호 (향문사)

∙ 왜성사과 재배신기술, 김성봉 (오성출판사)

∙ UR 대응을 위한 사과, 배 정지전정 기술, 농촌진흥청, 1994

∙ 농촌진흥청. 농업과학 기술의 세계화를 위한 작목별 기술대응 방안.

 

 

 

 

 

 

 

 

 

 

∙ 이복남. 사과 주산지 개발에 관한 연구. 농시논문집

∙ 이복남외 3인. 사과․배 생산에 관한 경제분석. 농시논문집

∙ 이복남외 2인. 사과․배 주산지 농가의 경영실태 분석에 관한 연구. 농시     논문집

∙ 이복남외 1인. 사과재배 농가의 경영개선에 관한 연구. 농시논문집

∙ 윤재탁외 2인. 사과 결실 향상을 위한 머리뿔가위벌 이용 실태. 경북농진     원 연구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