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최장수자 이청운에 관한 이야기
- 포스트 상세 정보
- 2010-01-18 23:13:47
- 조회 (7675) | 추천 (2)
kks782 ds3hyy

256년을 산 리칭윤
위의 사진은 256년을 산 이청운(중국명:리칭윤, 李靑雲)의 1927년 즉 250세때의 모습이다. 내가 과거 세계기록사전이라는 책에서 봤을 때는 1680년에 태어나 1935년까지 255년을 살았다고 되어 있었으나 최근 인터넷에 올라 있는 자료를 보니 1677년 5월 4일에 태어나 1933년 5월 6일까지 256년을 살았다고 한다. 어느 것이 맞는지 정확하게는 알 수 없으나 아마도 256년을 살았다는 얘기가 맞을 것 같은 생각이 든다.
1677년에 중국 사천성 츠이 지앙 흐시에서 태어난 이청운(1677~1933)은 어려서부터 부모와 함께 깊은 산중에서 살며 약초를 캐고 장수비결을 수련했다고 알려져 있다. 추측컨대 이청운의 부모는 명나라가 망하자 세상을 등지고 산중으로 들어가 약초를 캐면서 불로장생(不老長生)의 도를 일생동안 추구한 것으로 보여진다.
이청운의 부모는 불로장생을 추구하면서 터득한 것들을 자식인 이청운에게 그대로 물려 주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분위기에서 자라난 이청운은 어린 시절부터 장년기가 될 때까지 쭉 산중생활을 계속한 것 같다. 산중생활을 하면서 약초에 관해서 배우고 무술을 연마하여 체력을 단련하며 장수비법을 터득한 이청운은 나이가 들자 조금씩 이름이 나기 시작한 것으로 추측된다.
그리하여 1748년 71살의 나이에 무술사범과 군사고문으로 군에 복무하기 위해 카이 흐시엔으로 이주했다고 한다. 이후의 자세한 행적은 알려져 있지 않고 단편적인 행적만 몇가지 전해지고 있다. 1827년에는 청나라 황실에서 150세 생일을 축하한다는 공식문서를 만들었었다고 하는데 이문서는 중국 쳉두대학교의 우충치에 교수가 발견했다고 한다. 1827년에 150세면 1677년생이 맞는 셈이다.
이후 청나라가 망하고 1927년 사천성 군벌인 국민당의 양센장군을 만나 위의 사진을 촬영했다. 이청운은 양센장군을 만나 그의 젊음과 장수에 매혹된 그에게 여러 가지 수련기법을 가르쳐 주고 고향으로 돌아온 1년 후인 1933년 '이 세상에서 할 수 있는 것은 모두 다 했다. 난 이제 집으로 간다'는 말을 남기고 타계했다고 한다.
이청운은 일생동안 23명의 부인과 사별하고 200여명의 자손을 두었다고 하는데 그는 노년에 전혀 200살이 넘은 사람처럼 보이지 않았다고 한다. 200살이 넘어서도 장년의 사람처럼 건강하게 살았다고 하는데 어떻게 해서 그게 가능했을까? 양센장군은 이청운이 어떻게 해서 그토록 장수할 수 있었는지를 조사했다.
양센장군이 조사한 바에 의하면 그는 항상 조용한 마음 즉 정(靜)의 마음을 가지고 거북처럼 앉고 비둘기처럼 걸어 다니며 개처럼 잠을 자면 장수한다는 장수비결을 남겼다고 한다. 마음을 항상 조용하게 가지면서 거북처럼 여유있게 지내고 비둘기처럼 힘있고 평화롭게 행동하며 개처럼 조심스럽게 잠을 자면 장수한다는 것이다.
이청운은 마음을 항상 조용하게 가져야 한다고 했는데 마음을 언제나 조용하게 가지는것은 쉽지 않다. 마음을 언제나 조용하게 평정심을 유지할려면 뇌가 튼튼해야 한다. 뇌가 단련되어 튼튼해지면 어떠한 자극이나 스트레스도 이겨낼 수 있고 평정심을 유지하기가 쉬워져 마음을 언제나 조용하게 가질 수 있다.
이청운은 어려서부터 약초를 캐며 산중생활을 한탓으로 약초에 관해서도 조예가 깊었다. 이청운의 이러한 약초에 관한 지식도 그가 장수하는데 큰 도움을 주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약초에 관한 풍부한 지식, 튼튼하고 단련된 몸, 훌륭한 장수비결등은 이청운이 오래 사는데 큰 역할을 했을 것이다.
그렇지만 그가 200년이상 사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은 그의 강인하고 튼튼한 뇌라고 본다. 인간이 몸이 아무리 건강하고 훌륭한 장수비결을 터득하고 약초에 관해서 많이 알아도 뇌가 튼튼하지 못하면 오래 살 수 없다. 왜냐? 인간의 몸이 그렇게 만들어져 있기 때문이다. 우리 인간이 장수할려면 뇌가 튼튼해야 한다.
256년이라는 긴긴세월을 건강하게 살고 간 이청운 그는 건강장수의 표본이 되는 인물이다. 나는 비록 이청운처럼 건강하지는 못하지만 그를 통해서 많은 것을 배우고 깨달았다. 그리고 그는 장수에 있어서 뇌의 중요성을 깊이 알지는 못했지만 그의 일생을 생각해 보면 장수하는데 뇌가 얼마나 중요한 지를 알 수 있게 해 준다.
'의학,헬스케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약이 되는 생선, 독이 되는 생선 기사 (0) | 2010.04.15 |
---|---|
장수비결 (0) | 2010.04.14 |
이청운은 건강관리의 天才 (0) | 2010.04.14 |
공원 흙에서만 놀아도 A형간염 예방 (0) | 2010.04.14 |
나에게 맞는 다이어트 운동고르기 (0) | 2010.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