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나 조국을 사랑했기에 몸은 부서져
가루가 되고 그대 흘린 피 이 땅 적셔 흐르리
통일 꿈 이뤄져 평양 가는 첫 기차
기적 울릴 때 무덤 헤쳐 일어나소서
순국선열 무명용사 묘비 앞에 서면
절로 눈시울이 뜨거워진다
주말이면 서울 동작동 국립현충원 산책로를 즐겨 찾는다. 현충원 내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산책로는 좌우로 거리가 무려 8㎞에 이르는, 쾌적한 숲 속의 공기 맑은 오솔길이다. 서울에 오랫동안 살아온 시민 가운데도 현충원 안에 이렇게 좋은 산책로가 있는지 아는 사람은 드물다. 대부분 사람들에게 현충원은 국가유공자들이 묻힌 곳 또는 한국을 방문한 외국 외교사절이나 선거를 앞둔 정치인들이 꼭 거쳐 가는 필수 코스 정도로 알려져 있을 정도다.
산책로를 걷다 보면 계절마다 아름다운 꽃들이 피었다 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요즘 같은 초여름에는 향기 그윽한 라일락과 우윳빛 꽃이 아름다운 아카시아 나무들이 한창이다. 그늘을 드리우는 나무 아래 서면 은은한 꽃향기가 온몸에 쌓인 피로를 풀어주고 어느새 마음도 편안해진다.
내가 현충원의 산책로를 자주 찾는 또 다른 이유는 산책길을 걸으며 자연스레 전직 대통령이나 군(軍) 장성, 무명용사와 경찰 등 국가유공자들의 묘역을 들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들의 묘소를 참배하며 묘비에 새겨진 추도문들을 읽어 내려가다 보면 나도 모르게 가슴이 찡해지고 애틋함이 치밀어오른다. 조국이 무엇인지를 다시 생각하게 된다.
- ▲ 일러스트=이철원 기자 burbuck@chosun.com
비문 가운데 모윤숙 시인이 쓴 고(故) 육영수 여사의 묘비 글은 수려하면서도 장엄하게 느껴진다.
'당신의 장미는 아직 시들지 않았고 뽕을 따서 담으시던 광우리는 거기 있는데…. 홀연 8월의 태양과 함께 먹구름에 숨어버리신 날 우린 한목소리 되어 당신을 불렀습니다. 비옵니다. 꽃보라도 날리신 영이시여! 저 먼, 신의 강가에 흰새로 날으시어 수호하소서, 이 조국 이 겨레를.'
비문을 읽으면 마치 고인의 살아생전의 체취가 되살아나는 듯 느껴지고 온몸에 소름이 돋듯 슬픔이 밀려온다.
한솔 이효상씨가 쓴 고 이인호 해병소령의 추모 글은 쉽게 잊히지 않는 강렬한 인상으로 다가온다. '얼마나 조국을 사랑했기에 청춘도 정든 임도 모두 버리고 그대 몸은 부서져 가루가 되고 피는 흘러 이슬이 되었거니 그대 흘린 피! 이 땅 적시어 생명되어 흐르리.'
남편이나 자식을 애타게 그리워하는 아내와 어머니들이 쓴 무명용사들의 비문에도 절절한 안타까움과 슬픔이 묻어나온다.
'잘 다녀올 테니 아이들 잘 보살피고 몸조심 하라시며 우리 세 식구 남겨둔 채 입대하시던 당신 모습, 조국을 위해 청춘을 불사른 장하신 당신 명복을 빕니다.' '너의 착하던 그 모습이 한 줌의 재로 돌아오다니.'
1983년 10월 북한의 미얀마 랑군 테러로 희생된 서석준 부총리 겸 경제기획원 장관, 김재익 경제수석비서관, 이범석 외무부 장관 등 순국 외교사절의 묘역에 들어서면 이역만리 먼 곳에서 국가 동량재를 잃은 안타까움과 분노가 솟구친다.
'살아서는 향기를 멀리멀리 풍기고 맑음을 날로날로 더해가던 그대…. 그대는 총명했기에 그대가 아쉽고…'라며 송복 연세대 명예교수가 쓴 김재익 경제수석 묘비 글은 가슴을 치게 한다.
김동길 연세대 명예교수가 고향 선배인 이범석 외무부 장관에게 바친 묘비 글에선 절로 눈시울이 뜨거워진다. '그 어느 날 통일의 큰 꿈 이뤄져 평양 가는 첫 기차 서울 떠나는 기적소리 울릴 때 임이여 무덤 헤치고 일어나소서.'
굳이 누가 일깨워주지 않아도 두 번 다시 이런 비극이 일어나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다짐을 한다. 그래야만 이 땅을 지키기 위해 말없이 산화(散華)해간 수많은 호국 영령들에게 부끄럽지 않을 것이다.
이들의 묘비를 한자 한자 읽으면서 문득 천안함 장병들의 죽음이 떠올라 한동안 자리를 뜰 수 없었다. 그들도 생전에 누구보다 소중한 부모의 자식이었고 사랑스러운 아내의 남편이었으며 귀여운 자식들의 아버지였다. 그러기에 이 땅에 살아남은 우리들은 그들의 죽음을 결코 잊어서는 안 된다.
올해는 6·25전쟁이 일어난 지 60년이 되는 해이다. 지금 우리 국민들의 70% 이상은 6·25를 겪지 않은 세대로 전쟁의 참상을 잘 모른다. 안보(安保)라는 것이 공기 속의 산소처럼 사라진 뒤에야 비로소 소중함을 느끼게 되는 것일까. 전쟁을 겪지 않은 우리 젊은 세대들이 "북한보다 미국을 더 위험하다고 생각한다"는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가슴이 답답해진다.
국립현충원 안에 안보 박물관이 있으면 좋을 듯하다. 오늘의 나를 있게 만든 나라, 그 나라를 지키기 위해 산화한 호국 영령들의 생생한 역사를 기록해 둬야 한다. 그들이 왜, 어떻게, 무엇을 위해 죽었는지를 후세가 널리 기억하도록 말이다.
하지만 그 어떤 것보다 현충원의 순국선열 묘비 글을 차근차근 읽어보는 것이야말로 살아있는 생생한 교육이 될 수 있다. 아카시아 향기가 가슴을 아리게 하는 이번 6월에는 자녀들을 데리고 현충원 산책로를 한번 걸어보았으면 한다.
1950년 6월 25일, 우리가 치른 대가는 헛되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