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널리즘 위기.."언론 책임의식 높여야"
"한국판 퓰리처상 도입.재교육 확대 필요"
(서울=연합뉴스) 김중배 기자 = 저널리즘의 위기는 전 지구적 현상이다. 특히 국내 저널리즘은 언론 자유와 다양성의 후퇴, 뉴스콘텐츠 품질 악화, 언론인의 전문성 및 공익성 부족, 윤리의식 결여와 국민과의 소통 부족 등 문제에 봉착해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언론사의 경영 위기로 '편집'과 '경영'의 벽이 상당 부분 허물어졌고, 상업적 이해관계가 걸린 사안의 경우 언론의 감시와 비판 기능이 크게 약화했다는 지적도 적지 않다.
한국언론진흥재단 주관 신문산업 대토론회의 저널리즘 분과(위원장 임영호 부산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4일 "경영위기를 돌파하기 위해 각 언론사는 사업영역의 다각화와 인터넷을 활용한 신규 수익모델 개발, 생산 및 유통비용 축소에 몰두했다"라며 "그 결과 사회적 책임의식은 크게 후퇴한 대신 언론의 공적 기능과 민간 기업의 사적 이해관계가 충돌하는 경우는 잦아졌다"라고 진단했다.
저널리즘 분과는 특히 "(신문 등의) 재정적 어려움으로 취재윤리, 보도윤리 및 광고윤리 등이 지속적으로 악화하고 있으며, 언론에 대한 불신도 이와 비례해서 늘고 있다"며 "인터넷 뉴스 소비의 일상화 과정에서 정보의 품격이 낮아지고 사회적 책임은 도외시한 채 자유만 누리려는 비전문적 언론인도 대량으로 양산되는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저널리즘 분과는 언론의 이 같은 전문성 및 공익성 악화의 현실을 극복할 방안으로 뉴스 콘텐츠 고품격화를 위한 지원시스템 구축과 교육인프라 확대가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또 산업으로서의 언론의 미래에 대한 전략 모색, 윤리의식 제고와 국민과의 소통 강화 등도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국내 언론인 다수가 강남지역과 중산층, 명문대 출신의 남성으로 구성돼 있어 다양한 관점과 의견 공유에 제약이 있으며, 이를 해소하는 다양한 언론인 확보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이와 관련, 현재 방송통신위원회 산하 미디어다양성위원회와는 별도로 신문의 다원성을 평가하고 측정하는 전문기관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저널리즘 분과는 품격 높은 뉴스콘텐츠 생산을 위해 탁월한 보도에 대한 사회적 보상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한국기자협회와 삼성언론재단 등의 포상제도를 넘어서 미국 퓰리처상과 유사한 새로운 뉴스 포상제도를 만들고 포상 액수도 획기적으로 높일 필요가 있다고 주문했다.
아울러 미국에서 비영리기구인 '미디어정확성' 기구나 '저널리즘 탁월성 프로젝트', 콜럼비아대 등이 수행하고 있는 뉴스콘텐츠 평가와 미디어 비평 등 객관적인 미디어 평가 작업을 도입하는 방안도 제시됐다.
저널리즘 분과는 "언론의 질 향상을 위해 국내 신문기사 공급의 60%를 점하는 연합뉴스 보도 품질을 더욱 향상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며 이를 위한 재정적 지원 확대와 함께 타 언론사의 요구 사항 수집 및 반영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jbkim@yna.co.kr
'경제,사회문화 > 사회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③뉴미디어.읽기문화 진흥 (0) | 2010.06.04 |
---|---|
②신문산업의 위기 (0) | 2010.06.04 |
이번 6월엔 현충원을 한번 걸어봅시다 (0) | 2010.06.04 |
'1번' 그대로 남은 이유는..." (0) | 2010.06.04 |
간나오토, 당대표 당선..총리 확정 (0) | 2010.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