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헬스케어

산삼배양근이란 무엇인가?|조직배양

화이트보스 2010. 6. 26. 20:35

산삼배양근이란 무엇인가?|조직배양

권순택 | 조회 21 | 09.04.23 12:34 http://cafe.daum.net/mushworld.net/JgXJ/49 




산삼배양근 농장 한국농업 엔디입니다.

식물의 복제 기술의 발달로 산삼을 배양하여 산삼배양근을 얻는 것은 이제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닙니다.

또한 생산량을 증산하는 것도 그리 어렵운 일은 아닙니다.

단지 운영에 관한 기술적 축적과 특히 실험실 생산이 아닌 대량 생산 체계로 가는 단계에는 모든 작업이 무균 상태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대량 생산 시스템 운영에 대한 Know-How 가 있습니다.

이론만 가지고 대량 생산 시스템 특히 5톤 이상의 식물 반응기를 운영한다는 것은 많은 시행착오가 발생되게 되는 것입니다.

한국도 아열대 기후로 넘어감에 따라 작물 재배에 있어 남쪽에서만 되는 작물이 지금은 경기도권에서도 재배가 되어지고 있으며 기후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고도가 높은 지대로 작물재배가 이동되는 실정입니다.  미래의 바이오 농장은 "시설형 농장"으로 갈수 밖에 없습니다.

        


 


산삼배양근의 정의

고전적인 식물의 번식 방법으로 삽목, 접목 등의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삽목의 대표적인 작물로 국화를 들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법에서 원래의 식물과 삽목을 하여 얻은 식물의 유전적인 구조 뿐만 아니라 생장과 형태, 대사산물도 거의 같은 것으로 알려짐에 따라 복제된 개체를 복제의 의미로 클론(clone)이라 부르고 있습니다. 삽목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국화의 줄기를 표면 소독한 다음 무균의 영양배지에서 쉽게 번식시킬 수 있는데 이러한 방법을 조직배양기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산삼의 경우에도 원래 산삼으로부터 조직을 떼어내어 영양액에 배양할 경우 가는 뿌리를 재생시킬 수 있으며, 생물반응기에서 대량으로 생산이 가능합니다. 산삼배양근을 생산하는 방법도 일종의 조직배양기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산삼배양근을 산삼부정근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전문용어로써 식물이 갖는 전형성능(totipotency)에 의해 산삼 모체 중 뿌리가 아닌 부위를 취하여도 그 조직에서 새로운 뿌리, 즉 부정(不定 : adventitious) 근(根)이 나오는 것을 의미합니다.

 

산삼배양근 응용

산삼배양근에 있어 "대중화"를 하기 위해 제약회사및 식품제조회사 이외에도 요식업체에 원료 공급을 하고 있습니다.



 




산삼배양근의 특징

생물반응기를 이용하여 산삼배양근을 생산하고 기능성 물질을 양산하고 신물질의 산업화을 실현하는 기술을 바탕으로 천연산삼의 유효성분을 양산하는 조직배양 기술입니다.



산삼배양근은 무균적으로 배양하여야만 생산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산삼배양근과 재배 인삼과의 가장 큰 차이점은 산삼배양근에서는 농약성분이 전혀 검출이 되지 않고 유해한 중금속이 전혀 검출되지 않습니다.
특히 산삼배양근의 HPLC 분석 자료를 살펴보면 인삼에서 발견되지 않는 다양한 사포닌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산삼배양근은 무농약입니다.

 


원료산삼과 산삼배양근의 DNA구조와 함유성분이 일치합니다.



산삼배양의 배양시스템은 무균적(세균, 곰팡이 등 무존재)으로 이루
  어져 안전한 식품입니다.

최신시설로 중금속 오염이 전혀 없는 기내배양함으 로써 무공해 식품

 

배양조건에 따른 목적 물질 함량 조절이 가능하며 대량배양에 따른 경제적인 가격을 확보할수 있습니다.


 

 

 

 

 

 산삼 에서만 존재하는 다양한 진세노사이드, 각종 무기질과 미네랄이   포함

 산삼배양근을 고온증숙건조하여 진세노사이드의 일부성분을 증가
  시키므 로 효능이 큰 홍삼화 산삼배양근을  생산

 

 

-진세노사이드 기능적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