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 이름 참칭해 46용사 두 번 죽이지 말라
기사입력 2011-03-24 03:00:00 기사수정 2011-03-24 03:00:00
참여연대는 작년 5월 5개국 합동조사단의 공동조사 내용에 의혹을 제기한 ‘천안함 이슈리포트’를 냈고, 6월에는 “한국 정부의 조사과정에 의문이 많다”는 서한과 함께 이 리포트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의장국인 멕시코 등 15개 이사국에 보냈다. 리포트 작성을 주도한 참여연대 이태호 사무처장은 자체 실험이나 외부 전문기관에 실험 의뢰도 하지 않았다고 최근 밝혔다. ‘시민사회 각계인사’들은 신뢰성 낮은 의혹을 짜깁기한 리포트를 비판하는 것에 대해 부당한 압력 운운하며 “언론자유를 보장해야 하는 민주주의 원칙에 대한 정면도전”이라고 강변했다. ‘괴담의 자유’는 존중돼야 하고, 괴담에 대한 비판은 언론자유 탄압이라는 해괴한 논리다.
중국 측은 천안함 폭침 이후 우리 측 인사들에게 북한 소행임을 사실상 인정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그러면서도 그들은 “우리는 ‘누가 했다, 안 했다’를 말한 적이 없다. ‘북한이 안 했다’고 말하는 사람들은 한국인들 아니냐”고 되받았다. 이러한 중국의 태도를 보더라도 한국 미국 영국 호주 스웨덴의 73명의 전문가가 참여한 민군(民軍) 합동조사단의 최종 결론을 부인하는 일부 좌파들은 한국의 외교력을 심대하게 약화시키고 국가 안보의 둑을 허물고 있다.
지식인을 자처하는 좌파 인사들이 1년 전과 마찬가지로 사실과 과학을 존중하는 태도 없이 일방적으로 북측을 편드는 언행을 계속하는 데 대해 분노를 금할 수 없다. 남측에 이런 비호세력이 있으니 북은 도발을 하면서도 마음 든든할 것이다. ‘시민사회 각계’라는 명칭은 국민을 혼란시킨다. 그들은 천안함이 폭침당하든, 연평도가 포격을 당하든, 북한 주민이 굶어죽든 말든, 언제나 북한 편을 드는 친북 인사들이다.
'경제,사회문화 > 정치, 외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나라 내년 총선 때 과반 안 될 것 (0) | 2011.03.28 |
---|---|
건보 적자 1조원 시대 (상) 검사 왕국 (0) | 2011.03.24 |
봉하마을 政治 (0) | 2011.03.24 |
김무성·박지원 지휘 ‘청목회면죄부법’ 급브레이크 (0) | 2011.03.08 |
이은재의원 “박지원, 성희롱 사과” 요구 (0) | 2011.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