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의 4대강 살리기는 성공작이다. | |
최승달(choisd) |
|
요즘 좌익은 홍수가 나기를 학수고대하고 있다. 그래야 이명박대통령의 "4대강 살리기"에 집중포화를 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좌익의 바람과는 달리 엄청난 폭우에도 대규모 범람이 4대강 주변에선 발생하지 않고 있다. 경남밀양지역에서 일부 농경지 침수가 있지만 예년같은 대규모 범람과는 거리가 멀다. 피해는 오히려 4대강지역과는 상관없는 지역에서 주로 발생하고 있다.
보도에 따르면 7일부터 평균 266.2㎜의 비가 내린 경남지역은 하동 410.9㎜, 산청 384.7㎜, 진주 381㎜ 등 상당한 강우량을 기록했다. 어마어마한 강우량이다. 중부지방의 경우는 더 많은 비가 내려서 최근 보름동안에 연간강우량의 절반에 해당하는 강수량을 보였다. 이틀동안에 300mm가 넘는 강수량은 보통이다. 그런데도 예년처럼 대규모 범람은 보이지 않고 있다. 과거엔 지금보다 훨신 적은 강수량에도 강은 넘쳤다. 2006년 경북영천지역은 올해강수량보다 훨신 못미치는 수준에서 물난리를 겪었다. 그당시 보도를 보면 이렇다.
2006년 경북지역 물난리 보도 (2006년7월10일자)
【대구=뉴시스】 제 3호 태풍 '에위니아'의 직격탄을 맞은 대구.경북지역에 최고 200㎜가 넘는 폭우가 쏟아지면서 인명피해와 재산피해가 잇따랐다.
200㎜의 비가 쏟아진 대구지역에서는 곳곳이 물난리를 겪으면서 대구 신천좌.우안도로 각각 5㎞ 구간과 달성군 구라리 지하차도 200여m 등 도로 20여곳의 차량 통행이 통제됐다. 또 금호강이 불어나 비닐하우스 700동(7㏊)이 물에 잠겼으며 북구 조야동과 노곡동 진입도로는 하수도가 역류, 일대가 물바다를 이뤘다.
평균 144㎜, 최고 277㎜의 폭우가 내린 경북지역에서는 경산시 하양읍 환상리~남하리 남하잠수교 등 도로 20여곳이 침수돼 교통통행이 제한됐다. 특히 경북 남부지역의 피해가 커 성주군 성주읍과 고령군 쌍림면 등에서는 주택 53채와 농경지 95㏊가 물에 잠기는 피해를 입었다. ▲홍수주의보 발령 낙동강 홍수통제소는 10일 오후 5시부터 낙동강 중류인 금호강 동촌지역과 포항 형산강에 각각 홍수주의보를 발령했다. 금호강의 수위는 주의보 수위인 5.5m를 넘어 5.9m를 기록 중이며 형산강도 주의보 2.5m를 넘어 2.6m까지 차 올랐다. 그러나 이날 오후 9시께부터 대구.경북지역이 태풍의 영향권에서 점차 벗어남에 따라 낙동강유역의 수위는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재춘기자 leejc@newsis.com 2006.7.10
4대강 살리기 준설의 효과
필자는 이번 장마에 행여나 큰 물난리가 나면 어떡하나 내심 걱정하고 있었다. 4대강 살리기에 대해서 온갖음해를 하는 좌익에게 빌미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반면에 장마기간에도 별탈없이 넘어간다면 4대강살리기의 효과는 입증되리라 예상도 하고 있었다.
그런데 이번 장마기간동안의 엄청난 폭우에도 대규모 범람이나 폭우피해 소식은 대폭 줄었다. 얼마나 다행인지 모르겠다. 그래서 자료를 찾아봤다. 역시나 4대강 살리기 준설의 효과가 크게 작용하고 있음을 알았다.
한국수자원공사 측은 "이번 집중호우로 함안보는 10.03m(관리수위 5m), 합천보는 14.61m(관리수위 10.5m)까지 수위가 올라갔지만 주요 시설물이나 인명 피해는 없었다"며 "낙동강 준설 완료로 수위가 2.4m 낮아져 많은 비에도 예년 같은 홍수피해가 발생하지 않은 것"이라고 분석했다.
대규모 범람은 수많은 인명피해를 수반한다. 그런데 4대강살리기의 준설효과는 그러한 피해를 미연에 방지하고 있다. 한마디로 많은 인명을 구한셈이다. 그런면에서 올해의 인권상은 4대강살리기에 주어야 하지 않을까 싶다.
준설의 효과 - 상지대 건설시스템 공학과 최홍식교수의 기고문중에서
강원도민일보에 기고한 최교수의 글에 따르면 준설의 효과에 대해서 이렇게 설명하고 있다.
다음은 4대강 사업 준설로 인한 효과가 있느냐 하는 것이다. 지난 6월 22일부터 시작된 장마와 연이어 발생한 태풍 ‘메아리’로 인해 집중호우가 발생했으나 주변의 피해가 크지 않았던 것을 볼 수 있다. 이번 집중호우는 일년간 내릴 비의 17%, 약 200억t의 많은 비를 내렸다. 이는 6월 강수량으로는 예년 보다 72%나 많은 양이다. 이번 호우로 낙동강의 구 왜관철교 교각이 유실되는 등 일부 피해가 있었으나, 호우 규모에 비해 피해가 크지 않았던 것은 마무리 단계에 있는 4대강 사업의 준설 효과를 본 것으로 분석된다.
언론에서 떠드는 역행침식에 대한 반론.
최교수는 언론에서 떠드는 역행침식에 대해서도 이렇게 반론하고 있다. 가장 먼저 지적할 수 있는 것은 ‘역행침식’으로 잘못 알려진 본류 준설로 인한 지류지천의 침식 우려다. 그러나 역행침식이라고 하는 용어는 없다. 정확히 말하면 ‘두부침식’이다. 두부침식은 하천의 바닥이 낮아질 때 당연히 나타나는 현상으로 하상유지공의 설치 등 적절히 대비를 한다면 일정시점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안정화될 수가 있다.
본류 준설에 따른 지천 합류부의 하상변동은 설계 당시부터 충분히 고려된 것으로 알고 있으며, 정부에서는 이에 대비해 지류하천 112개소를 대상으로 하상유지시설을 이미 설치했거나 설치해 나갈 예정이므로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현재 수립중인 ‘지류하천 종합정비계획’을 통해 지류의 치수안정성이 크게 증대될 것이다.
좌익은 원래 반대를 위한 반대일뿐. 문제는 방송이다.
과거 경부고속도록 건설때도 그랬고, 포항제철건설때도 그랬다. 좌익들은 항상 반대만 해왔다. 청계천도 그랬고 전두환의 한강정화작업때도 좌익들은 반대했다. 그러나 좌익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경부고속도로, 포항제철, 청계천, 한강정화사업의 결과는 대성공이었다.
문제는 방송이다. 이번 4대강살리기에 대해서도 방송은 매우 부정적인 부분만 침소봉대해서 방송하고 있다. 방송은 이제 좌익과 더불어서 공공의 적 수준에 이르렀다.
다시한번 4대강 살리기 준설효과에 대해서 국민들에게 진실을 알려야 할 의무감을 느낀다.
|
'대문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요하게 잘못 가는 MB물가정책 (0) | 2011.07.28 |
---|---|
"기록적 폭우에도 전국 피해액 84억원" (0) | 2011.07.22 |
北, 조총련 통해 한국의 내년 총선·대선 조직적 개입? (0) | 2011.07.22 |
'少數의 드러눕기'에 多數가 골탕먹는 대한민국기사 100자평(74) 페이스북 트위터 미투데이 (0) | 2011.07.21 |
현역 찍겠나? 광주 50%ㆍ전남 47% "NO" (0) | 2011.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