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2.05.24 03:05 | 수정 : 2012.05.24 07:38
북한 전문가들 긴급 세미나
"주사파의 국회 입성은 과거 정부가 이들을 민주화운동으로 미화한 탓 "
운동권 출신인 최홍재 시대정신 편집위원은 "1980·90년대 운동권은 최소한 인권에 대한 보편성은 인정했는데 90년대 말 민혁당 재건을 계기로 종북 성향이 선명해진다"며 "이때 민혁당을 재건한 주축이 이석기·이상규 당선자 등 현재의 진보당 구당권파"라고 했다. 한기홍 북한민주화네트워크 대표는 "당시 민혁당원 100여명을 비롯해 NL(민족해방범주체사상)의 영향권에 있던 1만명 중 4000~5000명 정도가 통합진보당에서 NL 노선으로 당을 접수했다"며 "이미 노출돼 활용 가치가 떨어진 비례대표 당선자들보다는 '얼굴' 없이 지하와 배후에서 활동하는 사람들이 앞으로 더 위협적일 수 있다"고 했다.
강길모 전 한국인터넷미디어협회장은 "주사파가 국회에 손쉽게 들어간 건 과거 정부가 이들의 종북활동을 '민주화 운동'으로 미화해 줬기 때문"이라고 했다.
공안검사 출신의 함귀용 변호사는 "진보당 비례대표 당선자들이 국민 대다수의 요구에도 사퇴하지 않는 이유는 오직 하나"라며 "아직 수사기관이 밝혀내지 못했을 뿐 국회에 침투하라는 북의 지령이 분명히 있었을 것"이라고 했다. 유동열 치안정책연구소 선임연구관은 "진보당의 제주해군기지와 한미 FTA 반대 투쟁, 반미와 국가보안법 폐지 주장 등은 북한이 운영하는 인터넷 사이트에 빠짐없이 나오는 내용"이라며 "과거 독일과 미국처럼 종북 세력엔 국회의원을 포함한 정무직 공무원 진출을 원천 봉쇄하고 정부의 원칙 없는 사면·복권을 막아야 한다"고 했다.
고영주 국가정상화추진위원장은 "이번 사태를 통해 종북 좌파 세력의 존재를 조금이나마 인식하게 된 것은 불행 중 다행"이라고 했고, 김광동 나라정책원장은 "시민단체 등이 벌이는 정당 해산운동은 결과를 떠나 헌재에 판단을 구하는 것 자체가 의미가 있다"고 했다.
- 경기동부연합은 강기갑 위원장 직무 정지 신청 박국희 기자
- "말 돌리지 마" 이상규에게 일침 가한 '돌직구녀' 윤동빈 기자
- "김일성을 세계 최고 지도자로 여기는 주사파는…" 김형원 기자

- "국회 입성 반대" 與, 종북주사파 의원 제명 추진 권대열 기자
- 김선동도 지난 보선 때 '北 세습' 질문에 답 회피 조호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