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년 새천년민주당 노무현 후보가 승리했던 16대 대선 때에 비해 올해 2030세대는 133만여 명 줄었다. 반면에 50대 이상은 577만여 명 늘었다. 10년이 흐르면서 전체 유권자에서 2030의 비중은 48.3%→38.5%로 낮아졌고, 50대 이상은 29.3%→39.6%로 커졌다. 중앙선관위의 2002년 선거인단 규모와 행정안전부의 올 9월 말 기준 주민등록 집계를 비교한 결과다.
여론조사 전문가들은 이 변화가 박빙 승부에서 새누리당 박근혜 대통령 후보에게 유리할 것으로 예상한다. 윤희웅 한국사회여론연구소 조사분석실장은 “투표율이 높은 장노년층에 소구력이 더 높은 박 후보에게 유리하게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본지가 지난 5∼6일 실시한 8차 정례 대선 여론조사 결과표에서 세대별 인구분포를 10년 전 기준으로 되돌려 계산한 결과, 양자·다자대결 모두에서 박근혜 후보 지지율은 4%포인트 안팎씩 떨어지고, 문재인(민주통합당)·안철수(무소속) 후보 지지율은 각각 4%포인트 안팎씩 올랐다. 표밭이 변한 탓에 문·안 후보는 10년 전보다 더 어려운 싸움을 하고 있다는 뜻이다.
문·안 후보가 각자 ‘취약 세대’ 공략에 나선 이유도 여기에 있다. 문 후보는 지난 12일 평택 2함대사령부를 찾아 천안함에 헌화했다. 안보에 민감한 보수세대를 의식한 행보다. 그의 한 참모는 “천안함은 민감해 모두 말렸지만 문 후보는 ‘정공법으로 가야 한다’며 결심했다”고 말했다. 2030의 지지세가 뚜렷한 안 후보가 지난 7일 복지정책을 발표하며 기초생활수급 대상에서 제외된 뒤 자살한 78세의 할머니를 거론한 대목도 노년층을 의식한 행보로 보인다.
이런 표밭 지형에선 결과적으로 관건은 중간층인 40대가 쥐게 됐다. 정한울 동아시아연구원 여론분석센터 부소장은 “민주화를 경험했고 생활에선 보수, 이념에선 진보가 혼재해 있는 40대는 유동성이 큰 집단”이라며 “이들이 어디로 가느냐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윤희웅 실장도 “40대는 중도적 성향이 강한 투표층인데, 50대 초반에까지 영향을 줄 수 있어 선거판세의 관건이 됐다”고 지적했다.
투표율도 큰 변수다. 선관위에 따르면 16대 대선에 비해 이명박 후보가 승리한 17대 대선에선 20대(56.5%→46.6%), 30대(67.4%→55.1%)의 투표율이 크게 떨어졌다. 젊은 층의 비중이 낮아진 데다, 이들의 투표율도 오르지 않을 경우 야권엔 불리하다. 이에 따라 민주당은 5060세대에 비해 투표율이 낮은 2030세대를 투표장으로 불러내기 위해 투표시간 연장을 이슈화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