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플러스의 게시물은 중앙일보 편집 방향 및 논조와 다를 수 있습니다.
나는 박 대통령의 인간적인 면이 가장 집약적으로 그리고 극명하게 드러난 경우가 육영수 여사 피격사건 때였다는 생각이 든다. 1974년 8월 15일, 영부인 피격 장면을 나는 장충동 국립극장에서 거행된 광복절기념식 중계 실황을 시청하다가 보게 되었고, 대통령 영부인이 피격되었다는 긴급연락을 받고 곧바로 서울대학 병원으로 황급히 달려갔다. 부상을 당한 영부인은 을지로6가에 있는 국립의료원을 거쳐 서울대학병원 응급실에 옮겨져 있었다.
내가 응급실에 황급히 들어서니 영부인을 병원으로 옮긴 경호원 한 명이 간호사를 돕기 위해 응급실 침대에 누워 있는 영부인의 두 다리를 붙들고 있는 것이 보였다. 나는 그 경호원 대신 영부인의 버선 신은 두 발을 나의 가슴 위로 치켜든 채 안고 서서 간호사의 응급처치를 도왔다. 유혈이 낭자했다.
머리에 총탄을 맞은 영부인은 이미 의식불명 상태에서 불규칙적인 호흡소리를 내고 있었다. 직감적으로 치명상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나는 너무 놀랍고 안타까워 몇 차례 영부인을 불러보았다. 가쁜 호흡만 몰아쉴 뿐 아무런 대답이 없으셨다. 그때의 절망감은 필설로 형용키 어렵다. 세월이 많이 흐른 지금 와서 생각해 보면 그 절박한 순간이 내가 그토록 존경하며 따르던 영부인을 마지막 보내는 임종의 순간이 될 줄을 누가 알았겠는가.
영부인이 응급처치를 받고 수술실로 옮겨진 직후에 광복절 기념식 행사를 모두 마친 박정희 대통령이 서울 의과대학장의 안내를 받으며 수술실로 들어왔다. 뒤에는 박종규(朴鐘圭) 경호실장이 수행하고 있었다.
나는 그 순간의 박 대통령 표정을 영원히 잊을 수 없을 것이다. 핏기가 가신 검은 얼굴은 거의 샛노랗게 변해 있었다. 입을 굳게 다문 무서운 얼굴이었다. 참담하고 황당한 일이 불과 몇 십분 전에 대통령 본인의 면전에서 벌어진 것이 아닌가. 박 대통령은 의사들에게 “최선을 다해주시오”라고 간곡하게 부탁하고는 대통령 전용 입원실로 올라가 수술 경과를 초조하게 기다렸다.
체포된 저격범은 조총련에 관련된 재일교포라는 긴급보고가 박 대통령에게 들어왔다.
영부인은 의료진의 애타는 노력과 쾌유를 비는 온 국민의 간절한 기원의 보람도 없이 황금빛으로 물든 저녁노을 속으로 그렇게 가시고 말았다.
“총 쏘지 마”
나는 영부인 국민장을 다 치루고 난 후 경호관들로부터 저격 당시 국립극장에서 박 대통령이 취한 행동에 대하여 소상히 들을 수 있었다. 총성이 나자 박 대통령은 재빠르게 연설대 뒤에서 몸을 낮추었다. 경호원들이 대통령을 에워쌌다.
“총 쏘지 마!”
(1974년 8월 15일 광복절 경축식장, 총탄에 피격된 육영수 여사의 마지막 모습)
이것이 박 대통령의 첫 반응이었다. 자신의 목숨이 위협받고 있는 순간에도 경호원들이 저격범을 향해 사격을 했을 때의 참극을 더 우려하고 있었다. 만일 경호원들이 자신들의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권총을 든 저격범을 향해 총을 발사했다면 청중석에 앉아 있던 행사 참석자들의 인명 피해가 얼마나 컸겠는가. 박 대통령은 거의 본능에 가까울 정도로 위기상황에 대한 판단과 대처가 빨랐다. 박 대통령의 첫 반응이 “총 쏘지 마”였는데 안타깝게 그 첫마디가 녹음이 되어 있지 않았다.
나는 세월이 한참 지난 후 사고 당시 총을 들고 박 대통령을 에워싸고 있었던 경호관에게 다시 물어보았다. 그랬더니 그는 대통령께서 갑자기 앉으시면서 뒤로 넘어졌기 때문에 마이크와 거리가 멀어서 녹음이 안 되었을 것이라고 했다. 최근 각 방송에서 사건 당시의 녹화기록을 다시 방영하는 것을 자세히 보았더니 박 대통령이 연단 뒤에서 몸을 낮추면서 옆으로 넘어지는 것을 자세히 볼 수 있었다.
그 경호관은 박 대통령의 첫 마디는 분명히 “총 쏘지 마”였다고 했다. 영부인이 피격당한 것을 가장 먼저 발견한 이도 박 대통령이었다. 경호원에게 “저기 우리 내자한테 가봐!”라고 했다고 한다. 박 대통령은 “연설을 계속하겠습니다”라면서 8·15 경축사를 다시 읽기 시작하였다. 총성으로 중단되었던 구절 바로 뒤 문장을 정확히 짚어내 읽어갔다. 퇴장할 때 박 대통령은 육 여사의 고무신과 핸드백을 자신이 직접 주워 갖고 나오다가 경호원에게 넘겼다. 박 대통령은 독립유공자들을 위로하는 리셉션 장에 들러 공식행사를 끝낸 뒤 서울대 병원으로 갔던 것이다.
박 대통령은 그와 같은 위기의 순간에서도 당황하지 않고 대담하면서도 세심하게 행동했다. 공인과 사인의 갈림길에서 보여준 인간 박정희의 이 같은 초인적인 태도는 너무나 인상적이었으며 영부인의 고무신과 핸드백을 집어 드는 박 대통령의 모습은 보는 이의 가슴을 아프게 했다.

(박 대통령이 허리를 굽혀 영부인 소지품을 줍는 장면)
박 대통령을 평할 때 ‘청탁을 같이 들이마시는 사람’ ‘작게 치면 작게, 크게 치면 크게 울리는 큰북 같은 분’이라고 한 말이 있었다. 박 대통령은 담대해야 할 때는 무섭게 담대하였고, 자상해야 할 때는 자상했으며, 슬플 때는 누구보다 눈물이 많았던 어쩔 수 없는 소박한 한 인간이었다. 나는 인간 박정희는 어느 누구보다 로고스적이면서도 또한 한없이 파토스적인 인간이었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