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실업 악화시킬 ‘60세 정년’, 임금피크제와 함께 가야
동아일보
입력 2015-05-25 00:00:00 수정 2015-05-25 00:00:00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주 “내년에 정년이 연장되면 2∼3년간 청년실업 문제가 심각해지지 않겠느냐”며 청년(15∼29세)실업 해소를 위해 임금피크제 도입을 촉구했다. 내년 정년 60세 시행을 앞두고 청년실업률이 급등하는 것은 우연이 아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4월 청년실업률은 10.2%로 4월 수치로만 보면 1999년 관련 통계가 집계된 이래 가장 높다. 실제로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가 30대 그룹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올해 신규채용 규모를 작년 대비 6.3%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한국보다 먼저 고령화를 경험했던 유럽의 경우 정년연장과 청년고용이 크게 충돌하지 않았다. 한국에서도 농업 단순노무 서비스직에서의 정년연장은 청년실업과 별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대기업 공기업 금융 등 ‘질 좋은 일자리’에서의 정년연장은 청년의 신규 진출을 어렵게 하고 있다. 좋은 일자리를 두고 중장년층과 청년이 경쟁하는 세대 갈등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지난해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는 정년연장으로 늘어나는 근무기간 2년 전부터 임금을 15% 삭감해 삭감 비율을 단계적으로 늘리는 임금피크제 모델을 발표했다. 삼성그룹과 KB국민은행 등이 임금피크제를 선도적으로 도입하고 있지만 노동계의 저항이 커 산업 전반으로 확산되지 못하고 있다. 노동계의 숙원이던 정년연장이 받아들여진 만큼 아버지가 자식에게 양보한다는 마음으로 중장년 세대도 임금피크제를 통 크게 받아들이는 세대 타협이 필요하다. 그래야 청년-중장년이 상생(相生)하는 지속가능한 사회를 만들 수 있다.
'경제,사회문화 > 정치, 외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종석 "노건호, 노무현 대통령 죽음에 자신의 책임 없었는지 되돌아봐야" (0) | 2015.05.25 |
---|---|
김한길-천정배에 “배신자”… 문재인 “노무현 앞에 부끄럽다” (0) | 2015.05.25 |
노무현 추도식장에서 갈등 불 지른 친노의 자폐 정치 (0) | 2015.05.25 |
내인생을 바꾼 5.18이 안쓰러운 이유 (0) | 2015.05.18 |
문 대표, 손바닥으로 하늘을 덮으려 해선 안돼 (0) | 2015.0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