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기/해양쓰레기 언론보도자료 모음 2

쓰레기장 돼가는 제주 바닷속 "더는 감출 수도 없다

화이트보스 2019. 4. 14. 12:03



쓰레기장 돼가는 제주 바닷속 "더는 감출 수도 없다"

인쇄기사 보관함(스크랩)
 
제주도 서귀포시 정방폭포 앞 자구리 바다 속 쓰레기. 페트병과 캔 등 쓰레기가 오니와 섞여 쌓여 있는 현장을 전재경 자연환경국민신탁 대표가 살펴보고 있다. [사진 이선명]

제주도 서귀포시 정방폭포 앞 자구리 바다 속 쓰레기. 페트병과 캔 등 쓰레기가 오니와 섞여 쌓여 있는 현장을 전재경 자연환경국민신탁 대표가 살펴보고 있다. [사진 이선명]

제주도 바다가 속으로 썩어가고 있다.
 
일부 해안의 바다 밑이 쓰레기와 토사, 오니로 범벅이 된 채 방치되고 있다.
바닷속 산호 역시 낚싯줄과 그물로 뒤덮여 훼손되고 있다.
제주도 서귀포시 서귀포항 동쪽 자구리 바다 밑에는 플라스틱병과 캔, 옷가지 등 온갖 쓰레기가 쌓여 있어 대책이 시급한 상태다.
 
산호 서식지인 서귀포 앞 문섬 인근 해저의 기차바위에서도 낚싯줄이나 그물 등 쓰레기가 산호를 뒤덮고 있는 것이 확인됐다.
 
육지에서 쓰레기를 제대로 처리 못 한 탓에 바다가 병들고 있는 셈이다.  
 
자연환경국민신탁과 '문섬 47회' 등은 지난 7일 서귀포 자구리 해안과 문섬 기차바위 인근에서 해양 쓰레기 실태 조사를 진행했고, 이 때 확보한 사진과 영상을 14일 중앙일보를 통해 공개했다.
 
자연환경국민신탁은 2006년 제정된 '문화유산과 자연환경자산에 관한 국민신탁법'에 따라 만들어진 법인으로 개인·기업·단체로부터 보전 가치가 있는 자연환경 자산을 기부·증여·위탁받아 미래 세대를 위해 지키고 관리하는 단체다.
 
쓰레기·토사·오니가 범벅
제주도 정방폭포 앞 자구리 바다 속의 쓰레기 더미.[사진 김병일]

제주도 정방폭포 앞 자구리 바다 속의 쓰레기 더미.[사진 김병일]

제주도 정방폭포 앞 자구리 바다 속 쓰레기. 페트병 등 플라스틱 쓰레기가 오니와 토사와 범벅이 돼 쌓여 있다. [사진 이선명]

제주도 정방폭포 앞 자구리 바다 속 쓰레기. 페트병 등 플라스틱 쓰레기가 오니와 토사와 범벅이 돼 쌓여 있다. [사진 이선명]

서귀포항 동방파제 바깥쪽 정방폭포와 가까운 동쪽 지역인 자구리의 수심 10~13m 지점.
물속은 마치 커다란 쓰레기장을 방불케 했다.
 
조사팀이 탐침으로 바닥을 찌르자 1m 깊이까지 쑥 들어갔고, 탐침을 빼낼 때는 오니가 흩어지며 시커먼 흙탕물이 일었다.
 
쓰레기와 토사, 오니가 뒤섞여 1m 두께로 쌓여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스쿠버 다이빙으로 조사에 참여했던 전재경 자연환경국민신탁 대표는 "바다에 쓰레기가 쌓였다기보다는 아예 쓰레기장에 물이 들어온 것 같았다"고 말했다.
 
페트병과 나무 조각, 옷가지 등 각종 쓰레기가 집중적으로 쌓인 쓰레기 더미는 해안에서 남쪽으로 150m까지 길게 이어졌고, 폭은 20~30m가량 됐다.
주변에 쓰레기가 조금씩 흩어져 쌓인 면적까지 포함하면 전체적으로 약 2만㎡의 면적에서 쓰레기가 발견됐다.
 
서귀포 항구 안쪽은 해양환경공단이 청소하지만, 이곳은 바다 쓰레기 수거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수중 조사에 참여한 정수원 '문섬 47회' 대표는 "자구리는 방파제 등으로 인해 물살이 빠르지 않은 곳이어서 쓰레기가 계속 쌓인다"며 "바다 쪽에서 밀려온 것도 있겠지만, 주로 육지에서 떠내려와 쌓인 것"이라고 말했다.
'문섬 47회' 회원인 김병일(태평양다이빙스쿨 대표) 씨는 "과거에도 태풍 때 이곳에 쓰레기가 쌓였지만, 지금처럼 많이 쌓인 적은 없었다"고 말했다.
 
산호 보물창고 범섬 훼손 심해
서귀포 범섬 산호와 바위를 휘감은 낚시줄과 끈을 제거하고 있는 조사팀. [사진 이선명]

서귀포 범섬 산호와 바위를 휘감은 낚시줄과 끈을 제거하고 있는 조사팀. [사진 이선명]

제주 범섬의 산호와 쓰레기. [사진 김병일]

제주 범섬의 산호와 쓰레기. [사진 김병일]

서귀포항에서 남서쪽으로 5㎞ 떨어진 곳에 있는 무인도 범섬.
기암절벽과 해식애가 발달해 경치가 뛰어난 이곳은 2000년에 인근 문섬과 함께 '문섬 및 범섬 천연보호구역(천연기념물 421호)'으로 지정됐다.
 
조사팀은 범섬 인근 수심 15~25m의 기차바위를 조사했다. 기차바위는 길이 100m가 넘고 폭이 50m 안팎인 암초다.
한반도에 자생하는 산호류의 70~80%가 발견되는 산호의 보물창고 같은 곳이다.
 
하지만 조사팀이 둘러본 결과, 유실된 통발·주낙 끈이 부채뿔산호나 밤수지맨드라미 같은 산호와 뒤엉켜 있었다.
조류가 빨라 쓰레기가 쌓이지는 않았지만 버려진 낚싯줄이 산호와 바위를 칭칭 감고 있었다.

범섬 물밖으로 끌어낸 쓰레기를 살펴보고 있는 전재경 자연환경국민신탁 대표. [사진 자연환경국민신탁]

범섬 물밖으로 끌어낸 쓰레기를 살펴보고 있는 전재경 자연환경국민신탁 대표. [사진 자연환경국민신탁]

조사에 참여한 이선명('수중세계' 발행인) 씨는 "주낙이나 폐그물 등에 산호가 찢겨 나가기도 하고, 낚싯줄이 해면동물 몸을 파고 들어가 폐사시키기도 한다"고 말했다.
 
기차바위 주변 바닷물도 탁해졌다.
이 씨는 "과거에는 물 아래에서 15m 거리까지 보였지만, 이제는 5m까지만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인근 문섬 47m 지점에는 4.6m 크기의 커다란 해송(산호의 일종)이 있었고, 이를 보호하기 위해 제주지역 다이버들을 중심으로 '문섬 47회'가 만들어졌는데, 얼마 전에 이 해송도 사라졌다는 것이다.
 
"해송이 주낙이나 어선에 의해 뜯겨나갔을 것으로 생각된다"고 정 회장은 안타까워했다.
 
"더는 숨길 수 없어"
범섬 수중 쓰레기를 제거하는 모습. [사진 이선명]

범섬 수중 쓰레기를 제거하는 모습. [사진 이선명]

제주도 주변 오염이 심해진 것은 육지에서 쏟아져 들어오는 쓰레기들 때문이다.
정 대표는 "육지를 걷다 보면 농로 주변에 마구 버린 쓰레기가 눈에 띄기도 하고, 관광객들이 버린 도시락 포장재 등 일회용품도 많다"고 말했다.
 
여기에다 제주도에 있는 250여곳의 육상 물고기 양식장(축양장)에서 내보는 오염물질, 축산분뇨 탓도 크다. 축양장에서 나오는 먹이 찌꺼기나 배설물 등이 그대로 바다로 들어온다는 것이다.

육상에서 진행되는 각종 공사 탓에 토사도 많이 흘러든다.
 
이에 문섬 47회와 제주도 수중레저협회, 제주도 핀수영협회 등 제주지역 다이버들은 "더는 감출 수도 없는 만큼 쓰레기를 건져내는 등 근본적인 해결책이 필요하다"며 공개를 결정했다.
 
전 대표도 "다이버들이 연중행사로 쓰레기를 걷어내는 것으로 해결할 수 있는 수준을 벗어났다"며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종합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강찬수 환경전문기자  kang.chansu@joongang.co.kr
AD

J팟

온라인 구독신청 지면 구독신청
로그인 계정 선택
조인스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
[알림] 소셜 로그인을 활용해 손쉽게 의견을 작성해보세요.
댓글쓰기
0/500
  • 하**** 2019-04-14 11:32:13 신고하기

    제주도지사 원가야ㅡ덩은이 한라산에 올것 같아서 헬기장 조성 했다며? 그런돈 있어면 쓰레기나 좀 치우지 무슨 헛군대다 혈세를 쏟아 붓고 있는가? 제주 국민들 쓰레기 더미에서 살지 않으려면 정신 바짝 차리시길.......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1 댓글 반대하기0
  • jeha**** 2019-04-14 11:18:59 신고하기

    안타깝네요 지나친 관광객 유치가 불러온 재앙은 아닌지요 올레길이 재앙길이 되엇네요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3 댓글 반대하기0
  • tick**** 2019-04-14 10:29:26 신고하기

    "드디어 올것이 왔군" 몇 기압까지 인가? 전투슈트는 수심 500미터까지 설계되었습니다만 설마 직접 청소를... 어쩔수 없지안나. 군이 모범을 보여아지. 그럼 파워팩을 입으시죠. 이건 또 뭔가? 대 헐크용으로 만든 겁니다. 수심 2Km 보장 입니다. 그리고 청소 기능도 누가 만들었는지는 몰라도 장착되어 있습니다. 그래?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0 댓글 반대하기0
  • SCho**** 2019-04-14 10:21:43 신고하기

    아무튼 페트병은 분해 가능한것으로 만드는것은 문제도 아닐텐데 말이야. 그리고 과잉 포장좀 줄입시다. 그게 가장큰 원인이고요. 이것 규제할수 없나요? 과잉포장이 쓰레기 만드는 가장큰 원인입니다. 왜 플라스틱으로 다싸나요? 그냥 종이만 옆에 붙여서 팔면 됩니다. 1980년까지 그러고 살았습니다. 잘만 되요. 종이도 좀 빨리 썩는 용으로 바꾸면 합니다. 플라스틱 포장용지 좀 심합니다. 요세는 정말 심해요.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4 댓글 반대하기0
  • dant**** 2019-04-14 09:38:16 신고하기

    바가지 천국. 그 댓가 아닌가. 그게 육지 사람 소행이겠냐..?? 돈 조금 더 보태서 동남아로 가는 이유가 있다.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5 댓글 반대하기0
  • guch**** 2019-04-14 08:45:38 신고하기

    자칭 환경단체라는것들..국가안보에 필요한 시설물은 환경파괴라면서 극렬반대를 하면서 바다속 쓰레기는 누깔에 보이지않는다고 모른척 하냐?역시 국가반란족의 후예답다.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15 댓글 반대하기1
  • shad**** 2019-04-14 08:07:46 신고하기

    제주 바다가 만신창이라니 기가 막히다.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12 댓글 반대하기0
  • kosh**** 2019-04-14 07:07:58 신고하기

    팍팍 썩어라.. 그래야 비싼 제주 집갑 좀 내려가지..

    답글달기
    댓글 찬성하기6 댓글 반대하기1

bottom_513

bottom_514

shpping&life
  • DA 300

  • DA 300

  • DA 300

da_300

많이 본 기사

DA 300

Innovation Lab

댓글 많은 기사

da_250

da_imc_260



[출처: 중앙일보] 쓰레기장 돼가는 제주 바닷속 "더는 감출 수도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