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쓰레기·농촌 오폐수·산단 매연 쉽게 노출
국가주도 통합체계·산림녹화 정책 등 대책 절실
청정지역 ‘전남’이 위기를 맞고 있다. 전국적으로 최대 관심사인 미세먼지 뿐만 아닌 전남은 해양쓰레기 수거량이 전국에서 제일 많으며, 처리로 인한 2·3차 피해까지 나타나고 있다. 여기에 여수산단에서 대기오염 측정치 조작과 마구잡이로 버려지는 오폐수 등 각종 환경문제로 몸살을 앓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청정지역 전남을 위한 계획적인 산림녹지화 대책을 비롯한 국가가 주도하는 통합관리 시스템 마련 등 종합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10일 전남도에 따르면 전남은 지리적 특성상 해양쓰레기, 농촌 오폐수 국가산단 매연 등 쉽게 노출돼 있다.
실제 서·남해 등 2면이 바다인 전남은 지난해 기준 해양쓰레기 수거율 79%로, 전국 1위 수준이지만, 현존량이 여전히 많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해양쓰레기 관련 용역 결과 전남은 해역 쓰레기 유입량이 최대 3만 5천여t, 섬지역 현존량이 8만 7천여t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됐다.
전남도는 해양쓰레기 수거·처리의 문제점으로 ▲수거된 해양쓰레기가 적기 처리되지 못해 2차 피해를 일으킨다는 점 ▲어망·어구 등 수중부유, 침적쓰레기 처리의 책임성 모호 ▲연안 16개 시군의 현저한 인식 차이 ▲주민의 자발적 참여를 이끌어낼 유인책 부족 ▲해양쓰레기 전문처리시설 부족 등을 꼽았다.
이에 서삼석 국회의원은 “해양쓰레기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지만, 발생 원인이나 경로예측이 어려워 수거처리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며 “환경은 국가 간 협력을 통해 적극적인 대응이 이뤄져야 하는 문제로, 국가주도의 통합관리체계를 구축해 사전예방, 수거, 처리, 재활용 문제 등 관련 종합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함께 여수 산단 업체의 대기오염물질 측정조작 파문으로 국민의 공분을 사고 있는 가운데 정부와 관계당국의 산업시설 대기오염물질 배출관리 시스템도 개선이 절실하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대기오염물질배출시설은 대기오염물질 발생량에 따라 5종으로 구분하는데, 종별로 각각 다른 자가 측정 주기와 규제수준을 적용하고 있다.
강정희 전남도의원은 “방지시설 설치 면제시설에 대해서도 오염물질 배출을 측정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면서 “자가 측정 결과 배출허용기준을 초과했더라도 행정처분을 받지 않거나 개선계획을 제출하지 않으면 초과부과금 산정 방법이 없어 미부과 되는 허점을 개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여수·고흥·무안 등 전남 곳곳에서는 몰래 버려지는 폐수로 인해 용수로와 농경지까지 피해를 입고 있다. 주민들은 수 년째 악취 등 각종 피해에 시달리며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있다.
이처럼 청정지역 전남이 각종 환경문제로 흔들리고 있는 가운데 김기태 전남도의원은 대책마련으로 ▲쓰레기 배출량 감소 등 실천 통한 환경 오염 최소화 ▲일회용품 사용 최소화, 철저한 분리수거 등 실천 ▲쓰레기 문제 심각성 홍보 통한 효과 극대화 ▲도심 속 녹지 통한 미세먼지 흡착, 힐링 공간 확보 ▲친환경 보전 방식으로 공원 부지 마련 ▲청정지역 전남을 위한 계획적인 산림녹지화 정책 등을 제시했다. /박지훈 기자 jhp9900@namdonews.com
<저작권자 © 남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