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원이냐 환경이냐, 금산군의 갈등
바나듐, 금산 일대 대량 매장 추정
주민은 “방사능 문제” 채굴 반대
경기 포천에도 7000억 규모 광산
지질연구원, 생산기술 개발 착수
갈등의 씨앗이 된 광물은 바로 바나듐이다. 금산군은 원래 바나듐이 아니라 우라늄으로 주목받은 곳이다. 2010년대 들어 호주 업체 프로디젠(옛 토자이홀딩스)이 우라늄 채광 허가 신청을 냈다. 금산군 복성면에서였다. 주민들은 방사선을 걱정해 반대했고, 충남도는 허가를 내주지 않았다. 그러자 프로디젠은 행정소송을 걸었다. 대법원은 최종적으로 주민과 충남도의 손을 들어줬다. 환경 대책이 미흡하고, 광산 개발에 따른 경제적 이익보다 주민들이 감수해야 할 환경·건강·재산상의 불이익이 크다는 이유였다.
그랬던 금산군에서 이번엔 다른 업체가 바나듐으로 도전장을 내밀었다. 한국과 호주 기업이 합작해 만든 ‘코리아바나듐’이다. 태양광 발전 붐을 타고 바나듐이 에너지저장장치(ESS) 소재로 조명받기 시작한 게 계기였다. 부피가 커 휴대전화나 차량에는 아직 적용하기 어렵지만, 과열·화재 걱정이 없어 태양광 ESS로는 제격이라는 게 바나듐 배터리에 대한 평가였다. 글로벌 자원 컨설팅 회사들이 “ESS 수요가 늘어 바나듐 가격이 차츰 오를 것”이란 보고서를 낸 이유다. 원래 바나듐은 주로 아주 단단한 특수강의 원료 정도로 쓰였다.
코리아바나듐은 한국지질자원연구원(지질연)이 보관하던 추부면 지역 시추 시료를 얻어 분석하고, 자신도 탐사 작업을 진행했다. 추부면 일대 암석 속에 바나듐 약 4억9000만 파운드(약 22만t) 이상이 들어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최근 시세로 계산해 약 3조6000억원 어치다. 코리아바나듐은 ‘4억9000만 파운드가 있다’는 내용을 담은 보고서를 올해 초 해외광물자원개발협의회·한국광물자원공사와 함께 펴냈다. 그랬다가 광물자원공사 측이 “매장량은 함께 확인한 내용이 아니다”라고 해 이 부분을 빼고 보고서를 다시 찍는 해프닝도 빚었다. 어쨌든 코리아바나듐은 큰돈을 벌 수 있다고 판단해 바나듐을 캐기로 했다. 지난 3월 충남도에 채굴계획 인가신청을 냈다. 처음 파고 들어갈 장소로 추부면 신평리 옛 채석장 자리를 확보했다.
“아무리 큰 보상도 거절”
최근 대전과 충남 아산·예산·청양 등지의 상수도 시설에서 우라늄이 기준치 이상 검출됐다는 뉴스는 주민들의 불안감을 한층 부채질했다. 금산군 의회 또한 단호하다. ‘바나듐 광산개발 반대 결의안’을 지난달 21일 의결했다. “인삼·깻잎·포도의 고장으로서 농산물 브랜드가 입을 타격이 너무 크다”는 이유였다. 군의회 김종학(57) 의장은 “아무리 큰 보상을 제시해도 받아들이지 않겠다”고 잘라 말했다.
반면 코리아바나듐 김홍철(53) 사장은 “주민 건강이나 환경에 아무 문제 없이 바나듐을 캘 수 있다”는 입장이다.
김 사장은 “채굴이 환경과 주민 건강에 별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과학적 근거를 확보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주민과 군의회는 완강하다. “과학적으로 괜찮다는 것과 이미지에 손상을 입어 인삼·깻잎·포도 판매가 타격받는 것은 전혀 별개의 얘기”라는 논리다. “과학적 입증을 아직 믿을 수 없다”라고도 하고 있다.
포천엔 방사선 걱정 없는 광산
금산군에서의 바나듐 채굴은 이래저래 쉽지 않아 보인다. 그래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다른 곳을 눈여겨보고 있다. 삼양리소스가 운영하는 경기도 포천시의 관인광산이다. 이곳에서는 티타늄 광석이 나온다. 광석을 부숴 국내와 중국·대만 등지의 제철소에 판매한다. 광석 속에 바나듐이 들어 있는 것은 이미 알고 있었으나, 전에는 그냥 티타늄으로 파는 것이 유리해 크게 관심을 두지 않았다.
그러다 태양광 바람이 불고 바나듐값이 오르면서 상황이 바뀌었다. 지질연 탐사결과 광석이 바나듐을 평균 0.6~0.8% 포함하고 있음을 알아냈다. 함유량이 금산군의 2~3배다. 이 일대 바나듐 추정매장량은 약 4만2000t(시가 7000억원)이다. 지질연 김수경(48) 광물자원연구본부장은 “광맥이 광산 일대를 벗어나서까지 뻗어 있어 전체 매장량은 얼마인지 알 수 없다”고 말했다. 바나듐 광산 규모가 훨씬 클 수 있다는 얘기다. 방사선 걱정도 없고, 광석을 캐고 있는 장소여서 주민 반대도 없다.
그래서인지 제3의 호주 업체가 발 빠르게 입질을 했다. 지난해 합작을 제안했다. 삼양리소스는 거절했다. 이 회사 최은환(58) 전무는 “호주 측이 아예 경영권을 요구해 받아들일 수 없었다”고 했다. 독자적으로 바나듐을 캐는 게 훨씬 이익이라는 판단이었다. 그러나 독자 채굴에는 걸림돌이 있다. ‘티타늄자철광’이라 부르는 광석에서 바나듐만 쏙 뽑아내는 기술이 국내에 없다는 점이다. 관련 연구개발과 설비투자 또한 중소기업으로서 감당하기 힘들다. 삼양리소스의 지난해 매출은 약 190억원이었다.
빛은 보인다. 정부출연연구소인 지질연이 관련 기술개발에 나섰다. 바나듐이 미래 전략 광물이라는 판단 아래 광석 속에서 최종적으로 바나듐을 뽑아내는 선광·제련 기술 개발에 착수했다. 2026년 시험 설비(파일럿 플랜트)를 만드는 게 목표다. 김수경 본부장은 “ESS 같은 2차전지 수요 때문에 2027년이면 세계적으로 바나듐 공급 부족이 일어날 수 있다”며 “해외 지분·기술에 의존하지 않고 바나듐을 독자 생산해야 미래 에너지 자원 확보 경쟁에서 유리한 위치에 설 수 있다”고 말했다.
권혁주 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