豊臣秀吉 편지 33통 발견 豊臣秀吉 편지 33통 발견…집요한 성격 드러나 도쿄=김수혜 특파원 기사 인쇄 이메일로 기사공유 기사 스크랩 글꼴 선택 맑은고딕굴림 글자 크게 글자 작게 100자평 0 페이스북 0 트위터 0 더보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 이메일로 기사공유 입력 : 2016.01.22 19:44 | 수정 : 2016.01.22 19:48 다쓰.. 아픈역사에서 배운다/임진왜란 2016.01.22
임진전쟁의 역사, 나고야성 박물관에서 만나다. 임진전쟁의 역사, 나고야성 박물관에서 만나다. 댓글0세이라 이웃추가 | 2016.01.06. 03:24 앱으로 보기 본문 기타 기능 본문 폰트 크기 조정본문 폰트 크기 작게 보기 본문 폰트 크기 크게 보기 가 공유하기 URL복사 일본 속의 우리나라 역사문화탐방 3> ​임진전쟁의 역사, 나고야성 박물.. 아픈역사에서 배운다/임진왜란 2016.01.20
거북선을 처음 본 美 해군 제독이 감탄을 한 이유는… 거북선을 처음 본 美 해군 제독이 감탄을 한 이유는… 리더십의 조건 - 행정적 예절에 대하여 글 | 조덕현 칼럼니스트 리더십의 조건 - 행정적 예절에 대하여 해군사관학교를 방문한 Greenert 제독 부부에게 거북선을 안내하고 있는 필자. 오늘은 제가 어떤 만남을 통해서 생각하게 된 리더.. 아픈역사에서 배운다/임진왜란 2015.12.24
조선은 왜군에 왜 짓밟혔나, 피로 쓴 반성문 조선은 왜군에 왜 짓밟혔나, 피로 쓴 반성문[중앙일보] 입력 2015.02.14 00:00 / 수정 2015.02.14 00:09 서점가에 부는 『징비록』 바람 류성룡, 지도층 과오·무능 질타 승리보다 패배에서 교훈 찾아 혼돈의 우리 사회 비추는 거울 댓글보기7 Tweet종합 18면 지면보기 글자크기 국립현대미술관에 소.. 아픈역사에서 배운다/임진왜란 2015.02.14
이순신의 함대가 일본 수군(水軍)을 압도한 까닭 이순신의 함대가 일본 수군(水軍)을 압도한 까닭 일본 다네가시마에 전래된 조총(下) 1543년 포르투갈 상인에 의해 다네가시마에 전래된 철포(鐵砲)는 일본 열도에선 100여 년간 지속된 전국(戰國)시대를 마감시킨 촉매제가 되었다. 또한 한반도는 철포의 위력을 과신한 히데요시의 임진왜.. 아픈역사에서 배운다/임진왜란 2014.09.28
'다시 보는 충무공의 생애'聖雄도 평시엔 妾(첩) 두 명 두었던 인간 [위비 지식콘서트] 聖雄도 평시엔 妾(첩) 두 명 두었던 인간… 公私 혼돈은 절대 없었다 세상이 좀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가는 데 도움이 되려고 기자라는 직업을 선택했다. 원래는 사회학자가 꿈이었다. 저널리즘이 <진실로 향하는 혼란스런 여정을 헤매지 않도록 도와주는 나침반>.. 아픈역사에서 배운다/임진왜란 2014.09.08
[스크랩] ?[충무공의 숨결따라]일본적장 후손들, 진도를 찾다 [기획특집④ -1]한일 평화의 상징, 진도 왜덕산 "시체가 떠오면 갯가사람들이 건져다가 여그다가 묻었어" 올해는 충무공 이순신 탄신 466주년 되는 해이다. CBS는 호국보훈의 달, 6월을 맞아 이충무공의 나라사랑 정신을 되새기기 위해 [기획특집:충무공의 숨결따라]를 마련했다. 여수좌수영.. 아픈역사에서 배운다/임진왜란 2014.08.25
결코 백성을 포기할 수 없었던 이순신 장군 결코 백성을 포기할 수 없었던 이순신 장군 디지틀조선일보 정신영 웹PD 기사 100자평(3) 크게 작게 URL줄이기 미투데이 요즘 싸이 공감 조선블로그 MSN 메신저 입력 : 2014.08.06 10:30 | 수정 : 2014.08.06 11:23 성웅 이순신 장군의 명량대첩을 그린 영화 '명량'이 연일 흥행기록을 갈아치우며 천만관.. 아픈역사에서 배운다/임진왜란 2014.08.06
유생개곡(有生皆哭) 유생개곡(有生皆哭) 입력 : 2014.04.23 05:37 정민 한양대 교수·고전문학임진왜란이 끝난 뒤 동래부사로 부임한 이안눌(李安訥·1571~1637)은 4월 15일 아침 느닷없이 천지를 진동하는 곡성에 휩싸였다. 깜짝 놀라 늙은 아전을 불러 영문을 묻자 돌아온 대답이 이랬다. "임진년 당시 왜적이 몰려.. 아픈역사에서 배운다/임진왜란 2014.04.23
임진왜란 주요 연표(양력) 임진왜란 주요 연표(양력) 2004/09/17 17:54 조회 1653 -->추천 0 스크랩 0 http://blog.chosun.com/boblee1229/74732 임진왜란 주요 연표 (양력) <1592년> 5월 23일 일본군 제1군 고니시 유키나가 선봉 부산 절영도 도착, 임진왜란 발발 5월 24일 일본군 제1군 상륙, 부산진성 함락, 부산진첨사 정발 전사 5월 25.. 아픈역사에서 배운다/임진왜란 2013.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