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대’엔 뭔가 특별한 게 있다
대학교수부터 톱스타까지 노크 … 22개 학과, 최고 수준 원격 고등교육 시스템 갖춰
![]() |
![]() |
서울대 과학기술혁신과정 오종남(57) 주임교수는 얼마 전 한국방송통신대학교(이하 방송대) 일본학과에 편입학했다. 2006년부터 2008년까지 일본 와세다대학 경제학과 주임교수로 재직하며 일본어로 강의를 하기도 한 그가 일본학과에 입학한 이유는 일본에 대해 좀더 알기 위해서. 그는 “일본인의 문화와 생활을 배우면 그들의 정서를 이해할 수 있을 테고, 그걸 바탕으로 좀더 품격 있는 대화를 할 수 있으리라는 점에 끌렸다”고 밝혔다. 오 교수가 방송대와 인연을 맺은 게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그는 2003년 방송대 영어영문학과에 편입해 졸업한 바 있다. 서울대 법대를 졸업하고, 미국 남부감리교대학(Southern Methodist University)에서 경제학 석사, 경영학 석사,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은 뒤 미국 워싱턴의 국제통화기금(IMF)에서 이사로 재직한 그가 영문과에 편입한 이유는 “영문학을 깊이 있게 공부하고 싶어서”. 오 교수는 방송대 수업을 통해 영어와는 또 다른 ‘영문학’의 깊이를 느낄 수 있었고, ‘방송대의 힘과 매력’에 빠져들었다고 털어놓았다. 대한민국 1% 45만여 명 졸업생 배출 2009년 방송대 신·편입생 중에는 오 교수 같은 이색 경력의 소유자가 적지 않다. 철도공사 사장을 지낸 이철 전 국회의원은 경제학과 3학년생으로, 김용태 한나라당 국회의원과 김종술 전남대 명예교수는 각각 경제학과와 중어중문학과 3학년생으로 이름을 올렸다. 영화배우 심은하·지상욱 부부가 문화교양학과와 법학과에 나란히 입학해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전체 신·편입생 가운데 14.5%에 이르는 1만5671명이 학사학위 이상 소지자. 방송대 김보원 기획처장은 “사람들의 교육 수준이 높아지고 자기개발에 대한 열망도 커지면서 방송대의 위상이 변화하고 있다. 방송대를 통해 학사학위를 받으려는 사람 못지않게 이곳을 평생교육의 장으로 삼으려는 이들도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물론 방송대 진학을 통해 이루지 못했던 공부에 대한 꿈을 실현하는 사람도 적지 않다. 시인 박미산(55) 씨는 고등학교 졸업 후 어려운 집안 형편 탓에 대학 진학을 포기했다가 1997년 방송대 국어국문학과에 입학한 인물. 박씨는 방송대 졸업 뒤 고려대 국문과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고, 지금은 박사논문을 준비하며 방송대 강사로 후배들을 가르치고 있다. 2008년 ‘세계일보’ 신춘문예 시 부문에 당선돼 본격적으로 작품 활동도 하고 있다.
|
'경제,사회문화 > 사회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살아있는 권력’에 비겁한 검찰 (0) | 2009.03.28 |
---|---|
아프간 파병과 國益 (0) | 2009.03.28 |
복수는 생존의 힘, 용서는 발전의 힘 (0) | 2009.03.28 |
우리 엄마는 어디에 있나요?” (0) | 2009.03.28 |
브로커 꾐에 속아 단돈 3000위안에 中두메산골로 넘겨져 (0) | 2009.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