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0년대 초 예닐곱 살 때의 일로 기억된다. 밤에 잠잘 때마다 나는 허공에 붕 떠서 날아다니는 꿈을 곧잘 꿨다. 멀리 보이는 금성산(전남 나주시 외곽)이나 30리 밖 칡산 정상에서 날아와 집 앞에 사뿐히 내려앉고, 어떤 때는 지붕에서 날아 내리는 꿈이다. 갑자기 꿍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 새처럼 잠자리처럼 가볍게 날아 내려앉는 것이다.
마을에서 멀리 떨어지지 않은 송정리 벌판에서는 매일 비행기가 뜨고 내렸다. 송정리 주변 드넓은 평야에는 일본군이 중국과 만주로 가는 전투기 중간 기착지로 활용하고 또 출격하기 위해 닦아 놓은 비행장이 있었다.
인근 마을 청년들과 광주·나주 송정리 학생들이 활주로를 닦는 강제 노역에 동원돼 조성한 비행장인데 그곳에서 하루에도 몇 차례씩 뜨고 내리는 비행기(전투기)를 보고 나도 새처럼 하늘을 나는 꿈을 키웠던 것 같다.
맹모삼천지교(孟母三遷之敎)에서 보듯 자라나는 어린이는 역시 주변 환경의 영향을 받고 자란다. 공동묘지 주변에 살면 온종일 상여놀이를 하게 되고, 장사꾼이 사는 거리에서는 물건을 사고 파는 놀이를 즐기게 된다. 나는 비행기가 뜨고 내리는 광경을 보면서 한없이 하늘을 날고 싶은 꿈을 키웠던 것 같다.
이 꿈이 평생 나에게 하늘에 등불을 켜고 사는 삶을 주었다. 그것은 고향이 나에게 베푼 선물이며 한 인간으로서, 사나이로서 사는 가치를 부여해 준 동력이 됐다.
초등학교 2~3학년 때의 일이다. 고향인 영산강 상류쪽 나주군 산포면은 학교가 없어 6km 정도 떨어진 남평 보통학교(초등학교)를 다녔다. 어린 나이에 6km 정도 떨어진 학교는 상당히 멀고 힘든 통학거리였다. 그래서 아버지는 막내인 나를 서당에 보내다가 적령기보다 두 살 늦은 나이에 보통학교에 입학시켰다.
나는 통학길이 언제나 즐겁고 신명났다. 가슴을 달아오르게 하는 얘기를 무궁무진하게 들을 수 있는 시간이었던 것이다. 바로 2년 위인 강제원과 4년 선배인 강계원 형제는 생전 보지도 듣지도 못한 얘깃거리들을 날라 와 통학길에 실타래처럼 풀어 놓았다. 그들의 삼촌이 영어·러시아어를 할 줄 알아서 외국 신문과 잡지를 보고 얘기해 준 것을 나에게 공급하고 함께 꿈에 부풀었던 것이다.
“만주에서는 김일성 장군이 일본놈들을 한 번에 대여섯 놈을 조자버리는디 그 힘이 장사라고 하더랑개. 포수보다 총도 더 잘 쏘고.”
“김일성 장군이 누구여?”
“동에 번쩍 서에 번쩍하는 신출귀몰하는 홍길동 같은 사람이여. 일본 육군사관학교를 나온 장군인디 말을 잘 타는 기병이랴. 우리나라를 찾기 위해 만주로 탈출해서 독립군을 길러 일본군을 보는 족족 한 방으로 보내버린댜.”
“그 장군이 말을 잘 탄다고? 얼마나 잘 타는디?”
“기병 출신잉개 허벌나게 잘 타지. 백두산에서 아침 먹고 말을 달리면 지리산 무등산에 와서 점심을 먹는다는겨. 한나절밖에 안 걸린당개.”
금방 본 것처럼 말해 주는 데는 나도 홀리지 않을 수 없었다. 그들에 따르면 김일성 장군은 그대로 신화이자 전설적인 영웅이었다.
“제원이 성(형), 나도 일본 육사 가면 그렇게 될 수 있을까?”
“니가 육사 간다고. 키가 작은디 될 것인가 몰라.”
강제원이 말하자 그의 형 강계원이 나섰다.
“인제 2학년인디. 어른되면 클 것잉개 갈 수 있을 것이여. 그리고 너는 영리헝개 가고도 남을 것이여.”
나주는 일찍이 반일(反日)과 배일(排日)의 중심 고을이었다. 1929년 광주 학생 사건의 중심 인물들이 광주로 기차 통학하던 나주 출신 서중학생들이었고, 그로부터 10년이 지난 후에도 그 후유증을 앓으면서 고향 사람들은 일본에 대한 저항의식을 불같이 키우고 있었다.
나주는 기름진 평야가 질펀하게 뻗어 있어 풍요롭고 유림 등 학자와 의병이 많이 배출돼 자존심 강한 고을이었다. 왜놈 꼴 보기 싫다고 철로도 내주지 않아 철도도 나주 시내를 관통하지 못하고 멀리 돌아서 났을 정도였다.
▲장지량 장군은
한국 공군 창설 주역 가운데 한 사람인 장지량(張志良·81·사진) 장군은 공군 역사의 산증인이다. 6·25전쟁이 일어나기 한 해 전인 1949년 공군본부 초대 작전국장으로 재직 후 68년 전역하기까지 19여년간을 강직한 자세로 공군 발전에 기여해 왔다.
6·25전쟁 발발 당시 더글러스 맥아더 원수를 직접 안내하기도 했으며 평양의 미림 기지를 점령하고 지리산 공비 토벌(사천 기지)과 공군 단독 출격 작전(강릉 기지)을 지휘하는 등 전쟁간 혁혁한 공을 세웠다.
53년 10전투비행단장, 54년 주미 대사관 무관과 한·미 군사 회담 공군 대표, 56년 공군본부 작전국장, 58년 11전투비행단장, 62년 공군참모차장, 64년 공사 교장, 66년 공군참모총장을 지냈다.
전역 후 에티오피아·필리핀·덴마크 대사, 제10대 국회의원을 역임했으며 97년 장성들의 모임인 성우회 회장을 거쳐 현재 한국군사학회 회장으로 있다.
〈이계홍 용인대 겸임교수·인물전문기자〉
2005.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