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 일본과 함께 우리나라와 가장 가까운 이웃이자 세계 2위의 경제대국으로 부상했다. 또한 양국 간 경제 교류가 활발한 데다, 산업구조가 보완적이면서 동시에 경쟁적인 요소를 함께 가졌다는 점에서 FTA가 체결될 경우 그 기대효과가 지대한 교역 상대국이다. 그런 중국의 차세대 실력자가 한·중 FTA에 대해 강력한 추진 의지를 천명했다는 것은 답보 상태를 면치 못하고 있는 양국 간 FTA 논의에 큰 동력이 실린 셈이다. 정부는 이번 시 부주석의 방한을 계기로 한·중 FTA 논의를 이른 시기에 정부 간 협상의 단계로 끌어올려야 한다.
한·중 FTA가 진전될 경우 현재 중단 상태에 있는 한·일 FTA 논의에도 큰 자극제가 될 수 있다. 또한 지난 10월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한·중·일 정상회담에서 합의한 3국 간 FTA 체결의 가능성도 그만큼 커지게 된다. 한·중·일 FTA 논의는 현재 협상의 전단계인 산·관·학(업계·정부·학계) 공동연구가 내년 상반기에 시작될 예정이지만 한·중 및 한·일 양국 간 FTA의 산·관·학 공동연구는 이미 상당한 수준으로 진척돼 있다. 따라서 양국 간 FTA 협상은 양국 정부의 추진 의지만 있다면 얼마든지 앞당길 수 있다. 한·중 FTA의 체결은 또한 한·중·일 3국 정상이 제안한 동아시아 공동체 구상을 실현하는 데 한 걸음 더 다가갈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도 뜻 깊은 일이다. 시 부주석의 방한이 한·중 FTA에 획기적인 전환점이 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