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을 움직이는 핵심 군부 인사 26명은 각각 노동당의 장성택 행정부장과 이제강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의 세력으로 분류된다는 흥미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한국국방연구원(KIDA)의 백승주 안보전략연구센터장은 14일 오후 코리아나호텔에서 개최되는 제3회 북한군사포럼에서 발표할 '북한 군부 주요 엘리트의 집단별 정치배경 분석과 역할 전망'이란 발표문을 통해 핵심 군부 인사 26명의 파벌을 분석했다.
군부 인사 26명은 장성택을 한 축으로, 그리고 그의 실각 시기에 가장 정치적 영향력이 높아진 이제강 제1부부장을 또 다른 축으로 구분된다는 것이 백 박사의 주장이다.
백 박사는 1차 장성택 득세기(1995~2003년), 이제강 득세기(2003~2005년), 2차 장성택 득세기(2006~현재)로 나눠 군부의 파벌을 분석했다.
김일성의 사위이며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매제인 장 부장은 김정일 정권 출범 이후 실질적인 2인자로 간주됐다. 1995년 당 조직지도부 부부장을 맡은 그는 2003년 실각해 2006년 1월부터 공개활동에 나섰다.
장 부장이 당 조직지도부 부부장으로 위세를 떨치던 1차 득세기에 영전하거나 자신의 명예를 지킨 군 인사로는 이을설(88.원수) 호위사령관, 조명록(81.차수) 총정치국장, 이하일(74.차수) 당 중앙군사위원, 박기서(80.차수) 평양방어사령관 등이다.
이을설과 조명록은 1세대 군 원로지만 이 시기에 호위사령관과 총정치국장으로 명예와 영향력을 유지했으며 이하일과 박기서는 당 중앙군사위원직을 지켜냈다.
김영춘(73.차수) 인민무력부장과 김명국(69.대장) 작전국장, 박재경(76.대장) 인민무력부 부부장, 현철해(75.대장) 총정치국 부국장은 이 시기에 가장 영전했다.
김영춘은 1995년 10월 차수로 승진해 총참모장이 됐으며 이 시기 국방위원으로 위촉되는 등 군내 영향력이 확대됐다. 김명국은 작전국장을 유지한 채 1995년 당 중앙군사위원에 위촉됐다. 박재경은 당 중앙위원회 후보위원으로 선출됐고 현철해는 1995년 대장 승진과 함께 총정치국 부국장 지위를 유지했다는 것이다.
장 부장의 실각 시기에 가장 영향력이 확대된 이제강 제1부부장의 득세기에 성장한 군 인사도 주목된다.
이제강 제1부부장 득세기에 영전하거나 부각한 인사들은 인민무력부와 총정치국, 호위사령부, 보위사령부에 포진되어 있다. 국방위원회의 백세봉(대장) 제2경제위원장, 주상성(76.대장) 인민보안상을 비롯한 인민무력부의 김상익(66.상장) 부부장, 손삼술(중장) 부부장 등이 대표적이다.
백세봉은 2003년 국방위원에 임명됐으며 주상성은 2004년 장성택의 최측근인 최용수가 인민보안상에 해임되고 그 자리를 맡아 이제강의 측근으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총정치국에서 2004년에 부국장으로 보임된 김기선((83.대장), 심상대(상장), 이이준(훈)(중장)도 이제강 득세기에 성장한 군 인사들이다. 2005년과 2006년 중장으로 승진한 염승일, 최중화, 전관식, 강필윤, 배차옥, 김정호, 이경환 등도 이제강과 연결지어 볼 수 있는 인물이다.
2006년 공개활동을 시작하며 현재까지 영향력을 발휘하는 장성택 부장의 2차 득세기에 두드러진 군 인사들도 있다.
장 부장의 1차 득세기에 이어 재차 중책을 맡은 김영춘 인민무력부장이 최측근 인사로 분류된다는 것이다.
김영춘이 이제강 득세기에도 총참모장을 맡았다는 점에서 이제강의 측근으로 봐야 한다는 주장도 있지만 김정일 위원장의 와병으로 장성택의 영향력이 커진 올해 중책을 맡았다는 점에서 장 부장의 측근이라고 백 박사는 설명했다.
평양방어사령관을 역임하고 올해 총참모장에 임영된 이영호 대장도 장성택의 2차 득세기에 군부 중심으로 부상했다.
백승주 박사는 "오극렬(78) 대장이 올해 국방위원회 부위원장을 맡아 후계구도 확립에 관여하게 된 것은 두 번째로 장성택이 세력을 얻은 정치환경과 관련 있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