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쨌든 벵베니스트의 연구는 동종요법의 과학적 근거를 최초로 제시하였다고 볼 수 있다. 필자도 생체정보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유사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비타민C를 계속 희석한 후, 비타민C의 생체정보 수치를 측정한 것이다. 비타민C를 매번 희석할 때는 벵베니스트가 제안한 대로 격렬하게 흔들어주었다.
다음의 표는 비타민C의 희석 농도에 따른 생체정보 수치를 보여주고 있다. 생체정보 측정의 원리와 과학적 의미는 ‘토션장이 물을 변화시킨다’에서 자세히 설명하겠다.

여기서 측정한 값은 비타민C의 생체정보를 읽어낸 것이다. 물질로서의 비타민C의 농도가 희석되는 데도 비타민C의 생체정보는 줄어들지 않고 오히려 늘어나다가 최대치에 이른 후 다시 최소치로 감소한 후, 다시 증가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것은 벵베니스트의 실험결과와도 일치한다. 그의 논문에서 항원을 10120까지 희석하는 동안에 항체반응은 증가하여 최대치에 이르렀다고 다시 감소하여 최소치에 갔다가, 다시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는 패턴을 보였다.
필자가 측정한 비타민C의 생체정보 수치 역시 희석농도에 따라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는 패턴을 보였다. 물질의 농도가 감소하면 그에 따른 반응은 감소하여야 하는 것이 과학의 상식이다. 벵베니스트와 필자의 실험은 물질의 농도와 무관하게 측정되는 물질의 성질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출처 : www.kimswater.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