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타민 C

천안함·연평 도발에 대한 책임 조치 있어야 본회담"… 北 "본회담 가면 모

화이트보스 2011. 2. 9. 09:33

천안함·연평 도발에 대한 책임 조치 있어야 본회담"… 北 "본회담 가면 모든 게 깨끗이 될 것"

입력 : 2011.02.09 03:17 / 수정 : 2011.02.09 09:19

남북 군사실무회담 첫날… 성과없어 오늘도 열기로

남북은 8일 판문점에서 열린 대령급 군사실무(예비)회담에서 '북한의 천안함·연평도 공격'을 고위급 군사회담의 의제(議題)에 넣는 문제를 놓고 협의했으나 합의를 보지 못했다. 남북은 9일 오전 판문점에서 실무회담을 다시 갖기로 했다.

정부 관계자는 "남북 양측이 고위급 회담을 성사시키자는 데엔 큰 이견이 없어 9일 중 합의될 가능성도 있다"고 전했다. 북측은 이날 회담에서 "본회담(고위급 회담)에 가면 (천안함·연평도 공격 문제 등) 모든 것이 깨끗이 될 것"이라고 말한 것으로 알려져 북측이 고위급 회담에서 천안함·연평도 사건과 관련해 모종의 조치를 취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어렵게 마주한 남북… 8일 판문점 남측 지역‘평화의 집’에서 열린 남북 군사 실무회담에서 문상균 대령(오른쪽 가운데)이 북측의 리선권 대좌(왼쪽 가운데)와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국방부 제공

국방부 관계자는 이날 "고위급 군사회담의 의제, 수석대표 수준, 시기, 장소 문제 등에 대해 협의했으나 쌍방 입장 차이로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담에서 우리측은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에 대한 북측의 책임 있는 조치와 도발방지 확약이 있어야만 남북관계가 진전될 수 있다"고 강조했으나, 북측은 "천안함 사건, 연평도 포격전, 쌍방 군부 사이의 상호 도발로 간주될 수 있는 군사적 행동을 중지(군사적 긴장완화 조치)할 데 대하여 논의하자"며 "천안함과 연평도 문제만을 다루자고 하는 것은 고위급 군사회담을 거부하는 것과 같다"고 강변했다고 국방부는 밝혔다.

이에 우리측은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도발에 대한 북측의 책임 있는 조치가 선행돼야 다른 모든 사안에 대한 논의가 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국방부 관계자는 "북측이 군사적 긴장완화 조치까지 한꺼번에 논의하자는 것은 NLL(북방한계선) 문제 등을 제기해 천안함·연평도 사건을 희석시키려는 의도로 풀이돼 응하지 않은 것"이라고 말했다. 북측은 긴장완화 조치와 관련해 2007년 11월 열린 제2차 남북 국방장관 회담에서 합의된 남북군사공동위원회 개최도 언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영문으로 이 기사 읽기영문으로 이 기사 읽기